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사상가/인문학자
· ISBN : 9788979869750
· 쪽수 : 390쪽
· 출판일 : 2013-05-31
책 소개
목차
책머리에
전환기의 이론
서문
제1부 사회과학편
제1장 ‘이데올로기’의 역사적 규정
1. 과학비판의 출발점
2. 맑스 이전의 ‘이데올로기’론
3. 맑스·엥겔스의 ‘이데올로기’론
4. ‘이데올로기’로서의 부르조아 과학
제2장 정세파악과 과학
1. 정세파악의 방법
2. ‘지금·이곳’의 배경
3. ‘지금·이곳’의 현실
4. 우리의 나아갈 길
5. 투쟁 속의 과학
6. 과학의 승리
제3장 민족이론의 3형태
1. 부르조아 학자의 이론
2. 사회민주주의의 이론
3. 맑스주의자의 이론
제4장 현하의 과학정세와 과학자의 임무
1. 증오의 정신과 진리
2. 일제하의 과학운동
3. 8·15 이후의 과학정세
4. ‘과맹(科盟)’ 결성과 과학의 방향
5. 과학운동의 기본과제
6. 과학자의 임무
제5장 ‘히틀러’ 집정(執政) 직전의 독일과 ‘고리키’의 연대책임론
1. 나치스를 환영하는 주식시장
2. 횡령된 이십억 마르크(馬克)
3. 부양료 삭감과 보안관의 증원
4. ‘막심 고리키’의 편지와 연대책임론
제2부 교육문제편
제1장 문화창조와 교육
1. 인간의 독창성의 개발
2. 진정한 지육(智育) 존중
3. ‘정치적 인간’론의 인민적 양기(揚棄)
4. ‘산파법(産婆法)’과 지덕합일
제2장 자치 훈련과 교육의 근본의(根本義)
1. 역사적 회고
2. 자치와 훈련의 의미
3. 교육 작용의 원리
제3장 조선 교육 건설 상의 제문제
1. 기본방향의 규정
2. 일제 노예 교육의 실황
3. 기본 방향의 구체적 전개
4. 교육 건설의 당면 과제
부1. 국립대학교와 교육의 위기
부2. 학생 불상사와 그 대책
제4장 민족문화론
1. 민족문화건설의 의의
2. 민주문화와 민족문화
3. 민족문화 건설의 방향
제3부 휴머니즘론
제1장 전환기의 인간
1. ‘르네상스’와 인간
2. 역사적 ‘인간’의 형태
3. 세 개의 인간 유형
4. 고민하는 인간
제2장 민주주의와 휴머니즘
1. 이론 조직의 원리
2. 당면한 혁명 계단(階段)의 규정
3. 민주주의와 현계단
4. 휴머니즘과 그 현계단적 의의
5. 긴박한 제문제
제3장 문학과 정치
1. 문학의 본질
2. 시간론에서 본 문학과 정치
3. 문학의 이면(二面)
4. 문학의 정치성
5. 문학의 선구성
제4장 지도자론
1. 과학과 시의 통일
2. 고민자의 확호한 분노
3. 축복받는 위대한 고민자
4. 폭풍속의 고민적 창조4
부록
1. ‘스탈린’과 ‘웰스’의 대화
애국심
신간평-<사상과 현실>
학문과 정치
남조선에 대한 미제의 반동적 사상의 침식
실용주의 철학은 미제 침략의 사상적 도구
연암 박지원의 철학 사상
신남철 저술 목록
인명색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