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제주형 복지공동체 만들기 : 비전과 방안

제주형 복지공동체 만들기 : 비전과 방안

(제주국제협의회 총서 제24집)

제주국제협의회, 한국지방자치학회, 제주대학교 평화연구소, 제주특별자치도 (엮은이)
오름
1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3,500원 -10% 2,500원
750원
15,2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제주형 복지공동체 만들기 : 비전과 방안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제주형 복지공동체 만들기 : 비전과 방안 (제주국제협의회 총서 제24집)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복지
· ISBN : 9788977784154
· 쪽수 : 274쪽
· 출판일 : 2013-12-30

목차

개회사 (현천욱)

<기조강연> 서울시 마을공동체사업 도입의 의미와 전망 (김낙준)

제1분과 지역사회복지계획 수립에서의 제주형 복지 실현방안
<발표> 지역사회복지계획 수립에서의 제주형 복지 실현방안 (이재완)
<토론 1> 지역사회복지계획 수립에서의 제주형 복지 실현방안 토론 (장은식)
<토론 2> 지역사회복지계획 수립에서의 제주형 복지 실현방안: 지역사회복지계획의 평가와 모니터링 (전영록)

제2분과 ‘서울시민복지기준’설정 의의와 지역복지에의 함의
<발표> ‘서울시민복지기준’ 설정 의의와 지역복지에의 함의 (김연명)
<토론 1> ‘제주도민복지기준 설정’의 가능성을 생각하며 (고승한)
<토론 2> 제주형 복지기준 설정을 위한 제언 (박주희)

제3분과 제주국제자유도시 실현을 위한 다문화 복지정책
<발표> 제주국제자유도시 실현을 위한 다문화 복지정책 (최현)
<토론 1> 제주사회의 다문화 ? 다문화가정의 복지문제 (신창근)
<토론 2> 제주국제자유도시 실현을 위한 다문화 복지정책 토론 (김정우)

원탁회의 제주형 복지공동체 만들기의 현장 목소리
<원탁회의 1> 제주 복지공동체 구축과 제주지역의 복지발전을 위한 제안 (강철남)
<원탁회의 2> 이 시대에 왜 복지공동체인가? (이귀경)
<원탁회의 3> 제주지역 복지발전을 위한 제안 (임태봉)
<원탁회의 4> 수눌음 정신을 살리는 제주 사회복지공동체 추진 (차준호)
<보론> 제주형 복지가치 구현 방안 (남진열)

제4분과 정부간 복지재정 관계와 제주특별자치도의 재정분석 및 복지재정 전망
<발표> 정부간 복지재정 관계와 제주특별자치도의 재정분석 및 복지재정 전망 (민기)
<토론 1> ?정부간 복지재정 관계와 제주특별자치도의 재정분석 및 복지재정 전망?에 대한 토론 (김성순)
<토론 2> 제주특별자치도 예산의 특징과 복지재정 확보 방안 (박원철)

