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한국 문화의 정체성

한국 문화의 정체성

김형찬, 박종천, 김은기, 김종만, 최종석, 박경남, 정혜린, 황두진, 고지혜, 정병욱, 데니엘 필립 코놀리 (지은이)
고려대학교출판문화원
43,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43,000원 -0% 0원
1,290원
41,710원 >
38,700원 -10% 0원
카드할인 10%
3,870원
34,83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한국 문화의 정체성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한국 문화의 정체성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인문학 일반
· ISBN : 9791191161793
· 쪽수 : 584쪽
· 출판일 : 2021-12-30

책 소개

갈등과 대립 속에서 조화와 협력의 길을 열어 가는 것이 한국 문화의 전통이다. 그와 같은 대립적 문화들을 활용하여 대안을 찾고 미래를 열어 가는 것이 한국 문화의 동력이며, 그것이 바로 현재의 한국을 만들어 온 한국 문화의 정체성이다.

목차

책머리에
김형찬, 「한국문화의 정체성을 다시 논함」

1부 한국 문화 전통의 재인식
김형찬 한국철학의 정체성과 한국철학사의 관점
박종천 풍류(風流)로 보는 한국종교의 에토스
김종만, 김은기 한국인의 가치관과 문화적 정체성 -무교와 유교를 중심으로
최종석 고려후기 ‘전형적’ 제후국 외교의례의 창출과 몽골 임팩트 -'전형적인' 조공 책봉 관계의 이해 심화를 겸하여
박경남 유가 성리학적 이념의 구현과 체현으로서의 문학과 -조선 시대 문학관의 변화와 한국문학의 정체성(1)
최종석 조선 초기 종교 심성의 전환과 신사(神事) 혁신 -‘전통적’ 종교 심성의 탄생에 관한 탐색
박경남 기질(氣質)과 기상(氣像)을 드러내는 것으로서의 문학관 -조선시대 문학관의 변화와 한국문학의 정체성(2)
박종천 가족종교의 관점에서 보는 한국종교문화

2부 20세기 한국 문화의 재구성
정혜린 자연과 문화의 관계에서 본 ‘한국 미술’
황두진 밀도전략(密度戰略) -변화하는 시대, 한국건축의 정체성
정혜린 구수한 큰 맛 -번역된 자연미
고지혜 1950년대 ‘신라’의 재전유와 네이션의 서사 만들기 -김동리의 신라 연작을 중심으로
황두진 동적 기능주의, 한옥의 영감
고지혜 1960~1970년대 이상론(李箱論)의 향방
정병욱 한국 근대와 학력주의
김은기, 대니얼 코널리 한국의 시민종교와 국가정체성
정병욱 한국인은 무엇을 기념하는가? -근현대 역사박물관의 주제 분석

