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동과 서, 문화와 문명, 초국적 협력과 소통의 오백 년

동과 서, 문화와 문명, 초국적 협력과 소통의 오백 년

윤대식, 이정희, 정원대, 김진형, 김용환, 구경모, 이순주, 임두빈, 조구호, 강진석, 송병준, Tawara Kanji (지은이)
한국학술정보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8,000원 -10% 0원
1,000원
17,000원 >
18,000원 -10% 0원
0원
18,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4,000원 -10% 700원 11,900원 >

책 이미지

동과 서, 문화와 문명, 초국적 협력과 소통의 오백 년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동과 서, 문화와 문명, 초국적 협력과 소통의 오백 년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정치외교학 > 국제정치학
· ISBN : 9791168014626
· 쪽수 : 402쪽
· 출판일 : 2022-04-29

책 소개

2021년 10월 20일부터 22일에 걸쳐 부산에서 개최된 제2차 HK(+)연합학술대회 “동과 서, 문화와 문명, 만남의 오백년: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초국적 협력과 소통”의 결과물을 집약한 책이다. 5개의 연구단체 소속 50여 명의 연구진이 학제간 그리고 지역간 연구 성과를 토론하고 공유했다.

목차

서문

제1장 _윤대식
통일민족국가 건설을 위한 문화적 아이덴티티 구축: 안재홍의 책무로서 ‘통사(通史)’ 쓰기로부터 평화통일의 교의로서 신민족주의(新民族主義)로
Ⅰ. 들어가며
Ⅱ. <조선상고사관견>에서 『조선통사』로
Ⅲ. 민족사에서 세계사로
Ⅳ. 통일민족국가 건설이념으로서 신민족주의와 문화적 균등
Ⅴ. 마치며

제2장 _이정희
중국정부의 일대일로 정책 추진과 신화교·화인사회
Ⅰ. 들어가며
Ⅱ. 개혁개방 이후 신화교·화인사회의 형성
Ⅲ. 중국정부의 일대일로 추진과 신화교·화인사회의 대응
Ⅳ. 마치며

제3장 _정원대
한중 문화교류의 매개체로서의 <나의 붉은 고래(大鱼海棠)>
Ⅰ. 들어가며
Ⅱ. 캐릭터 변화 중심의 민족신화와 애니메이션의 결합
Ⅲ. <나의 붉은 고래>의 아이덴티티 초월
Ⅳ. 북방 민족신화와 개인 정체성 전환 스토리텔링을 통한 한중 문화 공감대
Ⅴ. 마치며

제4장 _김진형
권력-자본경제에 대한 문화적 접근과 이론적 토대: 중국 시진핑 시기 재중앙집중화(Re-centralization)에 대한 함의
Ⅰ. 들어가며
Ⅱ. 권력-자본경제와 문화 경직성
Ⅲ. 권력-자본경제의 논리적 구조와 불균등
Ⅳ. 권력-자본경제의 작동에 대한 영향도 분석
Ⅴ. 마치며

제5장 _김용환
‘몽골-타타르의 멍에’에 관한 사학사적 고찰: 문화적 영향을 중심으로
Ⅰ. 들어가며
Ⅱ. 혁명 전 시기
Ⅲ. 소비에트 시기
Ⅳ. 소련 해체 이후
Ⅴ. 영미권 연구의 시각
Ⅵ. 마치며

제6장 _구경모
파라과이 거주 중국계 이민자 현황과 문화적응
Ⅰ. 들어가며: 파라과이 중국계 이민자의 이주 특징
Ⅱ. 문화 유형에 대한 연구방법 및 과정
Ⅲ. 파라과이 중국계 이민자의 이주 배경 및 역사
Ⅳ. 파라과이 중국계 이민자 현황
Ⅴ. 파라과이 중국계 이민자의 문화적응 유형
Ⅵ. 마치며

제7장 _이준수
젠더 관점에서 본 라틴아메리카의 사회경제적 불평등과 정책: 멕시코와 칠레를 중심으로
Ⅰ. 들어가며
Ⅱ. 성평등 정도를 평가하는 다양한 지표들
Ⅲ. 라틴아메리카의 경제적 불평등과 젠더
Ⅳ. 경제적 성불평등 현황과 이를 개선하기 위한 정부의 정책
Ⅴ. 마치며

제8장 _임두빈
브라질의 새로운 질서와 진보?
Ⅰ. 들어가며: 세계화와 불평등, 브라질의 향방은
Ⅱ. 브라질의 민주주의 위기와 위기의 민주주의
Ⅲ. 두 개의 브라질
Ⅳ. 마치며

제9장 _조구호
끄리스또발 꼴론의 『항해일지』에 나타난 아메리카의 자연과 식민주의적 탐색
Ⅰ. 들어가며: 르네상스와 대항해
Ⅱ. 끄리스또발 꼴론과 『항해일지』
Ⅲ. 『항해일지』에 나타난 자연과 끄리스또발 꼴론의 식민주의적 탐색
Ⅳ. 마치며: “보고, 이름 붙이고, 기록하고, 취했다.”

