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세계철학사 8

세계철학사 8

러시아과학아카데미연구소 (엮은이), 이을호 (옮긴이), 임석진 (감수)
중원문화
4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세계철학사 8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세계철학사 8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철학 일반 > 철학사
· ISBN : 9788977283190
· 쪽수 : 412쪽
· 출판일 : 2010-01-01

목차

1권

서론

제1장 고대 철학의 발생과 발전
1. 고대 이집트와 바빌로니아 철학
2. 고대 인도철학
3. 고대 중국철학
■ 제1장 내용 요약
서문

제1장 18세기 프랑스의 계몽 철학과 유물론
제2장 자본주의 이행기의 독일 고전철학
제3장 1848년의 부르주아혁명 전야의 독일 고전철학
제2장 그리스. 로마의 철학
1. 이오니아의 사상가들
2. 데모크리토스와 플라톤 철학
3. 아리스토텔레스의 철학
4. 헬레니즘 시대의 철학
5. 고대 로마 철학
■ 제2장 내용 요약

제3장 중세 철학
1. 동방국가들의 철학
2. 서유럽 국가들의 철학사상
■ 제3장 내용 요약


2권

서 문

제1장 근세 철학 - 르네상스 및 종교개혁
1. 르네상스의 철학
2. 종교개혁기의 철학과 사회학 사상
3. 초기의 공상적 사회주의
4. 과학과 신학의 투쟁
5. 16세기 말 유물론과 관념론의 투쟁
■ 제1장 내용 요약
서문

제2장 초기 부르주아 혁명시대의 철학
1. 17세기 기계론적 유물론과 형이상학적 사고방법의 자연과학적 기초의 형성
2. 이탈리아에서의 유물론과 자연과학의 발전
3. 영국에서의 철학사상의 발전
4. 17세기 프랑스의 철학
5. 17세기 네덜란드의 유물론
6. 기계론적 자연과학과 형이상학적 유물론의 발전
7. 17세기 부르주아 혁명후의 영국의 철학
8. 17~18세기의 독일의 철학
9. 17~18세기의 이탈리아의 사회관
■ 제2장 내용 요약

제3장 자본주의 초기 러시아의 철학사상
1. 17~18세기 러시아의 철학적 견해와 사회학 사상
2. 로모노소프의 유물론
■ 제3장 내용 요약


3권

서문

제1장 18세기 프랑스의 계몽 철학과 유물론
1. 베일의 회의론과멜리에의 유물론 및 공상적 사회주의
2. 브르주아 계몽철학자들
3. 18세기 프랑스의 유물론자들
4. 자연과학자들의 형이상학적 견해와 프랑스 유물론
5. 계몽적 민주주의자들과 공상적 공산주의자들의 철학적.사회학적 견해
6. 브르주아혁명기의 프랑스의 철학사상
■ 제1장 내용 요약

제2장 자본주의 이행기의 독일 고전철학
1. 18세기 독일 계몽철학자들
2. 칸트,피히테,셸링
3. 헤겔
■ 제2장 내용 요약

제3장 1848년의 부르주아혁명 전야의 독일 고전철학
1. 헤겔학파의 분열
2. 포이에르바하의 유물론
■ 제3장 내용 요약



4권

제1장 공상적 사회주의 및 자연과학적 발견의 철학적 의의
1. 프랑스,영국, 독일의 공상적 사회주의
2. 프랑스의 관념론적 철학사상과 사회학
3. 왕정복고기 프랑스 역사가들의 사회학이론
4. 19세기 전반 영국의 철학사상과 사회사상
5. 자연과학에서의 변증법적 자연관의 준비와 성립
■ 제1장 내용 요약

제2장 농노제의 위기와 자본주의 이행기의 러시아의 철학사상
1. 1830~40년대 러시아의 계몽주의자와 그 철학적 견해
2. 벨린스키, 철학과 미학의 발전과정에서의 그의 역할
3. 헤르첸, 유물론 철학의 발전과정에서의 그의 역할
■ 제2장 내용 요약

제3장 자본주의 이행기의 러시아의 민주주의자들의 철학사상(1)
1. 오가료프의 철학적 견해
2. 페트라셰프스키 단원의 철학적.사회학적 견해
3. 선진적인 러시아 자연과학자들의 유물론 투쟁
4. 러시아의 혁명적 민주주의의 유물론 철학
■ 제3장 내용 요약



