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가톨릭 > 가톨릭 신앙생활
· ISBN : 9788980153497
· 쪽수 : 92쪽
· 출판일 : 1999-08-30
목차
도입 = 9
제1장 하느님으로부터 오는 사명
1. 사명에 있어서 그리스도교의 독점을 거부함 = 15
2. '모상과 유사성'이 되는 사명: 그리스도처럼 됨(그리스도화) = 17
창조의 사명과 하느님 나라의 직무들 = 19
3. 십자가의 표징 아래서의 사명 = 21
1) 위협과 희망의 문턱에서 = 21
2) 갈등 속에서 사명: 출애굽 = 22
4. 계약 공동체에서 사명의 모델 = 26
1) 독자성과 연관성 사이에서: 이스라엘의 체험 = 26
2) 신약 공동체 사명의 모델 = 27
3) 기초적이고 공통된 측면들 = 28
5. 사명의 역사적, 교회적 모델 = 31
1) 모델들 = 31
2) 모델과 직무의 다수성, 사명의 단일성 = 34
6. 현재의 역사적 상황 안에서 교회의 사명 = 36
7. 사명의 관점에서의 축성생활 = 40
제2장 교회의 근본 사명 안에서의 축성생활
1. 교회 안에서의 생활 형태들: 정체성에 대한 의문 = 45
2. '신자들 전체(universitas fidelium)'의 근본적 사명 = 48
1) 현상의 종교적-인간학적 토대 = 48
2) 사명에서의 근본적이고 일반적인 정체성 = 49
3) 다가오는 대개혁 = 51
제3장 사명에서 '상호 관계(Mutua Relatio)'에 있는 성직자들과 평신도들
1. 성직자들 = 55
1) 축성생활에서의 성직자 = 55
2) 그리스도교 및 수도 공동체의 성직자 = 57
2. 성직자들과의 '상호 관계' 속에서 '평신도 그리스도인(Christifideles Laici)'의 특수 사명 = 61
1) 외부 지향적인 사명에서의 평신도 = 61
2) 내적인 사명에서의 평신도 = 62
3) 사명에서 목자들과 함께 = 63
4) 사명에서의 '축성된 평신도 그리스도인(Christifideles Laici Consecrati)' = 64
제4장 사명에서 '상호 관계'에 잇는 '축성된 그리스도인'과 '재속 그리스도인'
1. 축성생활의 특성인 '경계성(Liminality)' = 69
2. 카리스마적인 기원과 정체성 = 72
생활 형태들의 정체성을 규정하는 데에서 불균형 = 74
3. '재속 평신도 그리스도인(Christifideles Laici Saeculares)' = 76
1) '전적인 세속성' = 76
2) '한정된' 세속성 또는 '축성된 그리스도인' = 79
4. 하느님 백성 안에서의 실존적 비유 = 81
'축성된 평신도 그리스도인'의 고유한 사명 = 83
결론 = 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