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한국유학사

한국유학사

류승국 (지은이)
성균관대학교출판부
1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알라딘 직접배송 1개 11,100원 >
알라딘 판매자 배송 14개 8,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한국유학사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한국유학사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철학
· ISBN : 9788979867862
· 쪽수 : 332쪽
· 출판일 : 2009-02-28

책 소개

구순(九旬)을 바라보는 한 노(老)학자가 한국 유학의 본류를 한 호흡으로 조명한다. 이 책은 먼저 한국유학의 본질과 특성이 인간을 중시하는 점에 있고, 또 이러한 사고가 군자국(君子國)으로부터 내려오는 우리의 전통이었음을 밝힌다.

목차

自序
머리말

1. 고대의 유학
*君子國의 전통과 한국유학의 본질
*삼국시대의 유학
1) 삼국시대 유학의 개관
2) 고구려의 유학
3) 백제의 유학
4) 신라시대의 유학

*통일신라시대의 유학
1) 문무왕의 정치이념에 나타난 輔國安民思想
2) 신라의 교육사상과 국학의 건립
3) 통일 이후의 田制改革과 유학사상
4) 당대 문화의 수입과 입당 유학생
5) 신라 말기 학술사상의 변천과 도참설
6) 신라의 유학자상

2. 고려시대의 유학
*고려 전기의 유학
1) 고려 전기 유학의 개관
2) 고려 태조의 통치이념과 통치이념과 유교
3) 성종의 문화정책과 崔承老의 時務論

*고려 후기의 유학
1) 고려 말의 사회상과 학풍의 변천
2) 주자학의 전래와 안향
3) 여말 유학자의 儒彿觀
4) 여말 성리학파의 양대 조류

3. 조선시대와 현대의 유학

*조선 전기의 유학
1) 조선 전기 유학의 간관
2) 세종시대 문화와 유학사상
3) 조선시대 도학사상
4) 성리학의 융성과 퇴계.율곡
5) 壬丙兩亂과 의리사상

*조선 후기의 유학
1) 조선 후기 유학의 개관
2) 양명학의 전래와 그 이해
3) 실학사상의 대두와 사회적 영향
4) 西學의 전래와 그 영향
5) 조선 말기의 정세와 자주정신

*현대의 유학
1) 항일투쟁과 유교정신
2) 광복이후의 유교
3) 유교의 교화 활동과 과제
4) 성균관 향교의 조직 및 활동
5) 성균관대학교의 전통과 사명

맺음: 한국 유학사상의 특성과 미래적 전망
찾아보기

저자소개

류승국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23년 충청북도 청원에서 태어나, 1952년 성균관대학교 문학부 동양철학과를 졸업하고 1956년 동 대학교 대학원 동양철학과를 수료하였다. 이후 서울대학교 대학원 철학과와 동국대학교 대학원 불교학과를 이수하였고, 1975년 성균관대학교 대학원에서 철학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1958년 충남대학교 전임강사로 있다가 1960년 성균관대학교 동양철학과 교수로 옮겨 1988년 정년퇴임 때까지 재직하였다. 그 사이 성균관대학교 유학대학장, 도서관장 겸 박물관장 등 보직을 겸임했으며, 대한민국학술원 정회원에 추대되고 1983년부터 3년간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원장을 지냈다. 정년퇴임 이후에는 방송위원회 상임위원, 경희대학교 평화복지대학원 원장, 재단법인 동방문화연구원 대표이사, 율곡문화원 원장 등으로 활동하였다. 동서철학을 두루 겸섭한 저자는 갑골학과 금석학에 대한 연찬을 바탕으로 한국과 중국의 고전, 고문헌을 탐구하여 한국철학사상의 정립에 주력하였고, 평화와 상생相生과 통일, 그리고 유교의 인도주의를 화두로 수많은 논저를 남겼다. 특히 1960년대 초부터 관심을 가지고 탐구해온 갑골학 연구와 광개토왕비 등 금석학에 대한 연찬은 한국사상의 원형을 밝히고 그 의의를 세계에 천명하는 데 지대한 공을 세운 것이라 할 수 있다. 저서로 <한국민족사상사 대계 개설편>(공저), <동양철학논고>, <한국의 유교>, <유학원론>(공저), <동양철학연구>, <한국사상과 현대> 등이 있고, 역서로 <벽위편闢衛篇> 등이 있다. 그의 저술은 중국에서 <韓國儒學史>, <韓國儒學與 現代精神>으로 번역 출간되기도 하였다.
펼치기

책속에서

...현대인은 과학의 세계에서 생활하고 있는 만큼 과학적 사고를 강조한다. 이지적인 인간 혹은 지성인을 현대의 인간상으로 여기는 나머지 정서적 인간과 교양을 소홀하게 생각하는 경향이 없지 않다.
그러나 유교에서는 지성과 더불어 덕성을 더욱 중시하여 전인성全人性을 강조하므로 그 용어에서도 이성이나 감성이라기보다는 ‘성리性理’, ‘성정性情’이라는 말을 쓴다. 이것은 인간이 본원에서 분열하지 않은, 종합된 인간상을 강조한 것이다. 즉, 편벽된 인간과 불균형의 사회가 아니라 원만하고 균형이 있는 인간, 더 나아가 그런 사회를 지향한다(본문 17쪽).

...손損하고 익益하는 것은 시대의 변천에 따르는 것이다. 그러나 어느 시대이든 손익할 수 없는 것이 있으니 그것은 바로 인간의 본성이다(吾道一以貫之). 바로 이 변하는 것과 변하지 않는 것의 변증법적 구조를 역사적으로 실현해가는 것이다. 이것은 단순한 원칙을 고집하는 규범주의가 아니라, 현실의 상황을 통찰하고 이에 알맞게 처리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대응하는 것을 말한다(본문 18쪽).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