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근현대사 > 일제치하/항일시대
· ISBN : 9788979401394
· 쪽수 : 564쪽
· 출판일 : 2018-02-28
책 소개
목차
추천사
서문
제1부 들어가는 말: 전통과 근대, 민족과 이념의 아포리아 그 경계의 돌파
제 1 장 문제의식
제 2 장 안재홍: 전통과 근대, 이념과 민족, 그 아포리아에 놓인 경계인
제2부 정신(精神)의 삶으로
제 1 장 역사와 민족
제 1 절 역사와 시대정신
제 2 절 민족과 민족주의
_ 민족의 발생학적 정의
_ 거룩한 민족주의의 요구
제 2 장 조선정치철학(朝鮮政治哲學)
제 1 절 수(數)의 철리(哲理)에서 다사리로
_ 불함문화
_ 말, 민족정신의 원천
_ 수의 철리, 자유와 책무의 논리적 근거
_ 다섯, 다사리 곧 국가
제 2 절 전통과 근대의 통섭: 신민족주의(新民族主義)
_ 다사리, 지고지선한 국가이념
_ 다사리=신민족주의=신민주주의
_ 삼균주의로의 귀결
제 3 장 <新民族主義와 新民主主義>: 근대 국민국가의 로드맵
_ 우리는 어디로 가야 하는 것일까?
_ 벽상관, 정치적 실천지
_ 신민주주의의 건국이념
제3부 투쟁(鬪爭)의 삶으로
제 1 장 지사적(志士的) 투사(鬪士)
제 1 절 은폐된 식민의 정치: 살기와 공포의 문화정치
_ 문화정치와 언론의 출발
_ 식민지 공공성?
_ 다이쇼 데모크라시와 문화주의
_ 문화정치, 또 다른 폭력으로의 결산
제 2 절 개신(改新)으로의 변용: 언론을 통한 정치적 각성
_ 식민지 언론의 빛과 그림자
_ 안재홍의 언론관
_ 언론투쟁, 정신과 실천의 정합 또는 문화주의의 그림자?
_ 생활개신운동, 전통과 근대의 교합에 따른 빛과 그림자
_ 전위적 실천으로서 문화운동
_ 민중각성으로서 국민교육
제 2 장 정전(征戰)의 백열(白熱)
제 1 절 실력양성과 민족개조의 함정
_ 타협과 비타협의 분화
_ 민중의 무세계성과 정신적 사막의 위험성
_ 문화주의의 그림자 극복
_ 민족주의로의 복귀, 중국혁명을 바로보는 면면관
_ 제남사건의 벽상관
_ 냉안관에 기초한 지평의 확장
제 2 절 비타협 민족주의: 좌익의 개념과 위상
_ 타협과 비타협의 경계 짓기
_ 좌우협력의 역설
_ 반동의 추세
_ 노마연잔두와 정전의 백열
제 3 절 투쟁적 삶의 합리성: 민족협동전선과 신간회
_ 정치적 추세로서 민족운동의 단일노선
_ 일원적 이중성
_ 성립 선행조건으로서 국제정세
_ 단일민족전선 곧 일원적 이중성의 정체
_ 민족단일당으로서 신간회
_ 신간회의 균열 조짐, 헤게모니 전취론과 청산론
_ 정략적 협동의 요구
_ 신간회 해소인가? 해체인가?
_ 비타협 민족주의의 정체
_ 조선학 연구와 문화운동으로의 선회
제 3 장 <朝鮮上古史鑑>: 보편성과 일도성의 통섭
_ 정치적 각성에서 실천으로의 역사와 문화 연구
_ 상고사 연구의 동기
_ 조선상고사관견의 실험적 연구
_ 기자(岐子)조선=크치조선=큰 조선
_ 원시모계사회로서 아사달=백악=평양=배달
_ 남성 씨족공동체로서 단군시대
_ 과학적 지식으로서 단군조선의 역사
_ 단군조선에서 삼국으로
제4부 건국(建國)의 삶으로
제 1 장 건준(建準)에서 임정(臨政)으로
제 1 절 협동의 포석과 통합의 정치
_ 건준 참여의 빛과 그림자
_ 국민당 창당
_ 신탁통치 반대와 건국정부의 우선
_ 임정의 법통성과 건국을 위한 정부로의 영립
_ 민공협동을 위한 중앙의 노선
제 2 절 기술적 반탁(反託)과 좌우합작
_ 협동과 반탁의 논리적 일관성
_ 냉안관의 연장으로서 반탁
_ 건국=구민의 진보적 민주주의
_ 기술적 반탁에 내포된 정신의 삶
제 2 장 건국과 공동체의 청사진
제 1 절 국가와 국민
_ 국가의 핵심으로서 나, 나의 외연으로서 민족합동체인 국가
_ 사회혁명을 위한 공적 행위자로서 국민의 재탄생
_ 민족주의와 민주주의의 재정의
_ 반공산주의로서 신민족주의와 신민주주의
_ 건국을 위한 정부, 대한민국 정부수립
제 2 절 초계급적 통합국가
_ 건국을 위한 신국민의 정치적 각성과 재탄생
_ 건국완성이라는 책무이행을 향하여
_ 국민적 정전으로의 확장
_ 협동의 절망적 기대
제 3 절 균등평권의 호애 공동체
_ 초계급적 통합민족국가
_ 신민주주의=삼균주의
_ 경제적 평권을 위한 토지개혁
_ 정치적 평권을 위한 의회주의
_ 문화적 평권을 통한 문화대국의 꿈
제 3 장 <韓民族의 基本進路>: 민족주의와 민주주의의 통섭
_ 정치적 현실주의자로의 정체성
_ 역사에 대한 과학적 타당성
_ 역사의 일도성으로서 혈루의 민족항쟁사
_ 조선심의 구현으로서 충무공 정신
_ 역사의 다양성 포섭
_ 신민족주의의 역사과학성
_ 건국이념의 내포와 외연, 신민주주의와 신민족주의
_ 통일민족국가 건설을 목표로 한 민족주의자로의 정체성
제5부 경계(境界)의 삶으로
제 1 장 신민족주의와 신민주주의: 전통과 근대의 아포리아 돌파
_ 민족으로 세계에, 세계로 민족에
_ 문화대국으로서 신국가
제 2 장 중앙(中央)의 정치사상: 민족과 이념의 아포리아 돌파
_ 내포의 통일과 심화
_ 중앙노선, 시의적절한 진정 민주주의 노선
_ 중앙노선의 정체
_ 분단과 분열의 처방책
_ 통일과제의 해결책
제 3 장 순정우익(純正右翼)
_ 중앙노선의 주체로서 순정우익
_ 민족진영은 순정우익이었을까?
_ 변함없는 현재 진행형의 책무의식
제2부 왜 실패했을까?: 경계선에 놓인 지사(志士)의 운명
민세 안재홍 연보
참고문헌
색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