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사 일반
· ISBN : 9791191593044
· 쪽수 : 476쪽
· 출판일 : 2022-02-16
책 소개
목차
제1장 반외세 투쟁으로 시작된 한(조선)반도 근대사의 출발
박경순(우리역사연구가)
1절 근대의 시점
2절. 조선에서 자본주의적 관계의 발생과 발전
3절 1860년대 민족적 위기와 대원군의 집권
4절. 조선 민중의 반외세 투쟁
제2장 일본군국주의자들의 강제 개방과 임오군인폭동
박경순(우리역사연구가)
1절 미일공모의 서막
2절. 운양호 사건
3절. 강화도 조약
4절 개항의 후과와 민중들의 반일투쟁
5절 임오군인폭동(임오군란)
제3장 근대 부르주아 개혁운동
김이경(우리는 통일세대 작가)
1절 개화사상과 개화파의 발생
2절 개화파의 부르주아 개혁운동
3절 갑신정변
4절 갑신정변 이후 부르주아 개혁
제4장 갑오농민전쟁
최현진(DMZ 평화해설가)
1절 갑오농민전쟁의 성격과 정의
2절 동학과 농민전쟁의 연관성
3절 농민전쟁의 전개 과정
4절 일본침략자들을 반대한 농민군의 투쟁
5절. 갑오농민전쟁의 역사적 의의와 교훈
제5장 일제의 조선 강점과 반일의병투쟁
김강필(빅테이터 전문가)
1절 반일로 들끓는 한반도; 1895~1896년 반일의병투쟁
2절. 다시 든 총(1904년~1905년 반일의병투쟁)
3절. 도시를 점령하라!(1905~1906년 반일의병투쟁)
4절. 전민족적 항거로 발전한 반일의병투쟁(1907년~1909년 반일의병투쟁)
5절. 결코 식민지 노예 운명을 용납지 않는 민중
제6장 정치계몽운동 단체의 출현과 활동
김지호(문화기획자)
1절. 독립협회의 조직과 활동
2절. 협성회의 조직과 활동
3절. 공진회의 조직과 활동
제4절. 헌정연구회의 조직과 활동
제5절. 신민회의 조직과 활동
책속에서
우리나라 역사학계에서는 우리나라 근대의 시점에 관한 여러 논의가 있었지만 대체로 근대사회 출현의 출발점으로서 강화도 조약을 전후한 시기로 보는 견해가 많다. 이것은 ‘근대화=자본주의화’로 놓고, 우리나라에서 자본주의화 과정이 본격적으로 진행된 계기가 바로 강화도 조약이라고 본 때문이며, 대다수 국민 역시 이러한 견해에 대체로 동의하는 편이다. 이러한 인식의 출발점은 일제 식민지강점기의 역사관이다. 그 당시 식민사학계에서는 조선사회의 자주적 발전론을 뭉개고, 외세에 의한 발전이라는 사대주의적 역사관을 확립하는 것을 목표로 역사연구를 진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