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근현대사 > 일제치하/항일시대
· ISBN : 9791160687644
· 쪽수 : 187쪽
· 출판일 : 2022-12-31
목차
책머리에
❚ 대한민국 정부수립과 안재홍 - 정부수립 주체론을 중심으로 - / 김인식
1. 머리말
2. 제2차 미소공동위원회 결렬과 ‘순정 우익’론
1) 민정장관 취임과 ‘순정우익’론의 원형
2) ‘남조선 단독조치’와 안재홍의 시국대처방안
3) 중간우파의 결집운동과 ‘순정우익’의 개념
3. 대한민국정부수립과 ‘순정우익’론의 변용
1) 5·10선거 참여를 주장
2) 5·10선거의 결과, ‘차선으로서의 대한민국’을 인정
3) 재야당적 민족주의 진영과 비판적 지지
4. 맺는말
❚ 조선의 사마천을 꿈꾼 안재홍의 정치적 책무, ‘通史’ 쓰기 / 윤대식
1. 들어가며
2. 조선의 사마천에서 한국의 마르크 블로크로
3. 「조선상고사관견」에서 『조선통사』로
4. 민족사에서 세계사로
5. 마치며
❚ 이승만과 안재홍 - 독립과 건국을 위한 협력관계 - / 오영섭
1. 머리말
2. 황성기독교청년회를 매개로 한 인연의 시작
3. 동경조선기독교청년회에서의 만남과 헤어짐
4. 독립운동방략에 대한 사상적 일치
5. 대한인동지회 국내지부 설립과 흥업구락부 결성문제
6. 맺음말
❚ 1920년대 안재홍의 기행수필 연구 / 방유미
1. 들어가며
2. 일제강점기 ‘관광’과 식민정책의 호응 관계
3. 관념적 기행수필의 정치성과 실제적 기행수필의 민중성
4. 안재홍 기행수필의 실제적 면모
1) 저항성: 일본의 식민지배 정책 비판
2) 민중성: 조선 민중들의 삶에 대한 애정 어린 시선
3) 지역성: 소외된 지역의 가치 재발견
5. 나오며
❚ 민세 안재홍의 스포츠 활동 / 손환·하정희
1. 들어가며
2. 안재홍의 생애
3. 일제강점기 안제홍의 스포츠 활동
1) 조선농구협회 활동
2) 각종경기대회 활동
3) 중앙체육연구소의 회원
4) 무도강연
4. 광복 후 안재홍의 스포츠 활동
1) 올림픽후원회 회장
2) 1일 천하로 끝난 조선체육회 회장
3) 기타 활동
5. 안재홍의 스포츠사상
1) 국가관
2) 건강관
6. 나오며
저자소개
책속에서
올해는 민족지도자 안재홍이 태어난 지 131주년이 되는 해이다. 안재홍은 1891년 11월 경기도 평택에서 태어나 국내 민족운동을 이끌며 1919년 대한민국 청년외교단 사건을 시작으로 조선일보 필화, 신간회운동, 군관학교 사건, 조선어학회 사건 등으로 9차례 걸쳐 7년 3개월 옥고를 치른 독립운동가였다. 또한 시대일보 논설기자, 조선일보 주필·사장, 해방 후 한성일보 사장을 지낸 언론인이자, 일제식민사관에 맞서 한국고대사 연구에 몰두하고 다산 정약용의 『여유당전서』를 교열·간행한 사학자였다. 민세는 해방 후에는 건준 부위원장, 좌우합작 우측대표, 미군정청 민정장관, 2대 국회의원 등으로 통일민족국가 수립에 헌신했던 정치가였다.
1980년대 중반 이후 본격적으로 시작된 안재홍 재조명 학술연구 사업은 그동안 역사학, 정치학, 언론학을 중심으로 연구가 진행되어왔다. 최근에는 교육학, 문학, 체육학 등 다양한 분야로 연구가 점차 확대되고 있다. 이는 당대 다사가(多事家)라는 별명을 가진 안재홍이 다양한 분야에 걸쳐 많은 글을 썼기에 가능한 일이기도 하다.
이 책에 게재되는 논문들은 2021년 (사)민세안재홍선생기념사업회가 주관하고 평택시가 후원한 「제15회 민세학술대회: 안재홍의 민족운동연구 2」의 연구 결과를 정리한 것이다. (책머리에 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