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한 권으로 읽는 북한사

한 권으로 읽는 북한사

이신재 (지은이)
오름
1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6,200원 -10% 0원
900원
15,3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한 권으로 읽는 북한사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한 권으로 읽는 북한사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통일/북한관계 > 북한학 일반
· ISBN : 9788977784680
· 쪽수 : 404쪽
· 출판일 : 2016-09-27

책 소개

2014년 7월부터 2015년 6월까지 1년 동안 『국방일보』에 ‘이야기로 풀어 쓴 북한사’라는 이름으로 매주 연재했던 원고를 한 권으로 엮은 것으로, 북한을 조금이라도 더 알고 이해하는 데 작은 도움을 주고자 하는 목적에서 나오게 되었다.

목차

책을 내면서

제1장 정치ㆍ군사 편

1 김일성
비록 죽었지만 여전히 북한을 다스리는 독재자
2 조선노동당
북한 3대 세습과 김정은 통치의 핵심기구
3 8월 종파사건
실패로 끝난 김일성 반대파들의 정치적 도전
4 유일사상 10대 원칙
김일성 일가 독재체제 지속을 위한 사실상 북한 ‘최고법’
5 김정일
주민은 굶어 죽어도 피 눈물로 빚은 우상화
6 북한군
소련 군사고문단, ‘초보’ 북한군의 보모 노릇하다
7 북한군 총정치국
6ㆍ25전쟁 기간 설치된 북한군 속의 노동당 조직
8 군부 쿠데타
발각되었거나 혹은 덫에 걸렸거나, 그들의 거사는 이용당했다
9 전시사업세칙
당ㆍ군ㆍ내각ㆍ민간의 전시 대비 행동지침서
10 북한의 6ㆍ25전쟁 승리 주장
김일성 스스로 ‘위안’이자 정치적 선전에 불과
11 군사정전위원회
북한은 정치선전장으로 악용했지만, 정전체제 관리의 중요한 기구
12 북한 신년사
최고지도자가 제시하는 연간 정책운영 구상이자 달성해야 할 목표
13 통일대전 완성의 해(2015년 신년사)
남북대화 강조하면서 ‘통일대전’을 위한 전쟁준비 몰입
쉬어가기: 북한 당ㆍ정권기관 기구도

제2장 남북관계 편

14 7ㆍ4남북공동성명
1970년대 남북대화 첫 성사, ‘대화 있는 대결의 시대’로 진입
15 통일 3원칙
주한미군 철수ㆍ반공정책 폐기를 통일원칙이라 억지 주장
16 화전양면전술
남북대화 시작과 동시에 남침용 땅굴 판 북한
17 대남 선심공세
허세 한번 부리다 ‘가랑이’ 찢어질 뻔
18 이산가족 문제
이산가족 아픔은 뒷전 … 정치선전 활용에만 열 올려
19 탈북자
北 노금석 중위, 휴전 2달 만에 전투기 타고 귀순
20 5ㆍ16과 북한
北, 5ㆍ16 직후 안보위기 느껴 중ㆍ소와 ‘동맹조약’ 체결
21 남북정상회담
2000년 첫 남북정상회담 개최 … 김정일 답방 약속은 이행 안 돼
쉬어가기: 7ㆍ4남북공동성명 / 남북공동선언문

제3장 대외관계 편

22 대미 인민외교
푸에블로호 사건 이후 노골화된 북한의 대미 접근
23 1970년대 대미외교
뉴욕에 북한대표부 개설 이후 대미외교 본격 전개
24 북일관계
서로 다가가려 하지만 쉽사리 가까워지기 힘든 관계
25 북중관계
‘혈맹’보다는 자국의 이익을 우선시하는 ‘불편한 관계’
26 북러관계
북, 러시아를 통해 외교적 ‘사면초가’에서 탈피 시도
27 북한과 쿠바
김일성 3代를 이어오며 반미공조로 맺어진 친선관계
28 제3세계 외교와 반둥회의
국제혁명역량 강화수단이었던 반둥회의, 냉전종식 후 무용지물
29 북한의 베트남전쟁 참전
또 다른 남북 대결장이었던 베트남전쟁
30 남베트남 패망과 북한
김일성, 베트남 통일 지켜보며 한반도 무력통일 의지 다져
31 한국외교관 북송공작
남베트남 한국 외교관 3명, 강제 북송될 뻔
쉬어가기: 북한의 외교 및 대외 수교 현황

