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정책/행정/조직
· ISBN : 9788978653589
· 쪽수 : 198쪽
· 출판일 : 2012-12-31
목차
제1장 서 론
제1절 연구의 목적
1. 문제제기
2. 연구의 목적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1. 연구의 범위
2. 연구의 방법
제3절 연구의 분석틀
제2장 이론적 논의
제1절 사회적 자본의 구성 및 관계성
1. 사회적 자본의 논의 배경
2. 사회적 자본의 정의,특성 및 구성요소
3. 사회적 자본의 수준
4. 사회적 자본의 중요성 및 효과
5. 사회적 자본 논의의 한계
제2절 사회적 자본과 신뢰의 구조 및 관계
1. 신뢰의 의의
2. 사회적 자본과 신뢰의 형성
3. 신뢰와 지방정부 간의 관계
제3장 사회적 자본의 측정 및 결과 분석
제1절 사회적 자본측정에 관한 기존연구 검토
1. 사회적 자본 측정에 관한 연구 의의와 한계
2. 사회적 자본 측정에 관한 국내연구 검토
3. 사회적 자본 측정에 관한 국외연구 검토
4. 사회적 자본 측정 연구의 함의
제2절 사회적 자본 측정을 위한 조사설계
1. 측정변수 설명
2. 조사설계틀
제3절 사회적 자본 측정의 결과 분석
1. 사회적 자본 구성요소별 기술적 분석
2. 사회적 자본 구성요소별 통계적 분석
3. 분석결과의 요약
제4장 사회적 자본 증진 사례 분석
제1절 마을만들기 및 지역공동체 활용을 통한 사회적 자본 증진
1. 마을만들기 및 마을공동체 활성화 사례
2. 강릉시 마을만들기 지원센터 운영 사례
3. 안산시 꽃우물 마을 사례
4. 지역사회(동네) 재생정책
제2절 사회적 기업 및 마을기업 활용을 통한 사회적 자본 증진
1. 사회적 기업의 활동 사례
2. 최초의 공동육아조합 및 생활협동조합 사례: 성미산마을기업
3. 커뮤니티 비즈니스 활성화 사례
제3절 지역사회 네트워크 활용을 통한 사회적 자본증진
1.푸른광주 21 협의회 사례
2. 수원시의 시민계획단에 의한 도시기본계획 수립 사례
제5장 사회적 자본 증진 방안
제1절 사회적 자본 구성요소를 고려한 기본개선방향
1. 시민참여 강화
2. 규범제도화
3. 신뢰 확보의 중요성
4. 호혜성 제고를 위한 참여 네트워크 구축 및 운영
5. 수평적 네트워크 확대
6. 지방자치단체의 자율적 개선이 가능하도록 법제화
제2절 사회적 자본 실증사례에서 도출한 증진방안
1. 지역공동체 활성화 방안
2. 사회적 기업 육성 방안
3. 지역사회 자원 활용 방안
4. 지역사회 자율적 협의체 활용 방안
5. 새로운 소셜미디어 SNS의 적극적 활용을 제도화
제6장 결 론
제1절 연구결과의 요약
제2절 사회적 자본증진을 위한 개선 방안
1. 네트워크 및 파트너십 구축을 위한 정책집행 방안
2. 다양한 렵력 및 연계 네트워크의 구축 운영 방안
3. 일반적 사회적 자본 증진을 위한 방안
4. 지방자치단체의 사회적 자본 증진을 위한 정책 방안
【참고문헌】
Abstract
【부록】설문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