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근현대사 > 일제치하/항일시대
· ISBN : 9791160686258
· 쪽수 : 238쪽
· 출판일 : 2021-10-30
책 소개
목차
책머리에
❚ 안재홍의 1920년대 구미(歐美) 정세 인식 / 김명구
1. 머리말
2. 구미열강의 ‘안보협조체계’ 형성 및 대립관계에 대한 인식
1) ‘안보협조체계’ 형성에 대한 인식
2) 대립관계 및 군축 관련 인식
3. 구미 열강의 소련 및 동방 문제 관련 인식
1) 소련 관련 인식
2) 동방 문제 관련 인식
4. 맺음말
❚ 1924-25년 식민지 정치지성의 대외인식에 드러난 자주와 사대의 교차: 중국혁명을 바라보는 안재홍의 시각과 태도 / 윤대식
1. 들어가며
2. 현실진단의 청진기로서 대외인식 : 측면관(側面觀)에서 종횡관(縱橫觀)으로
3. 중국혁명을 바라보는 시각과 태도: 벽상관(壁上觀)의 방관에서 면면관(面面觀)에 내재한 자주성으로?
4. 맺으며
❚ 백두산 등척기에 나타난 숭고체험의 양상과 그 의미: 최남선의 백두산근참기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 이철주
1. 들어가며
2. 진정성의 이상과 근대적 관광경험에 나타난 숭고체험2
3. 부정적(不定的) 숭고와 진정성에 대한 파토스
4. 백두산 등척기의 부정적(不定的) 숭고체험에 나타난 식민지 지식인의 진정한 자아 찾기 과정
5. 나오며
❚ 안재홍의 조선학연구에서 근대정체성 서사와 다산 정약용 / 이지원
1. 머리말
2. 조선학연구의 근대 정체성 서사
1) 문화운동론과 기억문화
2) 민세주의 ‘自我創建’론
3. 근대 정체성 서사 속의 다산 정약용
1) ‘變法自疆’의 진보주의자
2) ‘民’ 중심의 개혁론자
4. 맺음말
❚ 조선건국준비위원회의 건국 구도 / 김인식
1. 머리말
2. 현단계 성격의 인식과 ‘조선건국준비위원회’의 명칭
1) 현단계 성격의 인식
2) ‘조선건국준비위원회’ 명칭의 의미
3. 건국사업의 구도
1) 여운형의 건국 구도
2) 안재홍의 건국 구도
3) 선언과 강령에 나타난 건국 구도의 변화
4. 맺음말
❚ 민세 안재홍의 중도정치 담론: 그레고리 헨더슨의 소용돌이 정치이론과의 접점을 중심으로 / 김정기
1. 헨더슨의 한국정치담론과 안재홍의 중도정치
2. 헨더슨은 누구인가?
3. 헨더슨이 주목한 민세 안재홍
1) 안재홍의 다사리 이념과 정치의 중간지대
2) 정치의 중간지대란?
4. 민세의 정치이념과 헨더슨의 정치이론
1) 헨더슨의 정치발전론
2) 민세의 좌우합작론과 중간지대의 정치합작
3) 중심지향형 정치
4) 중간매개체
5.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