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계급, 소외, 차별

계급, 소외, 차별

(마르크스주의는 계급, 소외, 여성·성소수자·인종 차별을 어떻게 설명하는가?)

제프리 디스티 크로익스, 조셉 추나라, 주디 콕스, 애비 바칸, 실라 맥그리거, 콜린 윌슨, 켄 올렌데, 섀런 스미스 (지은이), 책갈피 편집부 (엮은이)
책갈피
1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3,500원 -10% 2,500원
750원
15,2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계급, 소외, 차별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계급, 소외, 차별 (마르크스주의는 계급, 소외, 여성·성소수자·인종 차별을 어떻게 설명하는가?)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사상/사회사상사 > 마르크스주의
· ISBN : 9788979661217
· 쪽수 : 344쪽
· 출판일 : 2017-03-15

책 소개

계급, 소외, 차별이 무엇이고 왜 생겨났는지, 어떻게 없앨 수 있는지 등은 우리 사회를 이해하고 더 나은 미래를 만들기 위한 중요한 물음이다. 이 책은 이런 물음에 명쾌한 답변을 제시할 뿐 아니라 이런 현상이 자본주의 체제와 어떤 관련이 있는지를 마르크스주의적 관점에서 설명한다.

목차

책을 펴내며

1부 마르크스주의 정치학의 기본 개념
마르크스주의 계급론 _ 조셉 추나라
역사유물론과 계급 _ 제프리 디스티 크로익스
마르크스주의 소외론 _ 주디 콕스
마르크스주의 차별론 _ 애비 바칸

2부 마르크스주의는 차별을 어떻게 설명하는가?
여성 차별 _ 실라 맥그리거
성소수자 차별 _ 콜린 윌슨
인종차별과 이민자 규제 _ 켄 올렌데
정체성 정치 비판 _ 섀런 스미스

후주
참고 문헌

저자소개

콜린 윌슨 (지은이)    정보 더보기
영국의 사회주의자이고 성소수자에 대한 여러 글을 썼다. 국내에 번역된 책은《동성애 혐오의 원인과 해방의 전망: 마르크스주의적 분석》(책갈피)이 있다.
펼치기
조셉 추나라 (지은이)    정보 더보기
영국 사회주의노동자당(SWP) 중앙위원이고 계간지 《인터내셔널 소셜리즘》 편집위원이며 레스터대학교 교수다. 국내에 소개된 저서는 《마르크스, 자본주의의 비밀을 밝히다》(책갈피), 《차베스와 베네수엘라 그리고 21세기의 혁명》(다함께), 《자본주의 위기의 시대 왜 혁명인가》(책갈피, 공저)가 있다.
펼치기
제프리 디스티 크로익스 (지은이)    정보 더보기
마르크스주의 관점에서 고대사를 연구한 역사학자로 런던대학교 정치경제대학과 옥스퍼드대학교 뉴칼리지에서 고대사를 가르쳤다. The Character of the Athenian Empire, Early Christian Attitudes to Property and Slavery, The Class Struggle in the Ancient Greek World 등 고대사에 대한 여러 책을 썼다. 1982년에는 The Class Struggle in the Ancient Greek World로 아이작 도이처 기념상을 수상했다. 도이처 기념상은 트로츠키 전기 작가로 유명한 아이작 도이처를 기념해 해마다 가장 훌륭하고 혁신적인 마르크스주의 신간에 수여하는 상이다.
펼치기
주디 콕스 (지은이)    정보 더보기
영국의 사회주의자이고 William Blake: The Scourge of Tyrants, Robin Hood: Rebel and Outlaw의 저자다.
펼치기
애비 바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캐나다 사회주의자이고 퀸스대학교 정치학 교수였다. Negotiating Citizenship: Migrant Women in Canada and the Global System의 공저자다.
펼치기
실라 맥그리거 (지은이)    정보 더보기
영국 사회주의노동자당SWP의 오랜 당원이고 계간지 《인터내셔널 소셜리즘》 편집위원이다. 1970년대에는 국제사회주의자들(사회주의노동자당의 전신)이 발행한 격월간지 《위민스 보이스》의 편집자였다. 오랫동안 여성 차별과 노동운동에 관해 글을 쓰며 마르크스주의적 여성해방론을 발전시켰고 클라라 체트킨, 실비아 팽크허스트 등 여성해방과 노동계급 투쟁을 긴밀하게 결합시킨 여성 사회주의자에 대해서도 많은 글을 썼다. 영국 교원노조NUT 분회장으로서 노동운동 안에서 전쟁에 반대하고 여성·성소수자·인종 차별에 맞선 활동에 앞장서기도 했다. 국내에 번역된 책은 《계급, 소외, 차별》(공저, 책갈피, 2017)이 있다.
펼치기
켄 올렌데 (지은이)    정보 더보기
영국 사회주의노동자당 당원이고 <소셜리스트 워커>에 인종차별과 이주민 쟁점에 대한 글을 기고하고 있다.
펼치기
섀런 스미스 (지은이)    정보 더보기
미국의 사회주의자이고 Women and Socialism의 저자다. 국내에 소개된 글은《정체성 정치는 해방의 수단인가?》(다함께)가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o 계급이란 무엇인가?
마르크스의 계급론은 학계의 주요 이론인 막스 베버의 계급론과 근본적으로 다르다. … 베버 주장의 핵심은 사람들이 소유한 재화, 시장에서의 지위, 직업의 종류에 따라 계급이 규정된다는 것이다. 계급을 이런 식으로 규정하면 직업에 따라 계급이 천차만별로 나뉘게 된다. … 베버는 파편화에 기초해 계급을 규정하[지만] … 마르크스의 개념에서는 사람들을 하나의 계급으로 묶는 요인이 무엇인지가 핵심이다. … 본질적으로 계급은 관계다. … 하나의 계급(특정 계급)은 사회에서 한 집단으로 묶이는 사람들을 지칭하는데, 그 사람들이 사회적 생산 체제 전체에서 어떤 지위에 있냐에 따라 결정되고, 무엇보다 그들이 생산 조건과 맺는 관계에 따라, 그리고 다른 계급들과 맺는 관계에 따라 결정된다. … 요컨대 두 가지 질문을 던져 한 사회의 계급 구조를 이해할 수 있다. 첫째, 누가 누구를 착취하는가? 둘째, 누가 생산수단을 지배하는가?


