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노자 도덕경, 그 선의 향기

노자 도덕경, 그 선의 향기

노자 (지은이), 심재원 (옮긴이), 감산덕청
정우서적
1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노자 도덕경, 그 선의 향기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노자 도덕경, 그 선의 향기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도가철학/노장철학 > 노자철학
· ISBN : 9788980231645
· 쪽수 : 540쪽
· 출판일 : 2010-12-29

책 소개

중국 명나라의 선사인 감산덕청 대사의 도덕경 주석을 번역하고 역주를 단 책. 감산주의 도덕경은 오래전에 국내에 번역되어 출간되었으나 주석 원문이 없고, 번역이 매끄럽지 않다는 한계점이 있었다. 노장철학을 전공한 역자는 번역의 오류를 바로잡고 누구나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알기 쉬운 우리말로 주석을 옮겼다.

목차

옮긴이 서문
해제
일러두기
노자도덕경해
노자도덕경해 상편
1장~37장
노자도덕경해 하편
38장~81장
감산덕청 연보
찾아보기

저자소개

노자 (지은이)    정보 더보기
중국 춘추시대에 도가사상(道家思想)을 창시한 철학자이다. 성은 이(李), 이름은 이(耳), 자는 담(聃)이다. 노자의 생몰연대는 정확히 알려지지 않지만 사마천의 『사기』 중 「노자열전」에 따르면, 기원전 6세기경에 초나라의 고현에서 태어난 것으로 추정된다. 그는 춘추시대 말기에 주나라의 장서실(藏書室, 오늘날의 국립도서관)을 관리하던 수장실사(守藏室史)로 활동했다. 일설에 의하면, 공자가 젊었을 때 노자를 찾아가 예(禮)에 관한 가르침을 받았다고도 한다. 주나라가 쇠퇴하자 노자는 은둔하기로 결심하고 서방(西方)으로 떠나는 도중에 관문지기를 만났다. 관문지기의 요청으로 ‘도(道)’ 자로 시작되는 ‘도경(道經)’과 ‘덕(德)’ 자로 시작하는 ‘덕경(德經)’의 2권으로 구성된 책을 집필했다. 그 책이 바로 『도덕경(道德經)』이다. 81편의 짧은 글로 이루어진 이 책은, 진정한 자기를 완성하는 도(道)와 그것을 이루어가는 인간의 태도인 덕(德)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노자의 『도덕경』은 “인위적으로 무언가를 이루려 하지 않고(無爲), 자기에게 주어진 대로 자연스럽게 행해야 한다(自然)”는 무위자연(無爲自然)을 바탕으로 도가사상을 처음 주장했다. 겉치레를 중시하고 물질만능주의에 빠진 현대문명사회를 비판하고, 약육강식의 세상에 지친 현대인들에게 마음의 위안이 되는 책이다. 이 책은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인류의 영원한 고전이 되었으며, 종교와 문학, 회화, 정치, 경영 등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마오쩌둥, 톨스토이, 헤겔, 하이데거, 니체, 프로이트, 빌 게이츠, 마윈 등이 이 책을 읽고 영감을 받았다.
펼치기
심재원 (옮긴이)    정보 더보기
1964년 서울에서 태어났다. 본명은 심재권(沈載權), 호는 청연(靑衍), 별명은 오담(悟潭). 연세대에서 「老莊의 道에 대한 ?山德淸의 無心論的 解釋(2008)」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연세대 강사와 연세대 철학연구소 전문연구위원으로 있으면서 도가철학, 선사상, 비교철학, 스포츠철학 분야에 대한 연구와 번역 일을 하고 있다. 그리고 축구전문가이기도 하다. 저서로 「노자, 그 선의 향기」와 논문으로 「莊子의 至人無己論에 대한 無心論的 해석(?山德淸의 사상을 중심으로)」, 「노자의 도에 대한 김경탁의 생성철학적 해석」, 「莊子의 氣論과 스포츠 행위」, 「노장의 도와 몸 기술의 생성」 등이 있다.
펼치기
감산덕청 (지은이)    정보 더보기
명나라 때의 고승. 12세에 절에 들어가서 공부하다가 19세에 출가했다. 오대산, 뇌산(牢山)에서 오래 수행하고 법을 폈으며, 선(禪)과 염불 수행을 함께 가르쳤다. 1581년 오대산에서 무차대회를 열었고, 50세 때는 뇌산에서의 사찰 불사와 관련하여 황제의 미움을 사 광동성 뇌주로 귀양 가서 오랜 유배 생활을 했다. 유배 도중 1600년 조계(曹溪) 남화사로 가서 이곳에 머무르며 남화사를 복원하고 선을 부흥시켰다. 1616년 여산(廬山) 오유봉에 법운선사를 건립하여 주석하다가 1622년 남화사로 돌아가서 이듬해 입적했다. 《법화경통의》・《화엄경강요》를 비롯한 불경 주석서들 외에도 《노자도덕경해》・《대학강목결의》 등 도교와 유교 경전 주석서, 수많은 시문・탑명・법어 등을 남겼고, 제자들이 편집한 《감산노인몽유집》 55권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