제10장 _강진석
전쟁 전후, 근대 일본 지식인의 평화사상과 반성담론 연구: 우치무라 간조와 다케우치 요시미를 중심으로
Ⅰ. 들어가며
Ⅱ. 전쟁 전후 두 사상가의 등장과 외침
Ⅲ. 전쟁 전후 일본의 평화사상과 반성담론
Ⅵ. 마치며

제11장 _송병준
Nationalism in Eurasia: Ethnic Purification and Interethnic Conflict in Georgia
Ⅰ. Introduction
Ⅱ. Georgia's nationalist background
Ⅲ. Drivers and implementation of nationalism in Georgia
Ⅵ. Consequences of Georgia Nationalism: Ethnic Confrontation
Ⅴ. Conclusion

제12장 _Tawara Kanji
Archaeological Investigations in Colonial Vietnam: Focusing on Janse’s “Archaeological Research in Indochina”
Ⅰ. Introduction
Ⅱ. The Worldview of Vietnamese Dynasties and Oriental Studies in French Indochina
Ⅲ. Olov Janse and Oriental studies/archaeology in Europe
Ⅳ. The status of Janse’s “Archaeological Research in Indochina”
Ⅴ. Conclusion

미주
참고문헌

저자소개

조구호 (옮긴이)    정보 더보기
한국외국어대학교 스페인어과를 졸업하고, 콜롬비아의 ‘카로 이 쿠에르보 연구소(Instituto Caro y Cuervo)’에서 문학석사학위를, ‘하베리아나 대학교(Pontificia Universidad Javeriana)’에서 문학박사학위를 받았다. 경희대학교와 한국외국어대학교에서 박사후 연구원 과정을 이수했다. 현재 한국외국어대학교 중남미연구소 HK교수로 재직하면서 중남미 문학과 문화를 연구·강의하고, 에스파냐어권 작품을 소개하고 있다. 그동안 『백년의 고독』, 『이야기하기 위해 살다』, 『소금 기둥』, 『파꾼도』, 『조선소』, 『이 세상의 왕국』, 『켈트의 꿈』, 『소용돌이』, 『폐허의 형상』 등을 번역하고, 『가르시아 마르께스의 『백년의 고독』 읽기』 등 중남미에 관한 책 몇 권을 썼다.
펼치기
이순주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외국어대학교에서 중남미 정치 전공으로 정치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이베로아메리카연구소(현 중남미지역원)의 연구교수를 거쳐 현재 울산대학교 스페인중남미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서로는 『라틴아메리카의 어제와 오늘』(공저), 『4차 산업혁명 시대 한·중남미 기후환경협력』(공저), 『젠더와 불평등』(공저), 『21세기 뉴페미니즘』(공저) 등이 있고, 「제4물결 페미니즘을 넘어: 아르헨티나 페미니즘의 확산」, 「라틴아메리카에서 ‘페미니시디오(Feminicidio)’의 정치적 함의」, 「콜롬버스 상에서 반기념물 ‘정의’로: 시각정치로 본 레포르마 거리의 정치적 동학」 등 다수의 논문이 있다.
펼치기
임두빈 (옮긴이)    정보 더보기
부산외국어대학교 포르투갈어과를 졸업하고 한국외국어대학교 포르투갈어과에서 석사를, 브라질 상파울루주립대학교(UNESP)에서 포르투갈어 응용언어학 박사 학위를 받았습니다. 현재 부산외국어대학교 중남미지역원 교수로 재직 중이며, 번역 에이전시 엔터스코리아에서 출판 기획 및 전문 번역가로도 활동하고 있습니다. 주요 역서로는 《내 책에 악어가 살아요》 《브라질 사람과 소통하기(공역)》 《포르토벨로의 마녀》 《오푸스 데이의 비밀》 《전갈의 달콤한 독》 《나를 변화시키는 힘》 《피노키오 거꾸로 보기》 《내가 아버지를 죽였다》 《미켈란젤로 미술의 비밀(감수)》 《라틴 아메리카 문제와 전망(공역)》 《브라질 사람들》 등 다수가 있습니다.
펼치기
송병준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관계학과 박사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HK+ 연구교수 주요 저서 『유럽연합 거버넌스 2』, 2016, 높이깊이 『유럽연합 정책결정시스템』, 2018, 한국외국어대학교 지식출판콘텐츠원 『조약으로 보는 유럽통합사』, 2016, 통합유럽연구회, 높이깊이 (공저) 『통합과 갈등의 유럽연합』, 2017, 높이깊이 (공저) 『유럽 언론에 나타난 한국의 이미지』, 2017, 한국학중앙연구원 (공저) 『한-EU 관계론』, 2019, 한국외국어대학교 지식출판콘텐츠원 (공저) 『중소기업의 중동부유럽 진출을 위한 거시환경 분석』, 2019, 대외경제정책연구원 (공저) 『동유럽 공산정권의 붕괴와 체제전환』, 2021, 동유럽발칸연구소, 인문과 교양 (공저) 『유럽통합이론』, 2021, 한국학술정보
펼치기
윤대식 (옮긴이)    정보 더보기