o 소외란 무엇인가?
소외는 … 인간과 그들 자신의 잠재력 사이의 전반적 간극을 말한다. 계급사회에서 사는 사람은 모두 소외를 겪는다. … 마르크스는 인간 소외에는 몇 가지가 있다고 생각했다. 노동 생산물로부터의 소외, 노동과정 자체로부터의 소외, 계급 사이 또는 계급 내부에 적개심이 만연한 데서 비롯하는 동료 인간으로부터의 소외, 마지막으로 세계를 의식적으로 창조하는 인간의 능력인 인간 본성으로부터의 소외가 그것이다. … 마르크스는 인간의 고통이 자연스러운 것이라거나 피할 수 없는 신의 섭리라거나 인간의 활동 영역 밖에 있는 그 무엇이라고 생각하는 관념에 도전하고자 했다. … 마르크스는 인간이 겪는 고통의 물질적 근원을 이해하기 위해 구체적인 역사적 조건 속에서 인간의 고통을 살펴봤다. 마르크스는 이런 조건에서 비롯한 모순들을 이해했고, 그 속에서 모든 소외가 사라진 세계의 가능성, 즉 인간의 노동이 인류의 잠재력을 확대하는 동시에 자연 세계도 보호하는 방식으로 자연 세계와 상호작용하는 세계의 실현 가능성을 봤다. 마르크스의 소외론이 기여한 핵심 하나는 소외를 역사적 산물로 봤다는 점이다. 따라서 마르크스는 인간이 정치적 민주주의나 법적 평등에서 멈추지 않고 소외에서 완전히 해방될 수 있다고 생각했다.


o 마르크스주의는 차별을 설명할 수 없는가?
마르크스와 엥겔스는 자본주의에서의 차별을 이해하는 데 핵심은 차별이 계급 문제이고 노동계급의 여러 부문을 서로 반목시킨다는 점을 이해하는 것이라고 거듭 주장했다. … 지배계급은 특정 집단에 대한 특정 차별을 부추겨 피억압 계급을 분열시켜야 하는데, 피억압 계급이 단결하면 지배계급의 지배력이 끝장나기 때문이다. … 그러나 마르크스와 엥겔스는 자본주의에서 벌어지는 차별을 이해하는 데서 더 나아갔다. 그들은 계급사회를 통틀어 차별이 어떻게 발전했는지를 고찰했다. … 마르크스와 엥겔스의 기본 입장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지배계급은 자신들의 경제적 권력에 의존하는데, 그들의 경제력은 사회적으로 확립된 실정법으로 뒷받침되고 사회 전체의 생산수단에 바탕을 두고 있다. 이 경제력이 계급 지배의 궁극적 특징이고 결정적 토대다. 그러나 계급사회에서 경제력만 작용하는 것은 아니다. 사상·법률·국가기구 등도 작용하는데, 그 작용 방식은 시기나 구체적 상황에 따라 다양하다. 심지어 생산양식이 똑같은 사회에서도 그렇다. 차별은 계급 지배의 이 둘째 요소의 특징이다. … 마르크스와 엥겔스는 생산과정과 직접 관련 없는 차별의 의미를 축소하거나 깎아내리지 않았고, 오히려 이런 여러 관계들이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 즉 어떻게 서로 의존하거나 모순을 일으키는지를 이해하고자 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