5권

제4장 자본주의 이행기의 러시아의 민주주의자들의 철학사상(2)
1. 도브롤류보프의 철학적 견해
2. 유물론을 위한 투쟁에서의 피사레프의 역할
3. 세체노프와 그의 저서『뇌수의 반사』
■ 제2,3,4장 내용 요약

제5장 자본주의 이행기 동유럽의 철학.사회학 사상
1. 폴란드
2. 발칸반도의 제민족
3. 루마니아
4. 체코와 슬로바키아
5. 헝가리
6. 불가리아
■ 제5장 내용 요약

제6장 1830년대부터 1861~65년 내전 개시까지 미국의 철학.사회학 사상의 발전
1. 미국의 사회학설.공상적 사회주의 사상의 보급
2. 에머슨 및 여타 오월클럽 대표자들의 철학적 견해.자연과학자들의
노작에 나타난 유물론 사상
■ 제6장 내용 요약

제7장 자본주의 이행기 라틴아메리카의 철학.사회학 사상
■ 제7장 내용 요약

제8장 봉건제도 붕괴의 인도 및 중국의 철학.사회학 사상
1. 인도
2. 중국
■ 제8장 내용 요약

결 론- 18세기 말과 19세기


6권

편집자 서문

제1장 철학의 혁명적 변혁으로서의 변증법적 유물론과 사적 유물론
1. 마르크스주의 철학의 성립을 위한 역사적 조건과 이론적 과제
2. 마르크스와 엥겔스의 사회.정치적 및 과학적 활동의 개시
3. 관념론에서 변증법적 유물론으로 그리고 민주주의에서 공산주의로의 이행
4. 관념론과 민주주의로부터 변증법적 유물론과 공산주의로의 최종적인 이행
5. 과학적 공산주의의 철학적 기초의 심화와 완성
6. 프루동주의와의 투쟁
7.『공산당선언』은 마르크스주의적 세계관의 강령적 문헌이다
8. 마르크스와 엥겔스에 의해 수행된 철학에서 혁명적 변혁의 본질과 의의
9. 독점 이전의 자본주의 시대에서 마르크스주의 철학 발전의 기본적 시기
■ 제1장 내용 요약

제2장 1848년의 부르주아 혁명으로부터 파리 코뮨 시기의 마르크스-엥겔스의 사상의 발전
1. 마르크스의『자본론』 및 기타 여러 저작에 나타난 변증법적 유물론의 발전
2. 마르크스와 엥겔스의 『자본론』및 다른 저작에 있어서의 사적 유물론의 발전
3.
■ 제2장 내용 요약

제3장 파리 코뮨 이후 시기의 마르크스.엥겔스의 사상의 발전
1. 자연과학 발전의 성과들에 대한 마르크스와 엥겔스의 변증법적 유물론의 일반화
2. 엥겔스의 노작『반뒤링론』과『루드비히 포이에르바하와 독일 고전철학의 종말』에 나타난
변증법적 유물론의 발전과 그 노작의 의의
3. 마르크스와 엥겔스에 의한 사적 유물론의 발전
■ 제3장 내용 요약




7권
제4장 마르크스와 엥겔스의 저작에서 본 철학의 제문제
1. 마르크스와 엥겔스의 저작에서 보이는 변증법적 유물론의 기본적 특징
2. 마르크스와 엥겔스의 저작에 나타난 사적 유물론의 기본적 특징
3. 마르크스와 엥겔스의 저작에 나타난 철학사의 제문제
4. 마르크스와 엥겔스의 저작에 나타난 자연과학사의 철학적 제문제
5. 마르크스와 엥겔스의 저작에 나타난 윤리학의 제문제
6. 마르크스와 엥겔스의 저작에 나타난 미학의 제문제
7. 마르크스와 엥겔스의 저작에 나타난 과학적 무신론의 철학적 기초
■ 제4장 내용 요약

제5장 1848년 부르주아 혁명에서 제국주의 시대 초기까지의 독일 철학사상과 사회학사상
1. 부르주아 철학사상과 사회학사상
2. 변증법적 유물론과 사적 유물론에 입각한 마르크스와 엥겔스 후계자들의 독일 노동운동에
있어서의 부르주아 이데올로기와 소부르주아 이데올로기의 영향과의 투쟁
3. 자연과학자의 저작에 나타난 철학사상
■ 제5장 내용 요약

