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오대산 한시를 만나다

오대산 한시를 만나다

권혁진, 허남욱 (지은이), 퇴우정념 (감수)
산책(도서출판)
23,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0,700원 -10% 0원
1,150원
19,5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오대산 한시를 만나다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오대산 한시를 만나다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시 > 한국시
· ISBN : 9788978640879
· 쪽수 : 580쪽
· 출판일 : 2020-10-07

책 소개

오대산은 한국불교 성산의 시원을 장식한 가장 성스러운 수승한 공간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오대산을 유산기를 중심으로 인문학적 의미를 살펴본 책이 <오대산의 인문학>이라면, 오대산을 노래한 한시를 통해 더 깊이 더 넓게 이해하려는 책이다.

목차

감수의 글 · 오대산에 노닌 이들의 함축적인 메아리 시詩
머리말 · 한시, 오대산을 이해하는 또 다른 시선

1
오대산 입구
·성원 _ 김시습(金時習) 30
·월정사 입구 _ 김세필(金世弼) 32
·성오평 들에서 오대산을 바라보다 _ 허응당(虛應堂) 34
·월정사로 향하다가 길 위에서 짓다 _ 김지남(金止男) 36
·늙은 전나무가 높이 솟다 _ 이경석(李景奭) 38
·계곡 입구로 들어가다 _ 김창흡(金昌翕) 40
·계곡에서 나가다 _ 김창흡(金昌翕) 42

2
금강연
·금강담 _ 정추(鄭樞) 48
·금광연 _ 김시습(金時習) 50
·금강연 _ 김세필(金世弼) 52
·월대 _ 김세필(金世弼) 54
·금강연 _ 정사룡(鄭士龍) 56
·금강연 _ 이이(李珥) 58
·월정사 금강연에서 방백을 접대하며 _ 사명당(四溟堂) 60
·금강연 _ 신즙(申楫) 62
·금강연 _ 윤순거(尹舜擧) 64
·금강연에서 율곡의 시에 차운하다 _ 윤증(尹拯) 66
·금강연 _ 김창흡(金昌翕) 68
·금강연 _ 채팽윤(蔡彭胤) 70
·금강연 _ 이원조(李源祚) 72
·금강연 _ 이유원(李裕元) 74
·추담이 이름을 쓴 것을 보고 짓다 _ 이유원(李裕元) 76

