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세계문학론 > 기타 세계문학론
· ISBN : 9788980385386
· 쪽수 : 449쪽
· 출판일 : 2005-05-25
목차
서문 = 9
제Ⅰ부 말로 문학의 배경
제1장 근대의 '지적 하부 구조' = 15
1. 신과 인간의 죽음 - 역사 = 16
2. 천상에서 지상으로 - 이성, 장, 개인 = 19
3. 이성의 환상 = 24
제2장 죽음과 허무 = 27
1. 소멸의 숙명 = 27
2. 타나토스의 그림자 = 29
제3장 동양 : '정신의 다른 극점' -〈서양의 유혹〉= 22
1. 맥락 = 33
2. 유혹의 정복 = 36
3. 불연속성의 모색과 소설의 전단계 = 42
제Ⅱ부 새로운 소설미학
제1장 불연속성의 미학과 코드화 = 49
1. 문제 의식 = 49
2. 불연속성과 현대성 = 53
제2장 소설의 상징시학 = 57
1. 새로운 '담론성'의 창시자, 말라르메 = 57
2. 상징시학의 원리와 비평과의 거리 = 61
3. 기법 = 64
제Ⅲ부 동양의 3부작
제1장〈정복자〉와 노장 사상 = 71
1. 연구 동향 = 71
2. 불연속성의 창조 = 71
3. 암시와 환기의 변형 : 두 개의 개층적 중국 사상 = 78
1) 언어 = 79
2) 정보의 출처와 수렴점 - 유교의 정복 = 82
3) 〈서양의 유혹〉과 암시로서 상호 텍스트 - 노장 사상의 정복 = 85
맺음말 = 103
제2장〈왕도〉와 불교 = 107
1. 접근 = 107
2. 소설의 상징시학 창조 = 108
1) 불연속성 = 110
2) 환기와 공간의 연출 = 116
3) 암시, 상징, 유추 : 불교의 세계의 윤곽 = 118
3. 상징 체계와 유추적 구조 = 127
1) 상징 체계 = 127
2) 상징적 구조와 유추적 접근 = 129
맺음말 = 135
제3장〈인간의 조건〉과 불교 - 노장 사상 = 139
1. 읽기 방향과 문제 = 139
2. 상징시학의 정교화 : 하나의 전범 = 144
1) 불연속성 = 144
2) 환기와 상징 : 작품의 통일성 - 불교와 노장 사상 = 149
3) 암시와 상징 : 차이와 동일성 = 154
4) 상징 체계와 구조 = 181
3. 상징시학의 변모 = 186
맺음말 = 189
제Ⅳ부 서양의 3부작
제1장〈모멸의 시대〉와 그리스 신화 = 195
1. 접근 = 195
2. 불연속성과 코드화 = 198
3. 환기ㆍ암시ㆍ상징의 그물 : 프로메테우스 신화 = 203
1)서방 기독교와 동방 정교 사이에서 : 제우스와 프로메테우스 = 203
2) 신화의 다른 암시적ㆍ환기적 요소들 = 213
3) 신화의 삼중 구조에서 투쟁의 차원 = 218
4) 되찾은 대지 = 224
4. '졸작'의 자평과 상징시학 = 230
맺음말 = 235
제2장〈희망〉과 기독교 = 239
1. 몽타주의 문제 = 239
2. 담화 차원의 불연속성 = 242
3. 암시 및 환기의 배치와 구도 = 245
1) 묵시록의 욕망 = 245
2) '묵시록의 실천'과 대응 = 253
3) 부활과 교회 재탄생의 서광 = 261
4) 내부 결속과 박해에의 저항 = 267
5) 공화국 군대의 창설과 교회의 재탄생 = 271
4. 상징의 문제와 새로운 해석 방향 = 275
5. 시간의 서사 구조 = 277
1) 우주적 시간과 운명 = 277
2) 역사적 시간과 과거 = 281
3) 혁명의 시간과 현재 = 287
4) 미래의 지평 = 295
맺음말 = 297
제3장〈알튼부르그의 호두나무〉와 그리스 - 기독교 사상 = 299
1. 머리말 = 299
2. 다층적 불연속성과 코드화된 담화 = 303
3. 환기ㆍ암시ㆍ상징의 관계망 : 소멸과 생성의 신화적 회기점 - 고딕적 인간 = 311
1) 고딕적(고딕식, 고딕 시대의) : 환기적 '산종'의 원점 = 311
2) 종말론적 상황과 새로운 문화 사이클의 태동 = 313
3) 눈먼 지식인의 초상과 대재앙의 그림자 = 319
4) 상징적 사건과 삽입된 불연속성 = 332
5) 슈펭글러적 역사관의 극복과 고딕적 인간 = 333
6) 그리스 사상의 수용 = 338
4. 거대 환기망과 상징적 구조 : 내적 미학과 외적 미학 = 341
5. 그리스 - 기독교적 인간관 : 영속성과 변모 = 349
맺음말 = 349
결론 = 353
참고 문헌 = 361
작가 연보 = 369
색인 = 3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