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뇌졸중 이기는 힘

뇌졸중 이기는 힘

(누구도 피할 수 없다)

주부의벗사 (엮은이), 전경아 (옮긴이), 김정은 (감수)
삼호미디어
13,8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8개 3,9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뇌졸중 이기는 힘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뇌졸중 이기는 힘 (누구도 피할 수 없다)
· 분류 : 국내도서 > 건강/취미 > 건강정보 > 건강에세이/건강정보
· ISBN : 9788978494687
· 쪽수 : 244쪽
· 출판일 : 2012-12-10

책 소개

서구화된 식생활과 과도한 스트레스, 운동부족이 더해진 현대인들에게 그 위험성이 대두되고 있는 뇌졸중의 총체적인 정보를 담은 책이다. 뇌졸중 발병 이후 환자의 사회활동은 커다란 지장을 받을 수밖에 없음을 환자가 입은 의학적인 뇌손상을 바탕으로 설명한다.

목차

1. 뇌졸중 전조 증상 011
증상이 나타난 후 3시간 이내에 치료받아야 한다 012
뇌졸중 발작을 일으켰을 때 주위의 대처 방법 017
뇌경색의 전조 증상을 간과하지 않는다 025
뇌출혈의 초기 증상을 간과하지 않는다 031
지주막하출혈의 전조 증상을 간과하지 않는다 033
병원에서의 응급 처치 036
뇌의 구조와 기능 03

2. 뇌경색 원인 · 증상 · 검사 · 치료 043
뇌경색은 뇌혈관이 막히는 병 044
아테롬 혈전성 뇌경색의 원인과 증상 047
열공성 경색의 원인과 증상 050
심원성 뇌색전증의 원인과 증상 053
뇌경색이 의심될 때의 진단 055
초급성기의 혈전용해요법 058
급성기 치료로 뇌세포 파괴를 억제한다 063
재발 방지를 위한 만성기 치료 066

3. 뇌출혈 원인 · 증상 · 검사 · 치료 073
뇌출혈은 혈관이 파열하는 병 074
뇌출혈의 종류와 증상 076
뇌출혈이 의심될 때의 진단 079
급성기의 치료 081
재발 방지를 위한 외과 수술 083

4. 지주막하출혈 원인 · 증상 · 검사 · 치료 087
지주막하출혈은 대혈관에 생긴 동맥류가 파열하는 병 088
지주막하출혈의 위험 인자 091
지주막하출혈의 증상 093
지주막하출혈이 의심될 때의 진단 095
급성기의 치료 098
재발 방지를 위한 외과 수술 101
수술 후 재발 방지 106

5. 뇌졸중과 관련된 뇌질환 109
생명에 지장이 없는 두통과 큰 병의 신호가 되는 두통 110
모야모야병 115
뇌동정맥 기형 120
만성 경막하 혈종 123
뇌동맥박리 125

6. 후유증과 재활 치료 127
환자마다 다른 후유증 128
뇌졸중의 후유증 ① 신경 증상 130
뇌졸중의 후유증 ② 고차 뇌기능 장애 135
뇌졸중의 후유증 ③ 감정 장애와 우울증 141
재활 치료의 목적 143
급성기의 재활 치료 ① 진단과 계획 151
급성기의 재활 치료 ② 침대 위 재활 치료 158
급성기의 재활 치료 ③ 침대 위에서 일어나 앉기 161
급성기의 재활 치료 ④ 침대에서 일어서기 166
급성기의 재활 치료 ⑤ 휠체어에 옮겨 앉기 168
급성기의 재활 치료 ⑥ 연하 훈련 171
회복기의 재활 치료 ① ADL의 평가 176
회복기의 재활 치료 ② 운동 장애 178
회복기의 재활 치료 ③ ADL 훈련 185
회복기의 재활 치료 ④ 언어 장애 190
회복기의 재활 치료 ⑤ 고차 뇌기능 장애 194
재활 치료를 통한 마비 증상 개선 197
가정에서 하는 유지기의 재활 치료 202
노인장기요양보험의 활용 207

7. 뇌졸중 예방과 재발 방지 209
뇌졸중 예비군의 유형 210
뇌졸중 예방을 위한 실천 ① 고혈압 관리 214
뇌졸중 예방을 위한 실천 ② 당뇨병 관리 220
뇌졸중 예방을 위한 실천 ③ 고지혈증 관리 223
뇌졸중 예방을 위한 실천 ④ 혈전 방지 225
뇌졸중 예방을 위한 실천 ⑤ 비만 관리 227
생활습관 개선 ① 식사 233
생활습관 개선 ② 운동 236
생활습관 개선 ③ 담배와 술 238
생활습관 개선 ④ 스트레스 241

