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북한사
· ISBN : 9788977469464
· 쪽수 : 360쪽
· 출판일 : 2020-11-08
책 소개
목차
머리말
북조선의 눈으로 본 북조선 현대사 … 004
제1장_ 일본의 패망과 조선의 해방
1. 최후결전 준비 … 015
2. 조국 해방 최후결전 … 028
3. 일제의 무조건 항복과 항일무장투쟁의 승리 … 048
제2장_ 해방된 조선은 어느 길로 가야 하는가?
1. 해방 직후 국내외 정세 … 060
2. 조선 인민혁명군의 개선 … 074
제3장_ 건당·건국의 초석을 세우다
1. 주체형의 당을 창건하다 … 098
2. 각계각층 대중단체 건설 … 119
3. 민족통일전선의 결성 … 127
제4장_ 북의 정권기구 ‘북조선임시인민위원회’ 수립과 민주개혁
1. 조성된 정세 … 138
2. ‘북조선임시인민위원회’ 수립 … 143
3. 제반 민주개혁의 추진 … 148
4. 보통강 개수공사 … 178
5. 건국사상총동원운동 … 183
제5장_ 북조선노동당 창립
1. 근로 민중의 대중적 당으로 강화발전의 필연성 … 192
2. 합당 추진과정 … 196
3. 북조선노동당의 창립 … 200
4. 당 마크에 얽힌 사연 … 206
5. 진통 속에서 태어난 남조선노동당 … 208
제6장_ 북조선 인민위원회 수립과 계획경제 실시
1. 역사적 첫 민주선거의 실시 … 212
2. 북조선 인민위원회 수립 … 222
3. 1947년 인민경제발전계획 … 229
제7장_ 조선인민군 창건
1. 정규군 창설의 기초 축성 … 248
2. 조선인민군 창건 … 265
제8장_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창건
1. 새로운 정세 … 278
2. 조선노동당의 탄생 … 284
3. 4월남북연석회의 … 292
4.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창건 … 305
『보론』
중국 내전에서 중국공산당의 승리와 조선의 관계에 관한 기록
1. 조중혈맹의 초석을 닦다. … 326
2. 동북해방 전투에 대한 조선의 적극적 공헌 … 346
저자소개
책속에서
1930년대 이후 항일무장투쟁사를 쓰면서 뭔가 부족함을 느꼈다. 항일무장투쟁의 현재적 의미를 명확하게 하려면 해방공간에서 조선 인민혁명군의 활약상을 조명해야 하는데, 지금까지 해방전후사가 주로 서울이라는 공간을 중심으로 연구되고 쓰여지다 보니 조선 인민혁명군 관련 기술은 주변으로 밀려날 수밖에 없었다. 게다가 역사학의 영역에도 분단 이데올로기가 깊숙이 침습해 들어와 현재 이북 정권의 출발과정을 실사구시해서 연구하기 어려웠다.
그래서 1930년대 항일무장투쟁과 이북 정권의 성립이라는 화두를 갖고 새롭게 이북 정권의 성립과정을 살펴보기로 했다. 하지만 이것은 매우 위험한 작업이었다. 아직 우리 사회에는 반공 반북의 유령들이 횡행하고 있고, 대다수의 사람이 반북이데올로기로부터 자유롭지 못하다. 이런 상황에서 이북 정권 성립과정을 그 주체인 조선 인민혁명군 중심으로 접근하면 많은 오해와 논란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 그럼에도 우리나라 현대사를 온전히 파악하고, 통일된 역사를 새로이 정립해 나가려면 꼭 필요한 작업이다.
이 책은 1930년대 이후 항일무장투쟁을 주도했던 조선 인민혁명군이 어떤 구상과 계획을 갖고, 어떤 힘에 의거해서, 어떤 난관과 장애물을 뛰어넘어 목표를 달성했는가를 담담하게 정리했다. 나 자신의 정치적 판단과 역사적 평가는 뒤로 미루었다. 우리의 현실에서는 우선 그들이 자신들의 역사를 어떻게 보고 평가하는가를 담담하게 알아보는 것이 필요하다고 본다. 그래야 뒤틀리고 왜곡되고 일방적으로 매도되고 있는 해방 이후 이북 정권 수립 과정에 대한 균형된 시각이 형성될 것이며, 그런 균형 잡힌 시각 하에서만 올바른 역사적 평가가 나올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