3
월정사
·월정사 _ 정추(鄭樞) 82
·오대산 _ 이종학(李種學) 84
·17일 새벽에 읊다 _ 이종학(李種學) 86
·19일 새벽에 읊다 1 _ 이종학(李種學) 88
·19일 새벽에 읊다 2 _ 이종학(李種學) 90
·20일에 월정사를 떠나며 _ 이종학(李種學) 92
·월정사 _ 김시습(金時習) 94
·월정사에서 택지의 시에 화운하다 _ 이우(李堣) 96
·월정사에서 _ 김세필(金世弼) 98
·월정사 스님 법공 시축 운에 차운하다 김세필(金世弼) 100
·월정사 _ 이행(李荇) 102
·월정사 승려에게 주다 _ 이행(李荇) 104
·월정사에서 자다가 노스님에게 주다 _ 심언광(沈彦光) 106
·월정사에서 삼가 용재의 시에 차운하다 _ 정사룡(鄭士龍) 108
·월정사 1 _ 임억령(林億齡) 110
·월정사 2 _ 임억령(林億齡) 112
·월정사에서 삼가 모재와 기재의 시에 차운하여 공윤스님에게 주다 _ 조욱(趙昱) 114
·다시 월정사에서 노닐다 _ 허응당(虛應堂) 116
·오대산 월정사 시에 차운하다 1 _ 구사맹(具思孟) 118
·오대산 월정사 운에 차운하다 2 _ 구사맹(具思孟) 120
·다시 월정사에서 노닐다 _ 이이(李珥) 122
·월정사 시에 차운하다 1 _ 부휴당(浮休堂) 124
·월정사 시에 차운하다 2 _ 부휴당(浮休堂) 126
·월정사에서 선원록낭청을 기다리다 _ 이명준(李命俊) 128
·월정사, 임석천의 시에 화운하다 1 _ 목대흠(睦大欽) 130
·월정사, 임석천의 시에 화운하다 2 _ 목대흠(睦大欽) 132
·월정사, 임석천의 시에 화운하다 3 _ 목대흠(睦大欽) 134
·월정사, 임석천의 시에 화운하다 4 _ 목대흠(睦大欽) 136
·월정사, 임석천의 시에 화운하다 5 _ 목대흠(睦大欽) 138
·월정사, 박강릉 시에 차운하다 _ 목대흠(睦大欽) 140
·추석에 음산하게 비가 내려서 달을 기다렸으나
구경하지 못했다. 다음날 16일 마침내 맑게 개어 밤새
달을 마주하니 흥이 일었다 _ 조희일(趙希逸) 142
·월정사 20운 _ 조희일(趙希逸) 144
·오대산 월정사 스님 혜징의 시축에 시를 쓰다 신즙(申楫) 150
·오대산 월정사에서 _ 이민구(李敏求) 152
·월정사 _ 허백당(虛白堂) 154
·월정사에서 눈 온 뒤에 _ 이경석(李景奭) 156
·월정사 1 _ 이명한(李明漢) 158
·월정사 2 _ 이명한(李明漢) 160
·월정사 _ 이명한(李明漢) 162
·월정사 설청스님에게 주다 _ 이명한(李明漢) 164
·월정사에서 취병의 시에 화운하다 _ 윤순거(尹舜擧) 166
·오대산 월정사에서 시를 짓다 _ 김익희(金益熙) 168
·월정사 _ 한계대사(寒溪大師) 172
·월정사에서 자다가 밤에 큰비소리를 듣다 _ 신후재(申厚載) 174
·월정사 _ 풍계대사(楓溪大師) 176
·밤에 월정사에서 자다 _ 최석정(崔錫鼎) 178
·월정사에서 문옥스님에게 주다 _ 최석정(崔錫鼎) 180
·문옥스님이 시에 능하다는 걸 듣고 지은 것을 보려고 했다.
스님이 아파 능히 짓지 못하고 옛날 지리산을 찾아
지은 시 한 수를 써서 보여줘 화답하다 _최 석정(崔錫鼎) 182
·월정사 1 _ 홍중성(洪重聖) 184
·월정사 2 _ 홍중성(洪重聖) 186
·월정사를 찾다 _ 채팽윤(蔡彭胤) 188
·달밤에 월정사 범종각 오르다 _ 채팽윤(蔡彭胤) 190
·오대산 월정사 _ 홍태유(洪泰猷) 192
·월정사 _ 이재(李縡) 194
·박광우의 시 _ 이익(李瀷) 196
·월정사 1 _ 정식(鄭栻) 198
·월정사 2 _ 정식(鄭栻) 200
·월정사 _ 조현명(趙顯命) 202
·월정사에서 삼연 숙부의 운에 차운하다 _ 김신겸(金信謙) 204
·월정사 _ 김원행(金元行) 206
·월정사 _ 안석경(安錫儆) 210
·비가 와서 월정사로 되돌아오다 _ 채제공(蔡濟恭) 212
·오대산 월정사 _ 징월대사(澄月大師) 214
·사서를 햇볕에 쬐기 위해 오대산 행차가 있어서
월정사에 이르렀다가 부사 박종정의 시에 차운하다_ 정원용(鄭元容) 216
·월정사 _ 이유원(李裕元) 218
·오대산 월정사, 시를 읊어 동행한 두 명에게 보여주다_ 허훈(許薰) 220
·월정사 _ 혼원대사(混元大師) 222