제4장 주요 도발 사건 편

32 1ㆍ21 청와대 기습 사건 ①
대통령 시해 목적 무장공비 31명 임진강 건너 서울로
33 1ㆍ21 청와대 기습 사건 ②
예비군제도ㆍ주민등록증 신설 등 한국사회에 많은 영향 끼쳐
34 푸에블로호 사건 ①
北, 계획된 나포로 미국과 첫 비밀협상 성사시켜
35 푸에블로호 사건 ②
푸에블로호 나포 직후 전쟁에 대한 공포로 엄청난 혼란 겪어
36 당포함 사건
北 기습도발로 해군 장병 39명 전사한 ‘비극적 사건’
37 EC-121기 사건
김일성 생일날 미 정찰기를 공격한 북한공군
38 판문점 도끼만행 사건
미군 장교 2명 사망 … 한미의 군사적 대응에 김일성 유감 표명
39 아웅산 테러 사건
북한이 해외에서 벌인 대한민국 대통령 테러 시도
40 1차 북한 핵 문제
NPT 탈퇴를 ‘사회주의 고수를 위한 자위적 조치’라고 억지
41 2차 북한 핵 문제
핵을 김정일의 ‘혁명유산’이자 ‘만능보검(寶劍)’이라 선전
42 북방한계선(NLL)
북방한계선은 남북 간의 실질적인 해상분계선
쉬어가기: 통계로 본 6ㆍ25전쟁 피해 현황 / 6ㆍ25전쟁 개전 초기 북한군 지휘부 현황

제5장 교육ㆍ과학ㆍ문화ㆍ체육 편

43 북한의 교육
무상의무교육 자랑했지만, 경제 붕괴로 유명무실
44 경제와 과학기술
당면한 경제 문제 해결 위해 광복 직후부터 과학기술 중시
45 과학기술 성과와 한계
체제생존과 경제복구 절박함에 과학기술자 사기 진작에 주력
46 5ㆍ25교시
지식인 숙청하고 도서 불살라 … 북한판 ‘분서갱유’
47 북한소설
정치체제 부산물이지만 북한 내부 엿볼 수 있는 유용한 도구
48 올림픽 도전기
IOC 원칙 때문에 1972년에야 첫 올림픽 참가
49 아시안게임
국제적 고립 탈피와 대외 이미지 개선의 기회로 활용
50 월드컵 참가
아시아 최초로 8강에 진출했지만, 귀국 후 숙청 당해
쉬어가기: <만수대 창작사>, 북한미술의 집단 창작단체이자 미술품 수출기지

글을 마치며
참고문헌
색인
지은이 소개

저자소개

이신재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73년 강원도 홍천에서 태어났다. 연세대학교를 졸업하고, 경남대 북한대학원을 거쳐 2013년 2월 북한대학원대학교에서 푸에블로호 사건 연구로 북한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ROTC 장교로 임관해 국군정보사령부에서 북한 분석장교로 근무한 바 있다. 현재 국방부 군사(軍史)편찬연구소 연구원으로 재직 중이며, 북한사와 6ㆍ25 및 베트남전쟁 등 동아시아전쟁사 연구를 통해 한반도에 항구적 평화구축의 길을 고민하고 있다. 저서로는 『푸에블로호 사건과 북한』(2015), 『6ㆍ25전쟁사: 고지쟁탈전과 정전협정 체결』(공저, 2013)이 있으며, 주요 논문으로는 “북한 자립경제노선의 등장과 과학기술의 역할(1945-60)”, “조선인민군 총정치국 설치배경 연구”, “한국전쟁 이전 소련의 북한 공군지원 고찰(1945-50)”, “6ㆍ25전쟁기 북한공군의 성장과정 고찰”, “북한의 기억의 정치와 푸에블로호 호명”, “EC-121기 사건과 한반도에서의 미ㆍ소 협력”, “주월한국군방송국(KFVN)의 설치와 운영”, “파월한국군의 작전지휘권 결정과정 고찰”, “남베트남 패망시기 한국군의 인도주의적 구호활동” 등이 있다. 2014년 7월부터 1년간 『국방일보』에 ‘이야기로 풀어 쓴 북한사’를 기획연재한 바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