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철학 일반 > 교양 철학
· ISBN : 9788956441085
· 쪽수 : 304쪽
· 출판일 : 2010-05-27
책 소개
목차
서문
제1장 역사철학의 기초론 ― 인식과 신체
제1절. 안다[知]는 것의 인식론적 의미
제2절. 리케르트의 인식론에 대한 비판
제3절. 육체에 의한 대상의 받아들임
제4절. 오성(悟性)에 의한 대상 모사(模寫)의 운동과 발전
제5절. 신체의 변증법
제6절. 역사 파악의 단서
제2장 역사의 발전과 개인의 실천
제1절. 《정신현상학》의 의의
제2절. 발전의 개념과 노동적 시간
제3절. 세계사적 개인과 희생
제4절. 희생의 엄숙성과 집단
제5절. 죽음[死]에 의한 삶[生]의 전환
제6절. 신문화 창조와 헤겔
제3장 그리스인의 세계관 투쟁과 ‘소크라테스’
제1절. 세계관의 의미
제2절. 호메로스적=헤시오도스적 사회
제3절. 헤라클레이토스적=크세노파네스적 사회
제4절. 소피스트적 사회 ― 세계관 투쟁의 최초의 희생으로서의 소크라테스의 옥사(獄死)
제4장 ‘르네상스’와 ‘휴머니즘’
제1절. 근대 철학사 연구의 방법
제2절. 근대사상 발생의 지반
제3절. ‘르네상스’와 ‘휴머니즘’
제4절. ‘르네상스’와 문학
제5장 헤겔 백년제(百年祭)와 ‘헤겔 부흥’
제1절. 헤겔에 대한 관심의 앙양(昻揚)
제2절. 헤겔연맹과 헤겔회의
제3절. 헤겔 부흥의 의의
제4절. 헤겔 부흥의 철학사적 과제
제5절. 삶[生]철학에 있어서의 헤겔 부흥
제6장 신헤겔주의와 그 비판
제1절. 헤겔학파의 분열과 그 후의 상태
제2절. 신헤겔주의 대두의 사회적 근거와 ‘파시즘’
제7장 실존철학의 역사적 의의
제1절. 현대철학의 과제
제2절. 새로운 형이상학의 설계
제3절. 인간 위기의 철학으로서의 실존철학
제4절. 하이데거 철학의 성격
제5절. 실존철학의 세 가지 과제
부록 ― 헤라클레이토스의 단편어(斷片語)
본서에서 인용된 주요 참고문헌
《역사철학》해제
신남철 연보
신남철 저작
찾아보기
책속에서
소크라테스는 플라톤도 말한 바와 같이 소피스테스와 근본적인 차이는 없고 동일한 사회적 지반에서 고매한 정신과 슬기로운 철학으로의 정열로써 진리와 덕과 준법을 교시하였다. 그러나 자산과 권력을 가지고 있는 자들은 소피스테스를 과격론자로 위험시했기 때문에 그 정신적 지주가 되어 있는 소크라테스를 벌한 것은 능히 생각할 수 있는 일이다. 숭고한 정신의 열화가 불붙은 당당한 변명으로써 법정에 가득찬 배심원들에게 부정 불의에 대해서 어디까지나 투쟁을 계속할 것을 선언하였을 때 부유한 귀족 계급은 소크라테스를 사형하는 것은 물론 만일 그것이 가능하다고 하면 철학 그 자체까지도 사형시키고 싶었던 것이다.
(p. 116. 제3장 〈그리스인의 세계관 투쟁과 소크라테스〉에서)
우선 인간으로서 자유로운 사상 감정의 소유자로서 해방되어야겠다고 하는 이른바 삶의 감정은 어떤 하나의 이데올로기에 의하여 압박되고 또 조절되기에는 너무도 강력하였고 풍부하였으며 또 근본적이며 급진적이었다. 그리하여 르네상스 시대의 휴머니즘이 어떤 독특한 사상 체계를 가지고 있기에는 너무도 그 범위 내용이 넓어서 자칫하면 그 특징을 포착하기에 곤란을 느끼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고 생각한다. 너무도 지독하게 받았던 통제 압박에 대한 반항이 정신적 면에서 이와 같은 해방 즉 신앙의 해방, 양심의 해방, 지식의 해방으로서 표면화되었다. 창작과 지식의 자유와 해방을 확립하기 위하여 나타났던 휴머니즘의 정신이 양심과 신앙의 자유와 해방을 확립하기 위하여 종교개혁으로서 나타났다고 볼 수 있으며, 이 종교개혁의 모든 이론과 내용은 이 시대의 사회적 해방투쟁의 사상적, 철학적 표현이었다.
(pp. 143-144. 제4장 〈‘르네상스’와 ‘휴머니즘’〉에서)
35. 愛知者가 되려면 많은 사물에 통달하지 않으면 안 된다.
(p. 240. 부록 〈헤라클레토이토스의 단편어〉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