4
동대
·동대 _ 김시습(金時習) 228
·동대 _ 작자 미상 230
·오대산 3 _ 김창흡(金昌翕) 232

5
남대
·남대 _ 김시습(金時習) 238
·남대 _ 작자 미상 240
·남대 _ 풍계대사(楓溪大師) 242
·오대산 4 _ 김창흡(金昌翕) 244
·사고에서 _ 이민구(李敏求) 246
·홍직장이 선원록을 배행하여
오대산으로 가는 것을 전송하다 _ 정두경(鄭斗卿) 248
·사각에서 포쇄하다 _ 채제공(蔡濟恭) 250
·포사하기 위해 오대산에 오르다 _ 김정희(金正喜) 254
·사각 _ 이원조(李源祚) 256
·사각 _ 허훈(許薰) 258
·영감사에서 _ 허응당(虛應堂) 260
·9월 16일 영감사에서 짓다 _ 이재(李縡) 262
·충정공의 영감암 시 운자를 삼가 차운하여
본 고을의 수령에게 보여주다 _ 조현명(趙顯命) 264
·학소연 _ 채팽윤(蔡彭胤) 266
·백탑령을 넘다 _ 조현명(趙顯命) 268

6
신성암
·신성암 _ 이익상(李翊相) 274
·신성팔경 1, 동쪽 숲의 맑은 달빛 _ 풍계대사(楓溪大師) 276
·신성팔경 2, 짙푸른 산 _ 풍계대사(楓溪大師) 278
·신성팔경 3,
추담에서 물고기 바라보기 _ 풍계대사(楓溪大師) 280
·신성팔경 4,
안개 낀 시내의 가랑비 _ 풍계대사(楓溪大師) 282
·신성팔경 5, 누대 앞 겹쳐진 계곡 _ 풍계대사(楓溪大師) 284
·신성팔경 6,
암자 뒤 채마 밭의 향기로운 채소 _충계대사(楓溪大師) 286
·신성팔경 7,
층진 산의 넘어진 소나무 _ 풍계대사(楓溪大師) 288
·신성팔경 8, 계단의 이름난 꽃 _ 풍계대사(楓溪大師) 290

7
북대
·북대 _ 김시습(金時習) 296
·북대 _ 작자 미상 298
·향반 _ 김시습(金時習) 300
·승상 _ 김시습(金時習) 304
·처음으로 조그만 집을 짓다 _ 김시습(金時習) 308
·나물을 캐다 _ 김시습(金時習) 310
·북대 _ 풍계대사(楓溪大師) 312
·바로 읊어 고운암 조실에 쓰다 _ 조욱(趙昱) 314
·오대산 5 _ 김창흡(金昌翕) 316
·보리애를 지나다 _ 채팽윤(蔡彭胤) 318

8
서대
·서대 _ 김시습(金時習) 324
·서대 _ 작자 미상 326
·서대 _ 풍계대사(楓溪大師) 328
·오대산 2 _ 김창흡(金昌翕) 330
·산과 바다 유람 중 마음에 드는 곳을 읊다 6 _ 신익성(申翊聖) 332
·우통수 _ 이민구(李敏求) 334
·우통수를 길어서 차를 끓였다. 옆에 있던 소사가 물을
마시면 총명해진다기에 웃으며 시를 쓰다 _ 이민구(李敏求) 336
·우통수 _ 채제공(蔡濟恭) 338

