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계원필경집 1

계원필경집 1

최치원 (지은이), 이상현 (옮긴이)
한국고전번역원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계원필경집 1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계원필경집 1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우리나라 옛글 > 산문
· ISBN : 9788979778823
· 쪽수 : 456쪽
· 출판일 : 2009-01-01

책 소개

'한국문집총간' 제1집 소재 <계원필경집>을 완역한 책이다. 당나라 회남절도사 고변 휘하에서 4년 동안 지은 1만여 수의 시문을 귀국 후 골라 20권으로 편찬한 최치원의 종사관 시절을 대표하는 저작이다. 50수의 시와 320편의 문이 수록되어 있다.

목차

일러두기

해제 : 현전하는 우리나라 고대의 유일한 문집 / 장일규

원문 제목 찾아보기

계원필경집 서

교인 계원필경집 서문〔校印桂苑筆耕集序〕[홍석주(洪奭周)]
교인 계원필경집 서문〔校印桂苑筆耕集序〕[서유구(徐有?)]

계원필경 서문〔桂苑筆耕序〕

계원필경집 제1권

표(表)
연호의 개정을 하례한 표문〔賀改年號表〕
남만과 통화한 것을 하례한 표문〔賀通和南蠻表〕
건왕을 위박에 제수한 것을 하례한 표문〔賀建王除魏博表〕
공주의 책봉을 하례한 표문〔賀封公主表〕
황소의 도당을 섬멸한 것을 하례한 표문〔賀殺戮黃巢徒伴表〕
초적 천능을 처참한 것을 하례한 표문〔賀處斬草賊阡能表〕
서울을 수복한 것을 하례한 표문〔賀收復京闕表〕
황소를 죽인 것을 하례한 표문〔賀殺黃巢表〕
덕음을 내린 것을 하례한 표문〔賀降德音表〕
대가가 돌아오는 날에 풍악을 울리지 못하게 한 것을 하례한 표문〔賀廻駕日不許進歌樂表〕

계원필경집 제2권

표(表)
태위의 직책에 올려 준 것에 대해 사례한 표문〔謝加太尉表〕
남만과 통화한 사의를 보여 준 것에 대해 사례한 표문〔謝示南蠻通和事宜表〕
서천에 축성비를 세워 준 것에 대해 사례한 표문〔謝立西川築城碑表〕
어제 진찬을 하사한 것에 대해 사례한 표문〔謝賜御製眞贊表〕
어찰과 의금과 국신을 받고 사례한 표문〔謝御札衣襟?國信表〕
시중의 지위에 올려 준 것을 사례한 표문〔謝就加侍中表〕
선위해 주고 아울러 시중과 실봉을 내려 준 것에 대해 사례한 표문〔謝賜宣慰兼加侍中實封表〕
강회에 순행하기를 청한 표문〔請巡幸江淮表〕
순행하기를 청한 두 번째 표문〔請巡幸第二表〕
관직을 사양하고 치사를 청한 표문〔讓官請致仕表〕

계원필경집 제3권

장(狀)
조서에 대해 사례한 장문〔謝詔狀〕
임시로 정상을 도통에 임명했다고 조서로 알려 준 것에 대해 사례한 장문〔謝詔示權令鄭相充都統狀〕
선위해 준 것을 사례한 장문〔謝宣慰狀〕
예물 바친 것을 표창한 조서에 대해 사례한 장문〔謝詔奬飾進奉狀〕
조서를 내려 서주의 사의를 보여 준 데 대해 사례한 장문〔謝詔示徐州事宜狀〕
묵칙을 행하지 못하게 한 조서에 대해 사례한 장문〔謝詔止行墨勅狀〕
극공보를 감군에 임명하고 수조를 내린 것에 대해 사례한 장문〔謝?公甫充監軍手詔狀〕
종전을 강서 관찰사에 제수해 준 것에 대해 사례한 장문〔謝除鍾傳充江西觀察使狀〕
시중을 제수하고 실봉을 내려 준 것에 대해 사례한 장문〔謝就加侍中兼實封狀〕
진언 등을 정식으로 자사에 제수해 준 것을 사례한 장문〔謝秦彦等正授刺史狀〕