저자소개

김형찬 (옮긴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철학과 교수이자 민족문화연구원 원장. 고려대 국어국문학과와 철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지곡서당芝谷書堂(태동고전연구소)에서 한학을 공부했으며, 《동아일보》 학술전문기자, (사)미래전략연구원 원장 등을 지냈다. 저서로 『율곡이 묻고 퇴계가 답하다』, 『오래된 꿈』, 『조선유학의 자연철학』(공저), 『논쟁으로 보는 한국철학』(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황두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2000년 설립된 황두진건축사사무소의 대표다. 서울 구도심에서 작업을 시작하여 점차로 전국, 국외로 범위를 넓혀왔다. 역사와 문화에 대한 관심을 통해 한국 현대건축의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한다. 실무 건축가이면서도 저술 및 연구에도 관심을 보여 무지개떡 건축- 등 7권의 단독 저서를 펴냈고, 건축가 이훈우에 대한 연구와 같은 한국 근대건축 논문을 발표하였다.
펼치기
김은기 (지은이)    정보 더보기
캐나다 토론토대에서 사회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고 현재 고려대학교 국제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며 Humanities & Social Sciences Communications(AHCI & SSCI), Religions(A&HCI), Journal of Korean Religions(AHCI) 편집위원 등을 맡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Contemporary Korean Culture: The Persistence of Shamanistic and Confucian Values and Practices(현대 한국문화의 이해), Contemporary Korean Society: An Introduction(현대한국), The Rise of Protestantism in Modern Korea: A Sociological Perspective(사회학적 관점에서 본 현대 한국 기독교의 발전) 등이 있다.
펼치기
정병욱 (엮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교수 고려대학교 문학박사. 한국 근현대사를 전공했다. 대표 논저로 『낯선 삼일운동』(역사비평사, 2022), 『식민지 불온열전』(역사비평사, 2013), 『일기를 통해 본 전통과 근대, 식민지와 국가』(공저, 소명출판, 2013), 『한국근대금융연구-조선식산은행과 식민지 경제』(역사비평사, 2004), 「일제강점기 불경(不敬) 사건과 행위자들」(『역사와현실』 130, 2023), 「1931년 식민지 조선 반중국인 폭동의 학살 현장 검토」(『사총』 97, 2019), “Migrant Labor and Massacres: A Comparison of the 1923 Massacre of Koreans and Chinese during the Great Kanto Earthquake and the 1931 Anti-Chinese Riots and Massacre of Chinese in Colonial Korea”(Cross-Currents Vol. 6, No.1, 2017) 등 다수.
펼치기
정혜린 (지은이)    정보 더보기
홍익대학교 초빙교수 서울대학교 미학과 학사, 동 대학원 미학과 석사 및 박사 졸업. 현재 홍익대학교 초빙교수. 주요 논저로는 《추사 김정희와 한중일 학술교류》(2019), 《추사 김정희의 예술론》(2008), 〈북송대 문인화-사대부 문화의 시각화 -소식(蘇軾)의 논의를 중심으로〉(2018), 〈옹방강(翁方綱)의 서예사론(書藝史論)-해서(楷書)를 중심으로〉(2011) 등이 있음.
펼치기
최종석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재 동덕여자대학교 국사학 전공 부교수로 재직 중이다. 서울대학교 역사교육과를 졸업하고, 국사학과 대학원에서 석사와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박사학위 논문은 「고려시대 治所城 연구」이다. 고려시대와 조선 전기의 사회사, 문화사, 그리고 심성사에 관심을 두고 연구를 이어가고 있다. 특히 민족주의 역사학을 비롯한 근대 역사학의 인식적 한계를 넘어 새로운 상상력을 통해 한국사를 재구성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대표 저서로는 『한국 중세의 읍치와 성』(2014), 『한국문화의 정체성』(공저, 2021), 『고려에서 조선으로―여말선초, 단절인가 계승인가』(공저, 2019), 『한국의 대외관계와 외교사―조선 편』(공저, 2018), 『고려 역사상의 탐색』(공저, 2017), 『조선시대 예교담론과 예제질서』(공저, 2016) 등이 있다.
펼치기
박종천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HK교수 서울대학교 종교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한국유교 및 의례이론(예학)을 주전공으로 박사학위(철학박사)를 받았다. 제9회 다산학술상 우수연구상, 제3회 석탑연구상, 제4회 석탑연구상 등을 수상했고, 조선시대 문화와 한국종교사, 종교학이론 외에도 영화, 만화, 컴퓨터게임, 문화콘텐츠, 한류 등 다양한 영역과 장르에 걸쳐 한국의 전통문화와 현대 대중문화를 포함한 인문학과 문화산업에 대한 다양한 연구와 교육을 진행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 《다산 정약용의 의례이론》, 《만화, 생사의 미궁을 열다》, 《예, 3천년 동양을 지배하다》, 《양동마을과 공동체의 미래》, 《석천마을과 공동체의 미래》 등이 있다.
펼치기
박경남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교수.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에서 한국 한문학 전공으로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유한준의 도문분리론과 산문세계」(2009)로 박사 논문을 쓴 후, 유한준 연구를 지속하면서 그와 관련된 연구과제를 심화·확대하는 과정에서 개인의 발견, 명대 복고파의 재해석, 문학 속 상인 형상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저서로는 『중국 문학 속 상인 세계』(공역, 2017), 『동아시아 문학 속 상인 형상』(공저, 2017), 『정조와 정조 이후: 정조시대와 19세기의 연속과 단절』(공저, 2017) 등이 있다.
펼치기
김종만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 한국사학과를 거쳐 서강대 종교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고려대 포닥연구교수를 지냈고, 현재는 경희대 종교시민문화연구소 학술연구교수로 있으면서 고려대, 서강대, 서울신대에서 강의하고 있다. 『틱낫한과 하나님』, 『한국종교 따로보기』, 『틱낫한의 사랑이란 무엇인가』(역서), 『틱낫한의 깨어있는 마음수행』(역서) 등을 출판했다.
펼치기
고지혜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현대소설사를 공부해왔으며, 현재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연구교수로 재직 중이다. 해방 후 한국문학장의 형성 과정에 관심을 기울이며 1960~1990년대를 중심으로 각 시대의 문학형성과 정전을 구성하는 경계와 기율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 주요 논문으로는 「1950~1970년대 『소년소녀세계문학전집』의 '소녀'와 정전화 과정」, 「1964년의 조지훈과 민족문화 프로젝트」, 「1950년대 '신라'의 재전유와 네이션의 서사 만들기」 등이 있고, 동료 연구자들과 함께 여러 즐거운 시도를 하며 연구자 생활정보지 『바람의 연구자』를 만들었다.
펼치기
데니엘 필립 코놀리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학부 조교수 캐나다 톰슨 리버스대학교 역사학과 학사, 고려대학교 국제관계학 석사 및 박사 졸업. 현재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학부 조교수. 주요 논저로는 “Unwanted Participation? Defector Public Diplomacy in South Korea.” [Australian Journal of International Affairs(2022년 출간 예정)], “Artificial Intelligence and Human Rights in APEC: Navigating the Shortcuts, Gaps, and Traps.” [Journal of APEC Studies Vol.13, No.1(2021)], “Why Are Developed Countries Giving Aid to India?.” [Asian Survey Vol.61, No.2(공저, 2021)], “New Frontiers of Profit and Risk: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s Impact on Business and Human Rights.” [New Political Economy Vol.26, No.1(공저, 2021)] 등이 있음.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