제6장 이전 자본주의 시기의 영국 철학사상과 사회학사상
1. 19세기 후반 영국의 실증주의
2. 1870~1890년대의 철학적 반동, 절대적 관념론
3. 영국 부르주아 사회학의 지리주의와 인종주의
4. 19세기 후반 영국 과학자들의 노작에 나타난 자연과학의 철학적 제문제
5. 영국에서 마르크스주의 철학사상의 보급
■ 제6장 내용 요약


8권

제7장 1848년 혁명에서 제국주의시대 초기까지의 프랑스 철학사상과 사회학사상
1. 1848년 혁명 이후 부르주아 철학의 기본적 각종 사조
2. 프랑스의 부르주아 사회학
3. 프랑스 자연과학자들의 여러 저작에 나타난 철학상의 제문제
4. 프랑스에서 마르크스주의 철학의 보급과 발전
■ 제7장 내용 요약

제8장 자본주의 확립기의 이탈리아 및 스페인의 철학사조와 사회학사조
● 이탈리아
1. 마르크스주의 이전의 이탈리아 철학사상과 사회학사상
2. 이탈리아 과학자들의 저작에 나타난 자연과학의 철학적 제문제
3. 19세기 말 이탈리아에서의 마르크스주의 철학의 보급
●스페인
스페인 철학사상의 전통과 19세기 후반스페인 철학의 가장 중요한 제사조
■ 제8장 내용 요약

제9장 독점자본주의 이전시기의 스칸디나비아 제국의 철학사상과 사회학사상
1. 스웨덴
2. 덴마크
3. 노르웨이
■ 제9장 내용 요약

제10장 독점자본주의 이전시기의 러시아 철학사상과 사회학사상의 발전
1. 체르니셰프스키 후계자들의 유물론적 세계관
2. 나로드니키의 철학적 견해와 사회학적 견해
3. 도스토예프스키의 세계관
4. 톨스토이의 세계관
5. 1860~1890년대의 부르주아.귀족적 관념론 철학
6. 1860~1890년대 러시아의 논리학설
■ 제10장 내용 요약




9권

제1장 1880~1890년대 러시아의 자연과학과 마르크스주의 보급
1. 자연과학의 철학적 문제와 과학에서 유물론을 둘러싼 논쟁
2. 마르크스주의적 저작과 플레하노프의 역할
3. 플레하노프의 저작에 나타난 유물론적 변증법의 제문제
4. 플레하노프의 저작에 나타난 마르크스주의의 철학적 유물론의 제문제
5. 플레하노프의 저작에 나타난 사적 유물론의 제문제
6. 플레하노프의 저작에 나타난 철학사의 제문제
7. 마르크스주의 미학의 제문제
■ 제1장 내용 요약

제2장 독점자본주의 이전시기(19세기 후반)의 미국 철학사상과 사회학사상
1. 미국의 자연과학에서 유물론과 관념론의 투쟁
2. 미국의 관념론 철학
3. 미국의 부르주아 사회학
4. 19세기 후반 미국에서 마르크주의 철학사상의 보급
■ 제2장 내용 요약

제3장 19세기 후반 중국의 철학사상과 사회학사상
1. 초기 개량주의자들의 사회학사상
2. 19세기 말의 계몽적 개량주의자들의 철학적, 사회학적 제견해

제4장 식민지시대의 인도 철학사상과 사회학사상
■ 제3장 내용 요약

결론



10권

제1장 마르크스주의 철학에서 레닌적 단계의 시작
1. 마르크스주의 철학에서 레닌적 단계의 역사적 전제와 그 특징
2. 마르크스주의 철학의 레닌적 단계의 자연과학적 전제
3. 레닌의 활동 개요
4. 나로드니키주의의 철학적, 사회학적 견해와 레닌이 이룩한 마르크스주의 철학
5. 신칸트주의 및 수정주의와 투쟁과정에서 레닌이 이룩한 마르크스주의 철학의 발전
6. 제1차 러시아 혁명기 변증법적 유물론과 사적 유물론의 여러 문제에 대한 레닌의 해명
■ 제1장 내용 요약

제2장 제1차 러시아혁명이후 마르크스주의의 철학의 발전(20세기 초반)
1. 제1차 러시아혁명이후 마르크스주의의 철학의 발전의 역사적 조건
2. 관념론 및 형이상학과 투쟁하는 과정에서 레닌이 이룩한 변증법적 유물론의 발전
3. 19세기와 20세기 전환기, 자연과학의 최신 혁명과 성과에 대한 레닌의 철학적 개괄
4. 레닌의 의한 사적 유물론의 발전
■ 제2장 내용 요약

