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13세기 베트남의 대몽항쟁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아시아사 > 동남아시아사
· ISBN : 9788979405613
· 쪽수 : 261쪽
· 출판일 : 2025-03-31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아시아사 > 동남아시아사
· ISBN : 9788979405613
· 쪽수 : 261쪽
· 출판일 : 2025-03-31
책 소개
대몽항쟁을 단순한 전쟁 서사로 환원하지 않고, 쩐(陳, Trần) 왕조가 직면한 군사적 위기와 이에 대한 전략적 대응, 그리고 당시 베트남이 처했던 13세기 동아시아 국제 질서 속에서 수행한 외교적·군사적 전략을 다방면으로 분석한다.
13세기 유라시아 세계질서를 주도한 몽골제국은 다이비엣(大越, Đại Việt), 즉 베트남에 대해 세 차례의 군사 침공을 감행하였다. 세계 최강의 군사력과 초국경적 지배 체제를 갖춘 몽골은 남방 확장의 일환으로 1257년을 시작으로 1288년까지 세 차례에 걸쳐 무력 행동을 단행했으나, 끝내 베트남을 완전히 병합하지는 못했다.
이 책은 이러한 대몽항쟁을 단순한 전쟁 서사로 환원하지 않고, 쩐(陳, Trần) 왕조가 직면한 군사적 위기와 이에 대한 전략적 대응, 그리고 당시 베트남이 처했던 13세기 동아시아 국제 질서 속에서 수행한 외교적·군사적 전략을 다방면으로 분석한다. 특히 본서는 ‘항전’이라는 민족주의적 서사에 갇히지 않고, 국가 내부의 권력 통합, 전시 체제의 구축, 물자 동원과 후퇴 전략, 해상 매복과 지형을 활용한 게릴라 전술 등 정치·군사 운용의 실제 양상을 구체적으로 고찰한다. 특히 1288년 바익당(白藤, Bạch Đằng)강 전투는 전통 전술의 재구성과 전략적 후퇴의 효과를 입증한 결정적 사례로 조명된다.
나아가 이 책은 중국-원조(元朝)의 사료와 고려·몽골 간 외교 문서, 베트남 전통 사서를 상호 비교함으로써, 이 전쟁이 단지 베트남의 일국적 사건이 아니라 13세기 동아시아 국제 질서의 변동 속에서 벌어진 복합적 전쟁 외교임을 밝히고자 한다. 조공의 형식과 책봉을 둘러싼 외교적 공방, '항복'과 '복속' 사이에서 활용된 수사 전략, 그리고 명분과 실리를 절충한 외교적 대응 방식은 초강대국의 압박 속에서 어떻게 소국이 자율성과 정통성을 보존할 수 있었는지를 잘 보여준다.
『13세기 베트남의 대몽항쟁』은 전쟁사·동아시아 외교사·베트남 정치사의 교차 지점에서 쓰인 연구서로, 제국의 위협에 대한 지역 정치적 대응의 실천과 그 가능성의 한계를 함께 살펴보려는 시도이다. 이 책은 오늘날 강대국 중심의 국제 질서와 비교하면서, 역사 속 ‘약소국의 생존 전략’이 가지는 보편적 의미를 성찰하게 한다는 점에서 학문적·시사적 의의를 동시에 지닌다고 할 수 있다.
이 책은 이러한 대몽항쟁을 단순한 전쟁 서사로 환원하지 않고, 쩐(陳, Trần) 왕조가 직면한 군사적 위기와 이에 대한 전략적 대응, 그리고 당시 베트남이 처했던 13세기 동아시아 국제 질서 속에서 수행한 외교적·군사적 전략을 다방면으로 분석한다. 특히 본서는 ‘항전’이라는 민족주의적 서사에 갇히지 않고, 국가 내부의 권력 통합, 전시 체제의 구축, 물자 동원과 후퇴 전략, 해상 매복과 지형을 활용한 게릴라 전술 등 정치·군사 운용의 실제 양상을 구체적으로 고찰한다. 특히 1288년 바익당(白藤, Bạch Đằng)강 전투는 전통 전술의 재구성과 전략적 후퇴의 효과를 입증한 결정적 사례로 조명된다.
나아가 이 책은 중국-원조(元朝)의 사료와 고려·몽골 간 외교 문서, 베트남 전통 사서를 상호 비교함으로써, 이 전쟁이 단지 베트남의 일국적 사건이 아니라 13세기 동아시아 국제 질서의 변동 속에서 벌어진 복합적 전쟁 외교임을 밝히고자 한다. 조공의 형식과 책봉을 둘러싼 외교적 공방, '항복'과 '복속' 사이에서 활용된 수사 전략, 그리고 명분과 실리를 절충한 외교적 대응 방식은 초강대국의 압박 속에서 어떻게 소국이 자율성과 정통성을 보존할 수 있었는지를 잘 보여준다.
『13세기 베트남의 대몽항쟁』은 전쟁사·동아시아 외교사·베트남 정치사의 교차 지점에서 쓰인 연구서로, 제국의 위협에 대한 지역 정치적 대응의 실천과 그 가능성의 한계를 함께 살펴보려는 시도이다. 이 책은 오늘날 강대국 중심의 국제 질서와 비교하면서, 역사 속 ‘약소국의 생존 전략’이 가지는 보편적 의미를 성찰하게 한다는 점에서 학문적·시사적 의의를 동시에 지닌다고 할 수 있다.
목차
들어가며
Ⅰ장. 서론
Ⅱ장. 1차 침공 이전 베트남 및 몽골제국의 대외관계
1. 베트남 쩐(陳) 왕조의 성립과 대외관계
2. 몽골제국의 형성과 베트남의 대 몽골 인식
Ⅲ장. 뭉케 시기 베트남-몽골 전쟁과 상호 교섭
1. 1차 침략의 배경과 전개
2. 몽골의 ‘육사’ 요구와 베트남의 대응
Ⅳ장. 쿠빌라이의 남해 경략과 베트남-몽골 전쟁의 개시
1. 제2차 침략의 배경과 전개
2. 제2차 침공 이후 양국 관계의 변화
Ⅴ장. 제3차 베트남-몽골 전쟁과 그 전개 양상
1. 제3차 베트남 정벌 전쟁의 경과
2. 제3차 전쟁 이후 양국 관계의 추이
Ⅵ장. 결론
부록 1
<지도 1> 뭉케 시기 우량카다이의 베트남 침략(1258년)
<지도 2> 쿠빌라이 시기 베트남 1차 침략(1285년)
<지도 3> 쿠빌라이 시기 베트남 2차 침략(1288년)
<지도 4> 2차 침략 당시 바익당(白藤, Bạch Đằng)강 전투(1288년)
부록 2
<표 1> 중국(宋, 元)에 파견된 베트남(Đinh~Trần 朝) 사신단표
<표 2> 베트남(Đinh~Trần 朝)에 파견된 중국(宋, 元) 사신단표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추천도서
분야의 베스트셀러 >
분야의 신간도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