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삶의 신학 콜로키움 (생로병사 관혼상제)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88985155229
· 쪽수 : 206쪽
· 출판일 : 2007-06-27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88985155229
· 쪽수 : 206쪽
· 출판일 : 2007-06-27
책 소개
대화문화아카데미가 마련한 삶의 신학 콜로키움에서 발제한 내용들을 모은 발제모음집. 신학이 사변화, 추상화되어 간다는 문제를 의식하고, 정체된 신학에 대해 되묻고 살아 있는 현실을 바탕으로 신학을 재구성하고자한 발제자들의 노력이 돋보인다.
목차
첫째 마당|관혼상제를 통해서 본 삶의 철학
둘째 마당|출생의 신비 - 인간 탄생의 종교적 의미
구약의 출생과 한국 문화
성과 성, 출생의 신학적 의미를 모색하다
토론 기록
셋째 마당|결혼, 그것이 무엇인가 - 결혼의 재의미화
결혼: 삶의 정체성의 기반으로서
'그런' 가족은 없다: 살림 가족의 탄생을 위한 생태여성신학적 제언
토론 기록
넷째 마당|나이 듦과 인간의 성숙이란
여성주의 관점에서 본 나이 듦
토론 기록
다섯째 마당|죽음에 관한 두 가지 이야기
죽음을 주제로 한 대화
삶의 신학의 한 주제로서의 죽음, 죽음에 대한 종교다원적 성찰
토론 기록
저자소개
책속에서
예수는 남자와 여자, 주인과 노예, 유대인과 헬라인, 정결한 사람과 부정한 사람을 밥상공동체로 불러 모았다. 하나님 나라 운동에 동참한 사람들은 예수 안에서 새로운 친족 관계를 형성하였다. 이렇게 해서 세워진 새 가족은 기존의 가족 체제에 대항하는 반문화적 특징을 띠었다.-p118 중에서
오늘날 세속화와 몸 담론의 시대에 우리는 더 이상 고대의 신조적 케리그마에 의해서 지탱되는 기독교를 받아들일 수 없다. 그 신조가 아무리 부정해도 결국에는 거기서 예수는 단지 그의 출생, 수난, 부활에서 "하느님의 계획에 사로잡힌 인질"이 되고, 수동적 역할을 할 따름으로 이해되기 때문이다.-p180 중에서
추천도서
분야의 베스트셀러 >
분야의 신간도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