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분권과 개혁

분권과 개혁

강명구, 박재창, B. J. 젤리거 (지은이)
오름
13,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분권과 개혁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분권과 개혁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정책/행정/조직
· ISBN : 9788977782426
· 쪽수 : 320쪽
· 출판일 : 2005-09-30

목차

- 분권의 전략, 개혁의 경로

제1장 분권과 개혁 : 이론적 틀의 모색
1. 경제의 세계화와 정치의 지방화
2. 분권, 경제재구조화, 그리고 정치적 민주주의
3. 시민사회의 민주적 활성화와 분권적 개혁
4. 분권 사례의 경험과 시사점

제2장 중국 분권화 개혁의 정치경제
1. 서론
2. 마오 시기 중국의 '분절된 계획체제'
3. 개혁기 분권화와 지방주도 성장의 정치
4. 지체되 시장화와 지방정부의 강화
5. 결론

제3장 중국의 정부개혁 : 회고와 전망
1. 서론
2. 중국 정부의 발전과정
3. 시대별 정부기구개혁의 과정과 특징
4. 인사제도의 개혁과정
5. 결론

제4장 일본의 지방분권과 지역 조직
1. 들어가며
2. 주민조직과 지방자치
3. 사례연구
4. NPO 특별법을 통한 지역사회 주민조직의 활성화
5. 결론

제5장 인도의 연방주의와 정당체계
1. 서론
2. 인도 연방주의의 기원과 연방제의 성격
3. 정당체계의 이행과 연방주의의 변화 양상
4. 결론

제6장 태국 지방자치의 발전과 구조적 특징
1. 서론
2. 태국 지방자치의 변화와 발전
3. 태국 지방자치의 구조 및 조직
4. 태국 지방자치의 특징
5. 결론

제7장 이탈리아의 지방자치와 분권
1. 서론
2. 통일 이후의 자치와 분권
3. 1980년대 이후의 분권
4. 헌법개정과 분권
5. 결론

제8장 독일 연방주의의 원리와 구조, 그리고 개혁
1. 서론
2. 독일 연방주의의 원리
3. 독일 연방주의의 구조
4. 독일 연방주의의 개혁
5. 결론

제9장 프랑스 지방자치단체의 재정자치
1. 서론
2. 국가의 통제와 재정자치
3. 세입과 세출에서의 재정자치
4. 재정자치의 평가와 전망

제10장 스웨덴 지방자치의 구조와 기능
1. 서론
2. 스웨덴 지방자치체의 구조
3. 스웨덴 지방자치체의 법적 근거
4. 스웨덴 지방자치체의 정치 조직
5. 기초자치구와 광역자치구의 임무
6. 지방자치제에 대한 통제 및 감독
7. 지방자치체의 재정
8. 요약 및 결론

제11장 남미의 분권과 개혁 : 전반적 추세와 멕시코의 경험
1. 연구의 목적과 범위
2. 비교적 관점에서 바라본 남미의 분권화 경험
3. 멕시코의 경험을 통해 본 분권과 개혁의 가능성과 한계
4. 결론에 대신하여

- 색인
- 필자소개

저자소개

강명구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양대학교 신문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신문학과에서 석사학위를, 미국 아이오와대학교에서 언론학 석사 및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현재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소장을 맡고 있으며, 1987년부터 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과에서 동아시아 미디어론, 비판커뮤니케이션, 질적연구방법론, 미디어 문화연구 등을 가르치고 있다. 일본 도쿄대학교 및 중국 전매대학 특임교수를 지냈고, 중국 칭화대학과 베이징대학에서 지난 6년간 강의하고 있다. 세계문화학회 아시아지역 대표이사, 글로벌 인터넷거버넌스 공동대표로 활동하면서 아시아 문화연구 네트워크 구축에 기여했다. 서울대학교 기초교육원장 및 자유전공학부 추진단장, 교수학습개발센터 등의 업무를 수행하면서, 서울대 글쓰기 센터를 설립했고, 과학기술 글쓰기 교육을 제도화했다. 이러한 대학교육의 국제화와 혁신에 기여한 공로로 2014년 ‘서울대학교 교육상’을 수상하였다. 지난 몇 년간 냉전과 텔레비전 방송의 문화사, 해방 후 한국 소비문화의 형성, 동아시아 가족관계 재현 비교, 지식생산의 식민성 등에 대한 연구를 수행해 왔다. 저서로는 《한국 저널리즘 이론》, 《소비대중문화와 포스트모더니즘》, 《가족과 미디어》(공저), 《한중일 청년을 말하다》(공편) 등이 있으며, 국내외 학술지에 “한국 언론의 구조변동과 언론전쟁”, “애국적 열망과 숭고한 과학”(공저), “문화적 냉전과 한국 최초의 텔레비전 HLKZ”(공저), “Are our families still Confucian? Representations of family in East Asian television dramas”(공저), “중국 텔레비전 시청자의 드라마 소비 취향 지도”(공저), “어떤 학자와 교수를 키울 것인가?: 대학 평가와 지식 생산” 등 다수의 논문을 게재하였다.
펼치기
박재창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재 숙명여자대학교 명예교수로 재직 중이다. 미국 뉴욕주립대학교에서 행정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 행정학회 회장, 한국 NGO학회 회장, 한국 국제지역학회 회장, 한국 정치행정연구회 회장을 역임했다. 한국외국어대학교 석좌교수, 독일 자유베를린대학교 홈볼트재단 연구교수, 미국 버클리대학교 플브라이트 교수, 일본 동지사대학교 객원교수, 태국 창마이라찻팟대학교 방문교수를 지냈다. 미국 정치학회의 Congressional Fellow, (사)한국미래정부연구회 이사장, (사)아세아의회발전연구소 소장, (사)옴부즈만연구소 이사장, 아시아·태평양 YMCA 연맹 회장으로 활동했다. 『코로나-19 시대의 국가와 시민사회』, 『지구 거버넌스와 NGO』, 『대안관광과 NGO』, 『옴부즈만: 제4부』, 『한국의 거버넌스』, 『한국의 헌법개정』, 『한국의 시대정신』, 『한국의 국정개혁』, 『New Governance: Issue and Challenges』, 『정치쇄신 4.0』, 『거버넌스 시대의 국정개조』, 『Responses to the Globalizing World』, 『한국민주주의와 시민사회』, 『분권과 개혁』, 『한국의회윤리론』, 『한국의회개혁론』, 『한국의회정치론』, 『한국전자의회론』, 『한국의회행정론』 등 50여 편의 저서와 편저가 있다.
펼치기
B. J. 젤리거 (엮은이)    정보 더보기
<분권과 개혁>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