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사상/사회사상사 > 마르크스주의 > 현대 마르크스주의
· ISBN : 9788979660968
· 쪽수 : 207쪽
· 출판일 : 2012-11-19
책 소개
목차
책을 펴내며
지은이 소개
출처
머리말 - 알렉스 캘리니코스
당과 계급 - 크리스 하먼
혁명적 사회주의 정당을 향해 - 던컨 핼러스
트로츠키의 대리주의론 - 토니 클리프
계급, 당, 지도부 - 레온 트로츠키
1917년 이전의 당과 계급 - 알렉스 캘리니코스
후주
저자소개
책속에서
o 레닌주의가 스탈린주의를 낳았는가?
흔히 "스탈린 체제의 세균은 처음부터 볼셰비즘 속에 있었다"고들 한다. 글쎄, 그럴지도 모르겠다. 그렇지만 볼셰비즘에는 다른 많은 세균들, 무수히 많은 다른 세균들도 있었다. … 사망 후 시체 부검에서 드러난 세균들, 어쩌면 태어날 때부터 몸속에 있었을지도 모르는 세균들로 산 사람을 판단하는 것이 과연 온당한 일인가?
17차 당대회 대의원 1966명 가운데 1108명이 체포됐고, … 대회에서 선출된 당 중앙위원화 후보위원 139명 가운데 70퍼센트인 98명이 체포되거나 처형당했다. 요컨대, 과거에 볼셰비키 전력이 있는 사람들 대다수(17차 당대회 대의원의 80퍼센트가 1921년 이전에 당에 가입한 사람들이었다)가 제거됐고, 노동계급 운동과 미미한 연관조차 거의 없는 "전혀 오염되지 않은" 새 인물들로 대체됐다.
'중앙집권적 조직 = 관료주의 = 변질'이라는 등식은 사실 세속판 원죄설이다. 종교적 원죄설과 마찬가지로 세속판 원죄설도 근본적으로 반동적 결론으로 이어진다. 이 주장에는 노동자들이 자신의 조직을 집단적?민주적으로 통제할 수 없다는 의미가 함축돼 있기 때문이다. 이 주장이 사실로 입증된 사례가 많다고 하더라도 이것이 필연적으로 참일 수밖에 없다고 주장하는 것은 진정한 의미의 민주주의가 불가능하므로 사회주의도 불가능하다고 주장하는 것과 마찬가지다.
o 레닌의 당 개념은 엘리트주의적인가?
레닌은 … 오직 당만이 계급에게 사회주의 의식을 불어넣을 수 있다는 함의가 있는 주장들을 카우츠키에게서 끌어내 자신의 논거로 삼았지만, 나중에는 계급이 당보다 더 '왼쪽'에 있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그러나 사실, 여기서 모순을 발견한다는 것은 이 문제에 관한 레닌의 사상에 담긴 근본적 요소들을 이해하지 못하는 것이다. 왜냐하면 레닌의 당 개념의 진정한 이론적 기초는 노동계급이 자신의 힘으로는 이론적 사회주의 의식에 이를 수 없다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러시아 사회민주노동당 2차 당대회에서 레닌은 "노동자들도 이데올로기 형성에 한몫한다는 사실을 전혀 고려하지 않는다"는 비난을 일축하면서 다음과 같이 덧붙였다. "'경제주의자들'은 한쪽 극단으로 나아갔다. 막대를 똑바로 펴기 위해서는 누군가가 반대 방향으로 구부려야 했다. 그것이 바로 내가 한 일이다."
o 조직은 자발성을 억제하는가?
증기가 없는 피스톤은 쓸모가 없다. 피스톤으로 압축되지 않는 증기의 효과는 제한적이다. 자발성과 조직은 둘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하는 관계가 아니다. 이 둘은 점점 더 많은 노동자가 자신의 현실 상황과 이를 바꿀 수 있는 자신들의 힘을 인식하게 되는 과정의 서로 다른 측면일 뿐이다.
'규율'은 개인의 경험을 당 전체의 이론과 실천에 연결할 필요성을 받아들인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런 식으로 '규율'은 구체적 상황을 평가할 수 있는 능력과 대립되는 것이 아니라 그것의 필수적 전체가 된다. … '규율'이 당내에 존재하는 차이를 숨기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그것을 전면에 드러내 토론에 부치는 것이다. … 당의 규율은 위에서 아래로 강요된 어떤 것이 아니라 당의 결정에 참여하고 그 결정을 실행에 옮기려고 행동하는 모든 이들이 자발적으로 받아들인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