제3장 10월 사회주의 대혁명 준비기의 레닌에 의한 마르크스주의의 발전
1. 1910~1917년 사이의 마르크스주의 철학 발전의 역사적 조건
2. 1910~1914년 레닌의 여러 저작에서 나타난 변증법적 유물론의 발전
3. 레닌의 [철학노트]
4. 레닌과 그의 제자, 동지들이 이룩한 사적 유물론의 발전(1910~1917년)
5. 1920년대 후반에 이루어진 물리학 혁명을 계승한 레닌의 철학사상
■ 제3장 내용 요약

부록


11권

제4장 레닌과 그 전우들의 저작에 나타난 철학사, 미학, 윤리학, 과학적 무신론의 문제
1. 철학사와 자연과학의 문제
2. 미학의 문제
3. 윤리학의 문제
4. 과학적 무신론
■ 제4장 내용 요약

제5장 1903년 이후 플레하노프의 철학적 저작
1. 플레하노프가 멘셰비키적 경향을 보였던 시기와 그의 철학적 견해
2. 부르주아적 관념론 철학과 철학적 수정주의에 대한 플레하노프의 비판
3. 1903~1917년 플레하노프의 저작에 나타나 변증법적 유물론과 사적 유물론의 문제
■ 제5장 내용 요약

제6장 19세기 말~20세기 초 러시아 자연과학과 수학에서 전개된 유물론과 관념론의 투쟁
1. 물리학에서 나타난 유물론적 경향과 관념론적 경향
2. 수학과 수학적 논리학에 관한 철학적 제문제
3. 물질에 관한 학설에서 유물론적 사상의 발전
4. 생물학에서 전개된 유물론을 위한 투쟁
5. 생리학에서 전개된 유물론을 위한 투쟁
■ 제6장 내용 요약

제7장 제국주의 시대 러시아의 부르주아적.지주적 관념론 철학 및 사회학 비판
1. 신칸트주의와 종교적.신비주의적 철학에 대한 비판
2. 실증주의 사회학 비판
■ 제7장 내용 요약

제8장 제국주의 시대 독일의 철학사상과 사회학사상
1. 20세기 초반의 부르주아 철학 신칸트주의와 후설의 현상학
2. 20세기 초반의 부르주아 사회학
3. 마르크스주의 철학의 보급과 노동운동에서 반(反)수정주의 투쟁
■ 제8장 내용 요약

제9장 19세기 말~20세기 초 독일 자연과학과 수학에서 전개된 유물론과 관념론의 투쟁
1. 이론물리학에서 유물론적 입장의 강화
2. 수학에서 나타난 철학의 제문제
3. 오스트발트의 에너지론 및 유물론과 벌인 투쟁에서 그의 패배
4. 물질구조에 관한 학설과 연관된 유물론의 발전
5. 생물학에서 전개된 유물론과 관념론의 투쟁
■ 제9장 내용 요약

제10장 독점 자본주의 시대 오스트리아의 철학사상과 사회학사상
1. 부르주아 철학과 사회학
2. 마르크스주의 철학 및 사회학 구상
3. 19세기 말~20세기 초 자연과학에 나타난 유물론적 사상
■ 제10장 내용 요약

제11장 제국주의 시대 영국의 철학사상과 사회학사상
1. 19세기 말 ~ 20세기 초 부르주아 철학
2. 19세기 말 ~ 20세기 초 부르주아 사회학
3. 19세기 말 ~ 20세기 초 자연과학자들의 제발견과 그 철학의 의의
4. 마르크스주의 철학의 보급
■ 제11장 내용 요약




12권
제12장 제국주의 시대 초기에서 제1차 세계대전
종료까지 프랑스의 철학사상과 사회학사상

1. 19세기 말∼20세기 초의 부르주아 철학
2. 19세기 말∼20세기 초의 부르주아 사회학
3. 자연과학자들의 발견과
자연과학에서 유물론과 관념론의 투쟁
4. 노동운동에서 철학사상과 사회학사상

■ 제12장 내용 요약
제13장 제국주의 시대 벨기에와
네덜란드의 철학사상과 사회학사상

1. 벨 기 에
J. 야크모트, K. 우바크스, A. 레피디, 데 상, 반 베딩겐, L. 휘르어,
A. 케틀레, J. 델뵈프, D. 메르시에, M. 드 울프, E. 베르하렌,
M. 메테르링크, E. 솔베, E. 왁스와일러, G. 드 흐레프, P. 뒤엠,
A. 데퓌소, S. 드 파브, L. 베르트란, E. 판 데 펠데