한국외국어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고대 중국의 유 ? 법가, 조선 후기 실학, 한국 정치사에 관한 연구를 진행했으며, 고대 법가 철학과 조선 왕조의 정치리더십, 한국 근현대 정치지성사 연구에 주력하고 있다. 충남대학교 아시아지역연구소 전임연구교수, 한국외국어대학교 정치외교학과 연구교수를 거쳐 현재 한국외국어대학교 미네르바교양대학 조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역서로는 『상앙, 이목지신을 지킨 아이언 맨』(신서원, 2020), 『일지록』(지만지, 2019, 역서), 『건국을 위한 변명: 안재홍, 전통과 근대 그리고 민족과 이념의 경계인』(신서원, 2018), 『상군서』(지만지, 2018, 역서), 『민의와 의론』(이학사, 2012, 공저), 『안재홍과 신간회의 민족 운동』(선인, 2012, 공저) 등이 있고, 주요 논문으로는 「순자의 새로운 군주: 선왕의 재현으로서 후왕의 창조」(2020), 「『순자』 속 성인(聖人)에서 성왕(聖王)으로」(2020), 「순자를 위한 변명」(2019), 「『사기』, 제국(帝國)의 정의로움을 위한 변명」(2019), 「유가적 가치체계에 내재한 원초적 여성성과 이념적 여성성 사이」(2018), 「1924~25년 식민지 정치지성의 대외인식에 드러난 자주와 사대의 교차」(2018), 「관중(管仲)의 국가 책무 기획 : 온정과 통제의 경계 짓기」(2017), 「연산군(燕山君), 권력과 폭력 간 불안한 경계 짓기의 실패자?」(2017), 「경세가 관중(管仲)과 텍스트 『관자』(管子) 사이」(2016) 등이 있다.
펼치기
강진석 (옮긴이)    정보 더보기
한국외대 중국어과와 철학과를 졸업했다. 중국 북경대학에서 진래 교수의 지도 아래 「주자체용론연구」로 철학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한국외국어대학교 중국어대학 중국외교통상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한국중국학회, 중국학연구회, 중국현대철학연구회에서 주로 활동하고 있으며, 대학에서 ‘중국철학의 이해’, ‘중국정치사상사’ 등을 강의하고 있다. 저서로는 『체용철학』, 『중국의 문화코드』, 『중화전통과 현대중국』(공저), 『현대신유학과 중국특색의 사회주의』(공저), 『주자학의 형성과 전개』(공저), 『중국 속의 중국: G2 시대』(공저) 외 다수가 있다.
펼치기
구경모 (지은이)    정보 더보기
영남대학교에서 사회인류학 및 민속학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현재 부산외국어대학교 중남미지역원과 국제개발협력전공에서 교수로 재직 중에 있다. 저서로는 『기층문화와 민족주의: 파라과이 민족정체성과 과라니 문화』(2021년 우수학술도서, 대한민국학술원), 『이주와 불평등: 라틴아메리카 이주 현상에 대한 사회문화적 고찰』(공저), 『중남미 국토분야 개발협력의 성과와 과제』(공저) 및 국내외 다수의 논문이 있다.
펼치기
김용환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재 경상대학교 인문대학 러시아학과 조교수 한국외국어대학교 노어과 졸업 모스크바국립대학교 역사학부 석·박사(러시아사) 주요논저 「러시아 국가검열체계의 변천, 1804~1865」, 2018. 「니콜라이 2세 초기(1894~1905) 러시아 검열과 언론출판」, 2014. 『잡지 <니바>와 러시아 사회(1869년 말~1918년)』, 모스크바: 트로반트, 2007.
펼치기
김진형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HK+국가전략사업단 연구교수 미국 미주리대학교 응용경제학과 졸업. 삶의 질, 지속가능성을 고려한 공간경제와 자본이론을 주제로 박사학위를 받음. 논문으로는 「Changes in the Distribution of Migrant Labourers and Implications of Comprehensive Wealth in China’s Urbanisation」, 「The Shale Oil Boom and Comprehensive Wealth of the Bakken Region of North Dakota」, 「중국 도시화과 정에서 인구 이동 패턴과 지역 불균등 분석, 2006-2018」, 「Comprehensive Wealth Measurement and Spatial Hedonic Analysis: Social Capital and Social Amenities」 등 다수. E-mail: kimjh@hufs.ac.kr
펼치기
정원대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초빙연구원
펼치기
Tawara Kanji (지은이)    정보 더보기
National Taiwan University Department of Anthropology, Research Fellow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680151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