저자소개

주부의벗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인테리어, 집짓기, 요리, 건강 등 실용서와 미니멀라이프, 심플라이프 등 여성 생활 전반의 다양한 책을 내고 있는 일본의 대표적인 실용 전문 출판사이다. 다양한 단독주택 짓기와 인테리어 스타일을 소개하는 〈PLUS 1 HOUSING〉시리즈와 〈PLUS 1 LIVING〉시리즈, 〈LIFE INTERIOR〉시리즈를 펴내고 있는데, 《기본부터 배우는 인테리어 교과서》는 〈LIFE INTERIOR〉시리즈의 첫 번째 책이다. 내가 좋아하는 스타일 찾기에서 인테리어의 일반적인 스타일 배우기, 컬러, 가구, 조명, 주방 계획과 배치, 창문 꾸미기, 디스플레이, 인테리어 용어에 이르기까지 내집 꾸미기의 시작부터 끝까지 총 망라하고 있다. 처음 인테리어에 도전하는 이들부터 주택이나 아파트 리모델링, 신축을 계획하는 모든 이들에게 쉽고 친절한 가이드 역할을 한다.
펼치기
전경아 (옮긴이)    정보 더보기
중앙대학교를 졸업하고, 현재 번역 에이전시 엔터스코리아 출판기획 및 일본어 전문 번역가로 활동하고 있다. 『미움 받을 용기 1, 2』, 『아직 긴 인생이 남았습니다』, 『내가 책을 읽는 이유』, 『책임은 어떻게 삶을 성장시키는가』, 『30분 철학』, 『느닷없이 어른이 될 10대를 위한 철학책』, 『아들러에게 인생을 묻다』 등 다수의 책을 우리말로 옮겼다.
펼치기
김정은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졸업하였으며 이후 동대학교 의과대학원 석사 ·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이후 서울대학교병원 신경외과 전공의 · 전임의 과정을 수료하였으며 미국 브리검 앤드 우먼스병원과 하버드의대의 연구원으로 재직한 경력이 있다(Research fellow, Brigham and Women’s Hospital, Harvard Medical School, Boston MA, USA). 신경외과 전문의이자 의학박사로서 현재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외과학교실 부교수로 재직 중이다.
펼치기

책속에서



뇌출혈의 초기 증상을 간과하지 않는다
뇌출혈이라고 하면 어느 날 갑자기 픽 쓰러진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많을 것이다. 이와 같은 생각이 틀린 것은 아니지만, 뇌출혈의 증상은 그뿐만이 아니다. 갑자기 한쪽 손발에 힘이 들어가지 않거나 두통을 호소하기도 하고 구토하는 동안 의식을 잃는 등 증상이 서서히 진행되는 경우도 있다. 뇌출혈이 일어났거나 뇌출혈로 의심되는 증상이 나타났다면 즉시 구급차
를 부르는 것이 중요하다. 출혈을 한시라도 빨리 멈추려면 혈압, 즉 뇌압을 낮춰야 하기 때문이다. 어지럼증으로 인해 일어서서 걷지 못한다, 두통, 울렁거림, 구토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면 증상이 심각하지 않아도 서둘러 의료 기관에 가서 진단을 받는다. 조기에 치료를 시작할수록 예후가 좋아진다.
- '혈압이 높은 사람은 주의가 필요하다' 중에서


초급성기의 혈전용해요법
뇌경색이 일어나면 막힌 혈관에 혈액이 흐르지 않는다. 그 결과, 뇌에 산소와 영양분이 공급되지 않으므로 뇌세포는 산소 결핍 상태가 되어 단기간에 죽는다. 이때, 뇌세포가 완전히 괴사하는 것을 경색이라고 하는데, 뇌세포는 혈류가 막힌다고 곧바로 괴사하지는 않는다. 괴사는 혈관이 막힌 부분부터 시작해 서서히 주위로 퍼진다. 얼마간 기능은 정지하되 아직 죽지 않은 뇌세포가 많이 있는 것이다. 이를 ‘페넘브라(penumbra)’라고 하며, 페넘브라도 시간이 지나면 괴사한다. 이 페넘브라를 얼마나 빨리 깨워 피해를 최소한으로 막을 수 있느냐가 초급성기 치료의 핵심이다. 신속한 치료로 페넘브라를 살릴 수 있으면 후유증을 최소화할 수 있다.

- '최대한 신속하게 뇌세포를 살린다'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