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철학
· ISBN : 9788979867862
· 쪽수 : 332쪽
· 출판일 : 2009-02-28
책 소개
목차
自序
머리말
1. 고대의 유학
*君子國의 전통과 한국유학의 본질
*삼국시대의 유학
1) 삼국시대 유학의 개관
2) 고구려의 유학
3) 백제의 유학
4) 신라시대의 유학
*통일신라시대의 유학
1) 문무왕의 정치이념에 나타난 輔國安民思想
2) 신라의 교육사상과 국학의 건립
3) 통일 이후의 田制改革과 유학사상
4) 당대 문화의 수입과 입당 유학생
5) 신라 말기 학술사상의 변천과 도참설
6) 신라의 유학자상
2. 고려시대의 유학
*고려 전기의 유학
1) 고려 전기 유학의 개관
2) 고려 태조의 통치이념과 통치이념과 유교
3) 성종의 문화정책과 崔承老의 時務論
*고려 후기의 유학
1) 고려 말의 사회상과 학풍의 변천
2) 주자학의 전래와 안향
3) 여말 유학자의 儒彿觀
4) 여말 성리학파의 양대 조류
3. 조선시대와 현대의 유학
*조선 전기의 유학
1) 조선 전기 유학의 간관
2) 세종시대 문화와 유학사상
3) 조선시대 도학사상
4) 성리학의 융성과 퇴계.율곡
5) 壬丙兩亂과 의리사상
*조선 후기의 유학
1) 조선 후기 유학의 개관
2) 양명학의 전래와 그 이해
3) 실학사상의 대두와 사회적 영향
4) 西學의 전래와 그 영향
5) 조선 말기의 정세와 자주정신
*현대의 유학
1) 항일투쟁과 유교정신
2) 광복이후의 유교
3) 유교의 교화 활동과 과제
4) 성균관 향교의 조직 및 활동
5) 성균관대학교의 전통과 사명
맺음: 한국 유학사상의 특성과 미래적 전망
찾아보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현대인은 과학의 세계에서 생활하고 있는 만큼 과학적 사고를 강조한다. 이지적인 인간 혹은 지성인을 현대의 인간상으로 여기는 나머지 정서적 인간과 교양을 소홀하게 생각하는 경향이 없지 않다.
그러나 유교에서는 지성과 더불어 덕성을 더욱 중시하여 전인성全人性을 강조하므로 그 용어에서도 이성이나 감성이라기보다는 ‘성리性理’, ‘성정性情’이라는 말을 쓴다. 이것은 인간이 본원에서 분열하지 않은, 종합된 인간상을 강조한 것이다. 즉, 편벽된 인간과 불균형의 사회가 아니라 원만하고 균형이 있는 인간, 더 나아가 그런 사회를 지향한다(본문 17쪽).
...손損하고 익益하는 것은 시대의 변천에 따르는 것이다. 그러나 어느 시대이든 손익할 수 없는 것이 있으니 그것은 바로 인간의 본성이다(吾道一以貫之). 바로 이 변하는 것과 변하지 않는 것의 변증법적 구조를 역사적으로 실현해가는 것이다. 이것은 단순한 원칙을 고집하는 규범주의가 아니라, 현실의 상황을 통찰하고 이에 알맞게 처리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대응하는 것을 말한다(본문 18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