9
상원사
·오대산 문수사에서 묵다 _ 정추(鄭樞) 344
·상원사 _ 김시습(金時習) 346
·오대산잡영 스님에게 주다 1 _ 임억령(林億齡) 348
·오대산잡영 스님에게 주다 2 _ 임억령(林億齡) 350
·상원사에 찾아 갔다가 느낌이 있어 _ 허응당(虛應堂) 352
·상원사의 그윽한 흥취 _ 허응당(虛應堂) 354
·상원사와 사자암에서
절 창건의 옛 기록을 보고 느낌이 있어 _ 허응당(虛應堂) 356
·상원사 _ 구사맹(具思孟) 358
·남대·서대·중대에서 노닐고 상원사에서 묵다 _ 이이(李珥) 360
·오대산 상원사 스님에게 주다 _ 차천로(車天輅) 364
·상원사에 머무르다 _ 이명준(李命俊) 366
·산과 바다 유람 중 마음에 드는 곳을 읊다 7 _ 신익성(申翊聖) 368
·상원사에서 _ 이민구(李敏求) 370
·상원사에서 예전에 지은 중수기 현판을 보고
시를 지어 각해 스님에게 주다 _ 이경석(李景奭) 372
·상원사에 문수보살 상이 있어
시를 지어 각현 스님에게 주다 _ 이경석(李景奭) 374
·상원사에서 의천 스님에게 주다 _ 윤순거(尹舜擧) 376
·상원사 _ 풍계대사(楓溪大師) 378
·상원사 _ 김창흡(金昌翕) 380
·상원사 _ 이재(李縡) 382
·상원사 _ 정원용(鄭元容) 384
·상원사 _ 허훈(許薰) 386

10
중대
·오대산 중대에서 짓다 _ 나옹화상(懶翁和尙) 392
·중대 _ 김시습(金時習) 394
·중대 _ 작자 미상 396
·중대 빈 법당에서 _ 허응당(虛應堂) 398
·오대산 중대에서 자다 _ 한계대사(寒溪大師) 400
·중대 _ 풍계대사(楓溪大師) 402
·상원사를 찾아 중대에 올랐다 _ 최석정(崔錫鼎) 404
·오대산 적멸보궁 _ 정식(鄭栻) 406
·중대 _ 조현명(趙顯命) 408
·중대를 떠나다 _ 조현명(趙顯命) 410
·포쇄를 끝내고 중대에 오르다 _ 채제공(蔡濟恭) 412
·상원사에 올랐다가 중대로 향하면서 만오에 화답하다
_ 조병현(趙秉鉉) 414
·중대 _ 허훈(許薰) 416
·중대 _ 혼원대사(混元大師) 418
·강릉 오대산 중대 1 _ 동명대사(東溟大師) 420
·강릉 오대산 중대 2 _ 동명대사(東溟大師) 422

11
오대산
·오대산에서 노닐며 _ 진화(陳澕) 428
·맑은 밤에 오대산에서 노닐다 _ 김시습(金時習) 430
·오대산 _ 작자 미상 432
·오대산 6 _ 작자 미상 434
·오대산에서 독서하던 세 수재를 생각하다 1 심언광(沈彦光) 438
·오대산에서 독서하던 세 수재를 생각하다 2 심언광(沈彦光) 440
·오대산에서 독서하던 세 수재를 생각하다 3 심언광(沈彦光) 442
·다시 오대산에 노닐면서 골짜기에서 눈을 밟다 _ 이이(李珥) 444
·안쪽 산에 들어가려다 비를 만나다 _ 이이(李珥) 446
·오대산 _ 영허대사(暎虛大師) 448
·오대산 _ 죽음(竹陰) 조공(趙公) 450
·산과 바다 유람 중 마음에 드는 곳을 읊다 5 _ 신익성(申翊聖) 454
·오대봉 _ 윤순거(尹舜擧) 456
·오대산 _ 풍계대사(楓溪大師) 458
·비로봉 _ 풍계대사(楓溪大師) 466
·오대산 _ 김창흡(金昌翕) 468
·오대산 1 _ 김창흡(金昌翕) 470
·생각나는 대로 지어서 함께 유람하는 이에게 보여주다
_ 김창흡(金昌翕) 472
·오대산 1 _ 이병연(李秉淵) 474
·오대산 2 _ 이병연(李秉淵) 476
·오대산 3 _ 이병연(李秉淵) 478
·오대산 _ 송계대선사(松桂大禪師) 480
·오대산에서 우연히 읊조리다 _ 몽암대사(蒙庵大師) 482
·오대산을 유람하며 _ 삼봉대사(三峯大師) 484
·관동기행 고시12장 4 _ 성근묵(成近默) 486
·오대산 _ 이유원(李裕元) 488