저자소개

한국지방자치학회 (지은이)    정보 더보기
▪김찬동 1. 최종 학력: 일본 동경대학대학원 법학정치학 연구과 정치학(행정) 박사 2. 현직: 충남대학교 도시자치융합학과 교수 3. 주요 경력: 한국지방자치학회 연구부회장,  한국지방계약학회장, 대통령소속 자치분권위원회 TF 위원, 권익위원회 정부업무자체평가위원  4. 대표 저술: 주민자치제도와 민주주의 혁신(2022, 충남대학교출판문화원, 23년 학술원 우수도서 선정), 주민자치정책론(2019, 충남대학교출판문화원), 주민자치의 이해 (2015, 충남대학교출판문화원) ▪최영출 1. 최종 학력: 영국 Newcastle University 대학원(정책학 박사) 2. 현직: 충북대학교 행정학과 교수 3. 주요 경력: 행정안전부 자치단체합동평가단장/합동평가위원회 위원장 4.대표 저술: 근린자치제도론(2015, 공저, 박영사), 영국의 지역정책(2009, 개신), The Dynamics of Public Service Contracting: The British Experience(1999, The Policy Press). ▪최진혁 1. 최종 학력: 프랑스 Universite de Paris I(Pantheon-Sorbonne) 대학원(법학 박사) 2. 현직: 충남대학교 도시자치융합학과 명예교수 3. 주요 경력: 제22대 (사) 한국지방자치학회 회장, 대통령직속 지방자치발전위원회 제3실무위원장, 대통령소속 자치분권위원회 정책자문위원장 4. 대표 저술: 대한민국 자치행정학 연구(2024, 충남대학교출판문화원), 지방시대 자치분권의 회고와 전망(2024, 충남대학교출판문화원) ▪한부영 1. 최종 학력: 독일 Dentsche Hochschule feur Verwaltungswissenschaften Speyer(행정학 박사) 2. 현직: 전 한국지방행정연구원 선임연구위원 3. 주요 경력: 한국지방자치학회․한국지방자치법학회 부회장 4. 대표 저술: 독일행정론(공저, 2002, 백산자료원), 독일연방정부론(공저, 2001, 백산자료원) ▪이종원 1. 최종 학력: 미국 Northwestern University 대학원(정치학 박사) 2. 현직: 가톨릭대학교 정경학부 행정학 교수 3. 주요 경력: 서울행정학회장, 한국지방자치학회․한국행정학회 부회장 4.대표 저술: 비교정치행정(공저, 2018, 박영사), 행정(공저, 2015, 조명문화사), 지방의회의 이해(공저, 2008, 박영사) ▪채원호 1. 최종 학력: 서울대학교(행정학 박사), 동경대 대학원 박사과정 수료 2. 현직: 가톨릭대학교 법정경학부 행정학 교수 3. 주요 경력: 제17대 한국도시행정학회 회장, 서울행정학회 회장, 경실련 정책위원장 및 상임집행위원회 위원장 4. 대표 저술: 행정윤리론(공저, 2025, 대영문화사), 도시의 미래(공저, 2024, 박영사), 도시행정의 이론과 실제(공저, 2022, 대영문화사), 경제자유구역(공저, 2017, 대영문화사) ▪배귀희 1. 최종 학력: 미국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대학원(행정학 박사) 2. 현직: 숭실대학교 행정학부 교수 3. 주요 경력: 제28대 (사) 한국지방자치학회 회장, 한국행정연구원 협력․갈등관리센터 센터장, 한국정책과학학회 회장 4. 대표 저술: 리더와 리더십(공저, 2023, 박영사), 공직윤리핸드북(공역, 2018, 조명문화사) ▪송광태 1. 최종 학력: 중앙대학교 대학원(행정학 박사) 2. 현직: 국립 창원대학교 행정학과 교수 3. 주요 경력: 대통령자문 정부혁신지방분권위원회 전문위원, 부산․경남지방자치학회 회장 4. 대표 저술: 대한민국 국가경쟁력 강화를 위한 지방분권개헌(공저, 2019, 조명문화사) ▪박기관 1. 최종 학력: 건국대학교 대학원(행정학 박사) 2. 현직: 상지대학교 공공인재학과 교수 3.주요 경력: 제25대 한국지방자치학회 회장, 대통령직속 지방시대위원회 위원, 기획재정부 중장기발전전략위원회 위원 4. 대표 저술: 지방의회도 청문회를 한다(2023, 박영사), 한국지방정치행정론(2015, 도서출판 청목). ▪박노수 1. 최종 학력: 서울시립대학교(도시행정학 박사) 2. 현직: 경희대학교 공공대학원 교수(객원), 한국행정학회 부회장 3.주요경력: 서울시립대 초빙교수, 서울특별시의회 수석전문위원, 한국지방자치학회 부회장,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지방자치위원 4. 대표 저술: 정부간관계론(공저, 2020, 대영문화사), 신지방의회론(공저, 2019, 박영사) ▪문병기 1. 최종 학력: 미국 The Ohio State University 대학원(정책학 박사) 2. 현직: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행정학과 교수 3. 주요 경력: 제24대 (사)한국지방자치학회 회장, 제3대 한국이민정책학회 회장, 행정고시 및 입법고시 출제위원 4. 대표 저술: 현대 정치와 행정(2024,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거버넌스의 이해(공저, 2023, 대영문화사), 지방의회의 이해(공저, 2008, 박영사) ▪황아란 1. 최종 학력: 미국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Stony Brook(정치학 박사) 2. 현직: 전 부산대학교 공공정책학부 교수 3. 주요 경력: 한국지방행정연구원 수석연구원, 자치단체 합동평가 지표개발 추진위원 4. 대표 저술: 신지방의회론(공저, 2019, 박영사), 지방정치의 이해2(공저, 2016, 박영사) ▪김상미 1. 최종 학력: 이화여자대학교(행정학 박사) 2. 현직: (사) 지방의회발전연구원 원장 3.주요 경력: 대통령소속 자치분권위원회 위원, 대통령직속 지방자치발전위원회자문위원, 대통령직속지방분권촉진위원회제1․제3 실무위원․지방의회 활성화 TF 및 연구위원 4. 대표 저술: 한국의 지방자치: 분권, 치리, 정책(공저, 2022, 법문사), 문재인정부의 자치분권(공저, 2021, 조명문화사), 공직윤리 핸드북(공역, 2018, 조명문화사), 윤리역량(공역, 2018, 조명문화사)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