2. 네 덜 란 드

G. J. 볼란드, G. 하이만스, J. 안헤넨트, S. R 스타인메츠,
W. A. 본허, F. D. 뉴웬호이스, P. 트룰스트라, H. 판콜, A 판네쿠스,
H. 호르터, H. A. 로렌츠, J. 반트 호프, H. 드 프리스

■ 제13장 내용 요약

제14장 독점 자본주의 시기 이탈리아와 스페인의
철학사상과 사회학사상의 발전

이 탈 리 아

1. 20세기 초의 부르주아 철학사상과 사회학사상
R. 무리, G. 바일라티, M. 칼데로니, G. 파피니, G. 프레촐리니,
B. 크로체, G. 젠틸레, V. 파레토

2. 19세기 말∼20세기 초의 자연과학 및 수학,
논리학의 철학적 문제
A. 리기, A. 피치니, G. 페아노

3. 20세기 초 이탈리아 노동운동의
철학사상과 사회학사상
마르크스주의 사상의 보급
F. 투라티, E. 페리, 아르투로 라브리올라, A. 그람시

스 페 인

1. 19세기 말∼20세기 초의 부르주아 철학과 사회학
R. M. 피카베아, G. A. 가니베트, M. 데 우나무노
자연과학적 유물론과 실증주의적 학설
L. S. 라카브라, S. 라몬 이 카할
공상적 사회주의 사상의 선전
F. 가리도

2. 마르크스주의 사상의 보급
J. 메사, F. 모라, J. 베라, V. 콘데-펠라요, J. J. 모라토,
P. 이글레시아스

■ 제14장 내용 요약

제15장 독점 자본주의 시대
북유럽 제국의 철학사상과 사회학사상

1. 스 웨 덴
C. J. 보스트룀, C. J. 사린, V. 노스트룀, A. 헤에르스트룀,
K. 팔렌, G. F. 슈터펜, J. R. 첼렌, S. 아레니우스,
K. H. 브란팅, K. 회그룬트

2. 덴 마 크
H. 회프딩, K. N. 스타르케, G. M. C. 브란데스, M. 안데르센 넥세
N. 보어의 과학사상이 지니는 철학적 의의
G. G. 트리에르, J. G. 방

3. 노 르 웨 이
K. 그레프, A. 뢰헨, K. B. R. 올스, A. A. F. 올, T. G. 웨라이데

4. 핀 란 드
J. V. 슈넬만, E. 뢴로크, C. G. T. 레인, W. 보린, E. A. 웨스터마크

■ 제15장 내용 요약

제16장 제국주의 시대 미국의 철학사상과
사회학사상의 발전
1. 관념론 철학의 주요 사조
W. 제임스, J. 듀이
신실재론
R. 페리, E. 홀트, W. 마빈, E. 스폴딩, W. 피트킨, W. 몬태규
인격주의
J. 로이스, B. 바운, M. 커킨스, E. 브라이트만, W. 호킹,
R. 플러웰링

2. 제국주의 시대의 부르주아 사회학사상
W. 섬너, A. 스몰, Ch. H. 쿨리, E. 로스

3. 미국 과학자들의 저작에 나타난 자연과학의
철학적 문제
Th. 에디슨, A. 마이켈슨, G. 루이스, H. 러셀, L. 버뱅크,
J. 레브, Th. 모간

4. 마르크스주의 철학사상의 보급
Ch. 루센버그, J. 리드, W. 포스터, W. 헤이우드, E. 뎁즈

■ 제16장 내용 요약
제17장 독점 자본주의 시기 캐나다의 철학사상

부르주아적 관념론 철학
J. C. 머레이, G. 융, W. 콜드웰, G. 블러웨트, H. L. 스튜어트,
J. 맥도날드, J. 와트슨, S. 브레트
캐나다의 노동운동의 이론적 사상