계원필경집 제4권

주장(奏狀)
종사관을 주청한 장문〔奏請從事官狀〕
승려 홍정을 관내의 승정에 임명해 줄 것을 주청한 장문〔奏請僧弘鼎充管內僧正狀〕
홍정의 승정 임명을 허락한 것에 대해 사례한 장문〔謝許弘鼎充僧正狀〕
조카 경을 팽주의 구롱 현령에 제수한 것에 대해 사례한 장문〔謝除姪男瓊授彭州九?縣令狀〕
아우 축을 다시 면주 자사로 제수해 준 것을 사례한 장문〔謝弟?再除綿州刺史狀〕
조카 구의 전임을 주청한 장문〔奏請姪男?轉官狀〕
조카 홍약의 이름을 제로 바꾸게 하고 양주대도부 좌사마에 제수해 준 것을 사례한 장문〔謝姪男弘約改名濟除授揚州大都府左司馬狀〕
귀순군 손단에 대해 주청한 장문〔奏請歸順軍孫端狀〕
이해 이하를 참군과 현위 등에 주청한 장문〔奏李楷已下參軍縣尉等狀〕
양행민을 지여주군주사로 주청한 장문〔奏楊行敏知廬州軍州事狀〕

계원필경집 제5권

주장(奏狀)
황소 휘하의 적장인 성영괴를 달래어 항복시킨 것을 아뢴 장문〔奏誘降黃巢下賊將成令?狀〕
복건도의 도적을 달래어 항복시킨 것을 아뢴 장문〔奏誘降福建道草賊狀〕
조카 소가 화주를 지키지 못했으니 군령대로 행할 것을 주청한 장문〔奏姪男?華州失守請行軍令狀〕
천정군 임종해 등의 의복과 식량 지급을 주론한 장문〔奏論天征軍任從海等衣粮狀〕
병사의 징발에 대해 주론한 장문〔奏論抽發兵士狀〕
반장 녹안홍에게 흥원 절도사를 제수할 것을 주청한 장문〔奏請叛將鹿晏弘授興元節度使狀〕
금은의 기물을 올린 장문〔進金銀器物狀〕
칠기를 올린 장문〔進漆器狀〕
어의와 필단을 올린 장문〔進御衣段狀〕
능견과 금기 등을 올린 장문〔進綾絹錦綺等狀〕

계원필경집 제6권

당장(堂狀)
남만에 들어간 사신이 돌아온 것을 하례한 장문〔賀入蠻使廻狀〕
황소의 적도를 죽인 것을 하례한 장문〔賀殺黃巢賊徒狀〕
경성을 수복한 것을 하례한 장문〔賀收復京城狀〕
월식에 덕음을 내린 것을 하례한 장문〔賀月蝕德音狀〕
내전에서 연회를 베풀고 백관에게 요전을 지급한 것을 하례한 장문〔賀內宴仍給百官料錢狀〕
절동과 절서에 조서를 내려 타이를 것을 청한 장문〔請降詔旨指?兩浙狀〕
시중에 임명하고 실봉을 내려 준 것에 대해 사례한 장문〔謝加侍中兼實封狀〕
제도염철사를 해직하고 시중에 임명해 주는 동시에 실봉을 내려 준 것에 대해 사례한 장문〔謝落諸道鹽鐵使加侍中兼實封狀〕
아우 축을 다시 면주 자사에 임명한 것을 사례한 장문〔謝弟?再除綿州狀〕
종사관으로 전임시켜 주기를 청한 장문〔請轉官從事狀〕

