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생성의 도와 선

생성의 도와 선

심재원 (옮긴이)
정우서적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생성의 도와 선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생성의 도와 선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도가철학/노장철학 > 도가철학 일반
· ISBN : 9788980231843
· 쪽수 : 349쪽
· 출판일 : 2012-11-29

책 소개

자의적인 해석이 다양하게 판을 치고 있는 ‘노자’와 ‘장자’를 선사상적 눈으로 읽다. 한문을 좀 안다는 자신감만으로 노자와 장자를 번역할 수 있을까.

목차

책으로 펴내며 / 3, 감산저서 약어표 / 12
Ⅰ. 들어가는 말 _ 13
Ⅱ. 생성(生成)과 체용(體用) _ 29
1. 생성 _ 29
1) 생성자와 생성의 구별 _ 29
2) 생성자적 범주와 생성적 범주 _ 35
3) 생성자의 생성 단계 _ 38
4) 생성과 도(道) _ 42
(1) “道生之” 해석 _ 42, (2) 도 해석에 대한 유형들 _ 45
(3) 생성으로서 도 _ 52
2. 체용 _ 60
1) 두 가지 체용구조 _ 60
2) 도의 체용 _ 62
(1) 도의 체: 허(虛)와 공(空) _ 62, (2) 도의 용: 생성과 덕(德) _ 73
(3) 체와 용의 관계 _ 87
3. 마음의 체용 _ 90

Ⅲ. 함 없음[無爲]과 마음 없음[無心] _ 99
1. 함 없음의 의미 및 생성과의 관계 _ 100
1) 함 없음을 이해하기 위한 ‘허’에 대한 예비분석 _ 100
(1) 허의 공간 _ 100, (2) 허의 쓰임: 쓰임 없음[無用]의 의미 _ 107
2) 함 없음과 도의 체용 _ 116
(1) 도의 체인 허와 함 없음 _ 116, (2) 도의 용인 덕과 함 없음 _ 125
3) 생성과 함 없음 _ 133
2. 마음 없음과 마음의 허의 본유성 _ 140
1) ‘함 없음’을 ‘마음 없음’으로 해석함 _ 140
2) 마음의 허의 본유성 _ 143
3) 마음 없음의 수행론 _ 146
(1) 장자의 좌망법(坐忘法) _ 146, (2) 감산 무심론의 성향 _ 159
(3) 불교의 지관법(止觀法) _ 168
① 감산 수행론의 성향 _ 168 ② 장자의 수행론에 대한 감산의 지관법적 해석 _ 173
③ 호자(壺子)설화에 대한 지관법적 해석 _ 180

Ⅳ. 마음 없음과 생성 _ 189
1. 마음의 공간의 쓰임[用]과 그 쓰임의 두 형식 _ 190
1) 마음의 공간의 쓰임 _ 190, 2) 마음의 허의 쓰임 _ 199
3) 마음 쓰임의 두 형식: 무대(無待)와 대대(對待) _ 205
2. 마음 없음과 마음의 허의 쓰임 _ 209
1) 마음 없음과 마음의 생성과 조파(照破) _ 209
(1) 천연스러움에 비춤[照之於天]과 진시(眞是) _ 209 (2) 조파와 도추(道樞)와 밝음[明] _ 215
2) 대각(大覺)과 대몽(大夢) _ 228
3. 마음 없음과 마음의 통(通)과 생성 _ 234
1) 마음의 허의 쓰임과 통 _ 234, 2) 마음 비움의 통과 생성 _ 240
4. 진인(眞人)의 참된 앎[眞知] _ 243

Ⅴ. 자기 없음[無己]의 체용과 생성 _ 251
1. 자기 없음의 체 _ 253
1) 진재(眞宰)로서 진체(眞體) _ 253
(1) 자기 없음의 체로서 진체와 그 본유성 _ 253, (2) 자아의 여러 모습들과 진재 _ 260
2) 자기 없음의 체득 _ 267
(1) 자기 없음의 의미 _ 267, (2) ??장자?? 안에서 자아 잊음[忘我]의 의미 _ 272
(3) 자기 없음의 체득 단계 _ 277
2. 자기 없음의 용과 덕 _ 284
1) 자기 없음의 용과 생성 _ 284
2) 덕과 자기 없음 _ 289
(1) 얻음으로서 덕 _ 289, (2) 허로서 덕 _ 294
(3) 자기 없음과 덕: 욕망, 명(命) _ 300
① 소박으로서 덕과 욕망 _ 300, ② 명(命)으로서 덕과 자기 없음 _ 304
Ⅵ. 나가는 말 _ 309

참고문헌 / 321, 감산연보 / 331, 찾아보기 / 345

저자소개

심재원 (옮긴이)    정보 더보기
1964년 서울에서 태어났다. 본명은 심재권(沈載權), 호는 청연(靑衍), 별명은 오담(悟潭). 연세대에서 「老莊의 道에 대한 ?山德淸의 無心論的 解釋(2008)」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연세대 강사와 연세대 철학연구소 전문연구위원으로 있으면서 도가철학, 선사상, 비교철학, 스포츠철학 분야에 대한 연구와 번역 일을 하고 있다. 그리고 축구전문가이기도 하다. 저서로 「노자, 그 선의 향기」와 논문으로 「莊子의 至人無己論에 대한 無心論的 해석(?山德淸의 사상을 중심으로)」, 「노자의 도에 대한 김경탁의 생성철학적 해석」, 「莊子의 氣論과 스포츠 행위」, 「노장의 도와 몸 기술의 생성」 등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