■ 제17장 내용 요약

제18장 19세기 말∼20세기 초
라틴 아메리카 제국의 철학사상과 사회학사상

1. 브 라 질
R. de F. 브리토, M. J. de 피게이레도, E. 타파죠스, E. 다 큐냐

2. 멕 시 코
G. 가르시아, A. 카소, F. 헤르난데스, A. L. 헤레라

3. 쿠 바
E. J. 바로나, C. 발리뇨




4. 우 루 과 이
J. E. 로도, C. 바즈 페레라

5. 아 르 헨 티 나
F. 아메기노, J. 인헤니에로스, 판 B. 후스토

6. 페 루
M. G. 프라다

■ 제18장 내용 요약

제19장 20세기 초부터 10월 사회주의 대혁명까지
중국의 철학사상과 사회학사상의 발전

1. 혁명적 민주주의자의 철학적 및 사회학적 견해
손문의 철학적 제견해
손문의 사회학적 제견해
장병린, 추용, 진천화의 철학적 견해

2. 노신의 세계관
3. 사회주의 사상의 보급

■ 제19장 내용 요약

제20장 20세기 초부터 제1차 세계대전
종료까지 인도 철학사상과 사회학사상

B. G. 틸락, G. K. 고칼레, D. 나오르지, 카마, J. 네루,
J. 크리슈나무르티, B. 차타지, J. C. 보스, P. L. 로이,
A. 고쉬, R. 타고르, B. 다스, K. 바타차리야, S. 아베다난다

■ 제20장 내용 요약





부록
제21장 제국주의 시대 일본, 중동, 베트남, 한국 등의 사회학사상 및 철학사상
1. 일본의 관념론 철학
2. 일본의 유물론 사상의 발전
3. 아랍의 사회학사상 및 철학사상
4. 이란의 사회학사상 및 철학사상
5. 터키의 사회학사상 및 철학사상
6. 한국의 사회학사상 및 철학사상
7. 베트남의 사회학사상 및 철학사상

■ 제21장 내용 요약
결론-간단한 결론


저자소개

러시아과학아카데미연구소 (엮은이)    정보 더보기
원 편집자 「러시아과학아카데미연구소」는 1724년 표트르 1세에 의해 창립되어, 러시아혁명 전에는 ‘상트페테르부르크 과학아카데미’라고 불리다가, 소련 연방의 성립 이후 1925년부터 ‘소비에트연방 과학아카데미연구소’로 명칭을 바꾸어 1934년 모스크바로 이전되었다. 현재는 「러시아과학아카데미연구소」로 통합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리고 13개의 전문 과학 분과와 3개의 지역 분과, 15개의 지역 과학 센터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소는 다양한 목적을 위해 조직된 수많은 협의회, 위원회 및 커미션이 있으며 2017년 11월 현재 1008개의 기관 및 기타 지역단위가 포함되어 있다. 고용인원 총 125,000여 명이며 그 중 47,000명이 과학 연구원으로 일하고 있다.
펼치기
이을호 (옮긴이)    정보 더보기
1955년 전북 부안에서 출생하였으며 전주고등학교를 거쳐 서울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였다. 1983년부터 민청련에서 정책실장 및 우리노동문제연구원 연구실장을 역임하였다. 본사 편집부장으로 2년 여간 재직하며 이 책을 번역 및 편집하였다. 또한 본서와 함께 철학사전을 책임 편집하기도 하였다. 이외에도 임석진 박사님의「헤겔에 있어서 노동의 개념」(1978년)을 번역한 바 있으며 1980년대 사회운동의 지침서 역할을 했던 다수의 논문이 있다.
펼치기
임석진 (감수)    정보 더보기
현대 한국 철학자. 강원도 춘천에서 출생. 서울대학교 정치학과를 졸업하고 독일 하이델베르크대학에서 사회학을 전공한 뒤, 프랑크푸르트대학에서 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서울대학교 강사, 명지대학교 철학과 교수를 지냈으며 「한국헤겔학회」를 창립하고 초대 회장을 역임했다. 2008년 서우(曙宇) 최재희(崔載喜, 1914?1984) 박사를 기리기 위한 서우철학상(曙宇哲學賞)을 수상하였다. 국내에 처음으로 G.W.F. 헤겔을 최초로 소개한 철학자이며 『정신현상학』 및 『대논리학』, 『법철학』 등을 번역하였으며 특히 25년 동안의 연구 끝에 펴낸 『정신현상학』 한국어판은 그간 무비판적으로 수용해왔던 일본어 번역용어들을 이해하기 쉬운 우리말로 바꾸고, 다의적으로 사용되는 언어의 핵심을 알려주기 위해 해당 어휘가 등장할 때마다 그것이 지시하는 참뜻을 적절히 번역하였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