계원필경집 제7권

별지(別紙)
활주 도통 왕 영공에게 보낸 글〔滑州都統王令公〕
활주 도통 왕 영공에게 보낸 두 번째 글〔第二〕
활주 도통 왕 영공에게 보낸 세 번째 글〔第三〕
정전 상공에게 보낸 글〔鄭?相公〕
정전 상공에게 보낸 두 번째 글〔第二〕
사관 소구 상공에게 보낸 글〔史館蕭?相公〕
탁지 배철 상공에게 보낸 글〔度支裴徹相公〕
조용사 왕휘 상공에게 보낸 글〔租庸王徽相公〕
전 태원 정종당 상서에게 보낸 글〔前太原鄭從?尙書〕
예부 하후담 시랑에게 보낸 글〔禮部夏侯潭侍郞〕
이부 배찬 상서에게 보낸 글〔吏部裴瓚尙書〕
이부 배찬 상서에게 보낸 두 번째 글〔第二〕
선흡 배건여 상서에게 보낸 글〔宣?裴虔餘尙書〕
선흡 배건여 상서에게 보낸 두 번째 글〔第二〕
염철사 이도 상공에게 보낸 글〔鹽鐵李都相公〕
염철사 이도 상공에게 보낸 두 번째 글〔第二〕
노소 급사에게 보낸 글〔盧紹給事〕
벽주 정응적 상서에게 보낸 글〔壁州鄭凝績尙書〕
사주 정유 상시에게 보낸 글〔泗州鄭庾常侍〕
호주 두유휴 상시에게 보낸 글〔湖州杜孺休常侍〕

계원필경집 제8권

별지(別紙)
사주 우도 상시에게 보낸 글〔泗州于濤常侍〕
서천 진경선 상공에게 보낸 글〔西川陳敬瑄相公〕
서주 시보 사공에게 보낸 글〔徐州時溥司空〕
서주 시보 사공에게 보낸 두 번째 글〔第二〕
서주 시보 사공에게 보낸 세 번째 글〔第三〕
제갈상 상공에게 보낸 글〔諸葛爽相公〕
제갈상 상공에게 보낸 두 번째 글〔第二〕
호남 민욱 상서에게 보낸 글〔湖南閔頊尙書〕
유주 이가거 대왕에게 보낸 글〔幽州李可擧大王〕
유주 이가거 대왕에게 보낸 두 번째 글〔第二〕
유주 이가거 대왕에게 보낸 세 번째 글〔第三〕
유주 이가거 대왕에게 보낸 네 번째 글〔第四〕
활주 왕 영공에게 보낸 글〔滑州王令公〕
염철사 이도 상공에게 보낸 글〔鹽鐵李都相公〕
염철사 이도 상공에게 보낸 두 번째 글〔第二〕
용주 배현 상서에게 보낸 글〔龍州裴峴尙書〕
서천 유 상시에게 보낸 글〔西川柳常侍〕
사관 소구 상공에게 보낸 글〔史館蕭?相公〕
삼상공에게 보낸 글〔三相公〕
한림 후증 학사에게 보낸 글〔翰林侯?學士〕

계원필경집 제9권

별지(別紙)
도통 왕 영공에게 보낸 글〔都統王令公〕
도통 왕 영공에게 보낸 두 번째 글〔第二〕
도통 왕 영공에게 보낸 세 번째 글〔第三〕
절서 주보 사공에게 보낸 글〔浙西周寶司空〕
절서 주보 사공에게 보낸 두 번째 글〔第二〕
절서 주보 사공에게 보낸 세 번째 글〔第三〕
절서 주보 사공에게 보낸 네 번째 글〔第四〕
절서 주보 사공에게 보낸 다섯 번째 글〔第五〕
선흡 배건여 상서에게 보낸 글〔宣?裴虔餘尙書〕
선흡 배건여 상서에게 보낸 두 번째 글〔第二〕
선흡 배건여 상서에게 보낸 세 번째 글〔第三〕
벽주 정응적 상서에게 보낸 글〔壁州鄭凝績尙書〕
벽주 정응적 상서에게 보낸 두 번째 글〔第二〕
태보 상공 정전에게 보낸 글〔太保相公鄭?〕
호군 극공보 장군에게 보낸 글〔護軍?公甫將軍〕
호군 극공보 장군에게 보낸 두 번째 글〔第二〕
호군 극공보 장군에게 보낸 세 번째 글〔第三〕
전 좌성 위증 상시에게 보낸 글〔前左省衛增常侍〕
사주 우도 상서에게 보낸 글〔泗州于濤尙書〕
사주 우도 상서에게 보낸 두 번째 글〔第二〕

