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도가철학/노장철학 > 도가철학 일반
· ISBN : 9788980231843
· 쪽수 : 349쪽
· 출판일 : 2012-11-29
책 소개
목차
책으로 펴내며 / 3, 감산저서 약어표 / 12
Ⅰ. 들어가는 말 _ 13
Ⅱ. 생성(生成)과 체용(體用) _ 29
1. 생성 _ 29
1) 생성자와 생성의 구별 _ 29
2) 생성자적 범주와 생성적 범주 _ 35
3) 생성자의 생성 단계 _ 38
4) 생성과 도(道) _ 42
(1) “道生之” 해석 _ 42, (2) 도 해석에 대한 유형들 _ 45
(3) 생성으로서 도 _ 52
2. 체용 _ 60
1) 두 가지 체용구조 _ 60
2) 도의 체용 _ 62
(1) 도의 체: 허(虛)와 공(空) _ 62, (2) 도의 용: 생성과 덕(德) _ 73
(3) 체와 용의 관계 _ 87
3. 마음의 체용 _ 90
Ⅲ. 함 없음[無爲]과 마음 없음[無心] _ 99
1. 함 없음의 의미 및 생성과의 관계 _ 100
1) 함 없음을 이해하기 위한 ‘허’에 대한 예비분석 _ 100
(1) 허의 공간 _ 100, (2) 허의 쓰임: 쓰임 없음[無用]의 의미 _ 107
2) 함 없음과 도의 체용 _ 116
(1) 도의 체인 허와 함 없음 _ 116, (2) 도의 용인 덕과 함 없음 _ 125
3) 생성과 함 없음 _ 133
2. 마음 없음과 마음의 허의 본유성 _ 140
1) ‘함 없음’을 ‘마음 없음’으로 해석함 _ 140
2) 마음의 허의 본유성 _ 143
3) 마음 없음의 수행론 _ 146
(1) 장자의 좌망법(坐忘法) _ 146, (2) 감산 무심론의 성향 _ 159
(3) 불교의 지관법(止觀法) _ 168
① 감산 수행론의 성향 _ 168 ② 장자의 수행론에 대한 감산의 지관법적 해석 _ 173
③ 호자(壺子)설화에 대한 지관법적 해석 _ 180
Ⅳ. 마음 없음과 생성 _ 189
1. 마음의 공간의 쓰임[用]과 그 쓰임의 두 형식 _ 190
1) 마음의 공간의 쓰임 _ 190, 2) 마음의 허의 쓰임 _ 199
3) 마음 쓰임의 두 형식: 무대(無待)와 대대(對待) _ 205
2. 마음 없음과 마음의 허의 쓰임 _ 209
1) 마음 없음과 마음의 생성과 조파(照破) _ 209
(1) 천연스러움에 비춤[照之於天]과 진시(眞是) _ 209 (2) 조파와 도추(道樞)와 밝음[明] _ 215
2) 대각(大覺)과 대몽(大夢) _ 228
3. 마음 없음과 마음의 통(通)과 생성 _ 234
1) 마음의 허의 쓰임과 통 _ 234, 2) 마음 비움의 통과 생성 _ 240
4. 진인(眞人)의 참된 앎[眞知] _ 243
Ⅴ. 자기 없음[無己]의 체용과 생성 _ 251
1. 자기 없음의 체 _ 253
1) 진재(眞宰)로서 진체(眞體) _ 253
(1) 자기 없음의 체로서 진체와 그 본유성 _ 253, (2) 자아의 여러 모습들과 진재 _ 260
2) 자기 없음의 체득 _ 267
(1) 자기 없음의 의미 _ 267, (2) ??장자?? 안에서 자아 잊음[忘我]의 의미 _ 272
(3) 자기 없음의 체득 단계 _ 277
2. 자기 없음의 용과 덕 _ 284
1) 자기 없음의 용과 생성 _ 284
2) 덕과 자기 없음 _ 289
(1) 얻음으로서 덕 _ 289, (2) 허로서 덕 _ 294
(3) 자기 없음과 덕: 욕망, 명(命) _ 300
① 소박으로서 덕과 욕망 _ 300, ② 명(命)으로서 덕과 자기 없음 _ 304
Ⅵ. 나가는 말 _ 309
참고문헌 / 321, 감산연보 / 331, 찾아보기 / 3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