12
스님
·오대산으로 돌아가는 경민상인을 보내다 1_ 서거정(徐居正) 494
·오대산으로 돌아가는 경민상인을 보내다 2_ 서거정(徐居正) 496
·오대산으로 돌아가는 경민상인을 보내다 3_ 서거정(徐居正) 498
·오대산으로 돌아가는 경민상인을 보내다 4_ 서거정(徐居正) 500
·오대산으로 돌아가는 근상인을 보내다 _ 서거정(徐居正) 502
·오대산으로 돌아가는 경민스님을 보내다 _ 김종직(金宗直) 508
·다른 운을 써서 법공스님께 드리다 _ 김세필(金世弼) 510
·점필재 김종직의 운에 차운하여 원상인에게 주다 2_ 심언광(沈彦光) 512

저자소개

허남욱 (지은이)    정보 더보기
강원대학교 한문교육과 교수. 저서로 <조선후기 문학사상의 흐름>, <신한문과 교육론>, <중·고 한문교과서>, <금석서예와 초서강해>, <한문교육의 이론과 실제>, <한국 한문소설의 세계>, <한문과 교직실무>가 있다.
펼치기
권혁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문학박사, 강원한문고전연구소 소장. 2018 제2회 한국지역출판대상 천인독자상 공로상 수상. 권혁진 박사는 각 지역을 발로 뛰며 고전을 바탕으로 한 다양한 저작 활동을 하고 있다. 『김홍도, 조선의 산수를 그리다』, 『문학기행, 강원의 문인을 찾아서』, 『조선의 핫플레이스, 강원의 명소』,『한탄강 인문기행』, 『관동 800리 인문기행』, 『오대산 한시를 만나다』, 『오대산의 인문학』, 『김시습 호탕하게 유람하다』, 『정약용, 길을 떠나다』, 『설악인문기행 1·2』
펼치기
퇴우정념 (감수)    정보 더보기
1980년 오대산 월정사에서 만화 희찬 스님을 은사로 득도 1987년 중앙승가대학교 졸업 1992년 오대산 상원사 주지 2004년 ~ 현재 대한불교조계종 제4교구본사 월정사 주지 2004년 월정사 주지 취임 이후 시작한 월정사 단기출가학교는 자기성찰을 통한 맑고 건강한 인격체 형성과 재가자의 수행풍토 조성 그리고 출가 의사가 있는 재가자의 사전 출가 체험의 일환으로 시작되어 현재까지 3천여 명의 수료자를 배출했고, 300여 명의 출가자를 양산하는 등 월정사의 대표 브랜드로 자리매김했다. 또 문수청소년회(2004년), 월정사복지재단(2007년), 오대산 자연명상마을(2018년) 등의 건립을 통해 시대적 요구에 맞는 포교에도 크게 이바지하고 있다. 1992년 오대산 상원사 청량선원을 복원하고 2008년 월정사 만월선원, 2019년 북대 상왕선원을 개원함은 물론 한 차례도 빠짐없이 수좌들과 함께 하안거와 동안거에 선방에서 수행하는 등 수행풍토를 일신하였으며, 재가불자를 위한 문수선원과 동림선원을 개원하여 오대산을 명실상부한 선종산문으로 만들었다. 일제강점기에 반출된 조선왕조실록과 의궤를 되찾은 공로로 2012년 국민훈장 동백장을 수여했다. 중앙승가대학 총동문회장, 동국대 이사, 불교TV 이사,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공동대표를 역임했고, 2019년 4월 대한불교조계종 백년대계본부 본부장에 임명되어 미래 사회 불교의 가치와 역할을 모색하고 실천하기 위한 일을 계속해 나가고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