계원필경집 제10권

별지(別紙)
위박 한간 시중에게 보낸 글〔魏博韓簡侍中〕
악주 최소 대부에게 보낸 글〔鄂州崔紹大夫〕
고공 장영 낭중에게 보낸 글〔考功蔣泳郞中〕
전 사주 정렴 상시에게 보낸 글〔前泗州鄭廉常侍〕
신라 탐후사 박인범 원외에게 보낸 글〔新羅探候使朴仁範員外〕
소구 상공에게 보낸 글〔蕭?相公〕
소구 상공에게 보낸 두 번째 글〔第二〕
전 군용에게 보낸 글〔田軍容〕
도통 왕 영공에게 동지를 하례하며 보낸 글〔都統王令公賀冬至〕
절서 주보 사공에게 보낸 글〔浙西周寶司空〕
전 선흡 배건여 상서에게 보낸 글〔前宣?裴虔餘尙書〕
유주 이가거 태보에게 보낸 글〔幽州李可擧太保〕
유주 이가거 태보에게 보낸 두 번째 글〔第二〕
유주 이가거 태보에게 보낸 세 번째 글〔第三〕
유주 이가거 태보에게 보낸 네 번째 글〔第四〕
유주 이가거 태보에게 보낸 다섯 번째 글〔第五〕
서사의 시 사공에게 보낸 글〔徐泗時司空〕
전영자 군용에게 기물을 보낸 글〔田令孜軍容送器物〕
진무 혁연탁 상서가 말과 개를 보내 준 것에 대해 사례한 글〔振武赫連鐸尙書謝馬狗〕
유주 이가거 대왕에게 보낸 글〔幽州李可擧大王〕

저자소개

최치원 (지은이)    정보 더보기
신라 말기의 학자, 문장가로,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해운(海雲), 호는 고운(孤雲)이다. 경주 사량부(또는 본피부) 출신이다. 857년(헌안왕1)에 태어나 868년(경문왕8) 12세의 나이로 당나라에 유학하여 7년 만인 874년에 빈공과에 합격하였다. 그 뒤 고변(高騈)의 종사관으로서 문한의 임무를 담당하였다. 29세 때 신라에 돌아와 시독(侍讀)에 임명되었다. 그러나 신라 신분체제의 한계와 국정의 문란함을 깨닫고 외지로 나가 태산군·천령군·부성군 등지의 태수를 역임하였다. 894년에는 시무책 10여 조를 진성여왕에게 올려 문란한 정치를 바로잡고자 하였으나 끝내는 승 현준(賢俊) 및 정현사(定玄師)와 도우(道友)를 맺고 가야산에 은거하였다. 언제 세상을 떠났는지는 알려지지 않았으나 908년(효공왕12) 말까지 생존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고려 현종 때 내사령(內史令)에 추증되고 문창후(文昌侯)에 추시(追諡)되어 문묘에 배향되었다. 저술로는 《계원필경집(桂苑筆耕集)》, 《금체시(今體詩)》, 《잡시부(雜詩賦)》, 《중산복궤집(中山覆需集)》 등의 시문집과 사서(史書)인 《제왕연대력(帝王年代曆)》, 불교관계 글인 《부석존자전(浮石尊者傳)》, 《석순응전(釋順應傳)》, 《석이정전(釋利貞傳)》 등이 있었다. 오늘날에는 《계원필경》, 《법장화상전》, 《사산비명》만이 전한다.
펼치기
이상현 (옮긴이)    정보 더보기
한문고전번역가로, 1949년 전주에서 출생하였다. 모친은 거출(巨出)이라고 불렀다. 종말론에 빠져들어 종교학과에 들어갔다가 자아모순동일률의 그물을 찢고 빠져나왔으며, 불교대학원에서 한국불교의 대중화를 꾀하여 삼계교(三階敎)를 연구하고 발표하였다. 기자 생활 중에 새종교 현장을 취재 및 발굴하였고, 역사 유적 탐방 기행문을 발간하였다. 해직된 뒤에 한문 고전의 세계에 뛰어들어 강의와 번역에 종사하였다. 조선왕조실록 번역에 참여하였으며, 한국문집총간 중 《가정집》, 《간이집》, 《계곡집》, 《고산유고》, 《고운집》, 《녹문집》, 《도은집》, 《목은집》, 《상촌집》, 《죽석관유집》, 《택당집》, 《포저집》 등을, 한국불교전서 중 《기암집》, 《몽암대사문집》, 《무용당유고》, 《부휴당대사집》, 《사명당대사집》, 《월파집》, 《청허당집》, 《침굉집》 등을 번역하였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