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한국철학 > 실학
· ISBN : 9788979401509
· 쪽수 : 344쪽
· 출판일 : 2025-02-27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일러두기
서론
Ⅰ. 성리학이 조선왕조 멸망의 원인이라는 생각
1. ‘실학이라는 생각’을 향한 첫 번째 단계
2. ‘대척점’으로서의 조선왕조와 성리학
3. 재평가된 성리학, 변치 않는 위상
4. 사상으로 역사를 설명하는 문제점
5. 요청되는 시각의 전환
Ⅱ. 성리학과 실학이 대립한다는 생각
1. ‘실학이라는 생각’을 향한 두 번째 단계
2. ‘유학 대 낭가사상’ 구도의 탄생
3. 신채호의 ‘국수’에서 ‘조선학’으로
4. ‘성리학 대 실학’ 구도의 확립
5. ‘성리학 대 실학’ 구도의 남용
6. 민족주의 서사에 대한 반성
Ⅲ. 실학이 서구문명의 기능적 등가물이라는 생각
1. ‘실학이라는 생각’을 향한 세 번째 단계
2. 서구의 부상과 문명의식의 탄생
3. 결여태인 아시아의 모색
4. 아시아도, 결여태도 아닌 일본
5. 결여태에서 벗어나고 싶은 한국
Ⅳ. 북학을 중상주의에 견줄 수 있다는 생각
1. ‘실학이라는 생각’의 첫 번째 각론
2. 자강론의 전개와 전통의 재발견
3. 조선학운동과 북학의 탄생
4. 근대화론의 풍미와 북학 연구
5. 새로운 연구 시각의 대두
6. 18세기 후반의 맥락에서 본 북학
Ⅴ. 동국의식을 민족주의에 견줄 수 있다는 생각
1. ‘실학이라는 생각’의 두 번째 각론
2. 고려시대 동국의식의 형성과 전개
3. 조선왕조의 건국과 동국의식의 재구성
4. 조선후기 동국의식의 중화론적 특징
5. 역사인식의 계승과 단절에 대한 성찰
Ⅵ. 유득공이 실학자라는 생각
1. ‘실학이라는 생각’의 보편적인 각론
2. 이상향으로서의 고대
3. 고대의 계승을 표방한 조선왕조
4. 18세기 고대사 이해의 새로운 양상
5. 유득공의 고대사 인식과 남북국론
6. 중화론자로서의 유득공
결론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