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문화/문화이론 > 한국학/한국문화 > 한국문화유산
· ISBN : 9788981337469
· 쪽수 : 320쪽
· 출판일 : 2005-01-10
책 소개
목차
저자의 말
1. 한국 과학문화의 재발견
1. 의학, 배, 무기 발달의 역사
2. 천문기상 관측과 시간측정
3. 지도제작의 역사
4. 인쇄문화
2. 의학.배.무기
1. 신주무원록 ㅣ 2. 약연 ㅣ 3. 동의보감 ㅣ 4. 태산요록 ㅣ 5. 언해태산집요 ㅣ 6. 우두신설 ㅣ 7. 의방유취 ㅣ 8. 향약집성방 ㅣ 9. 울산대곡리반구대암각화 배그림 ㅣ 10. 뗏목 ㅣ 11. 완도선 ㅣ 12. 고려 동경 배 ㅣ 13. 안압지 출토 배 ㅣ 14. 거북선 ㅣ 15. 판옥선 ㅣ 16. 맹선 ㅣ 17. 병선 ㅣ 18. 사견선 ㅣ 19. 망우당 칼 ㅣ 20. 운검 ㅣ 21. 환도 ㅣ 22. 당파 ㅣ 23. 승자총통 ㅣ 24. 조총 ㅣ 25. 삼안총 ㅣ 26. 가정을묘명천자총통 ㅣ 27. 지자총통 ㅣ 28. 불랑기포 ㅣ 29. 대완구 ㅣ 30. 비격진천뢰 ㅣ 31. 화차 ㅣ 32. 융원필비 ㅣ 33. 신기비결 ㅣ 34. 화포식언해
3. 천문.기상.시간
1. 경주첨성대 ㅣ 2. 개성첨성대 ㅣ 3. 관상감관천대 ㅣ 4. 창경궁관천대 ㅣ 5. 천상열차분야지도각석 ㅣ 6. 신구법천문도 ㅣ 7. 청동제지구의 ㅣ 8. 누주통의 ㅣ 9. 칠정산 ㅣ 10. 시헌기요 ㅣ 11. 천문유초 ㅣ 12. 금영측우기 ㅣ 13. 관상감측우대 ㅣ 14. 대구선화당측우대 ㅣ 15. 창덕궁측우대 ㅣ 16. 수표 ㅣ 17. 경복궁풍기대 ㅣ 18. 창경궁풍기대 ㅣ 19. 보루각자격루 ㅣ 20. 간평일구.혼개일구 ㅣ 21. 앙부일구 ㅣ 22. 휴대용 앙부일구 ㅣ 23. 신법지평일구 ㅣ 24. 휴대용 나무해시계 ㅣ 25. 여주보통리 해시계 ㅣ 26. 혼천시계
4. 고지도
1.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 ㅣ 2. 천하총도 ㅣ 3. 곤여만국전도 ㅣ 4. 여지전도 ㅣ 5. 조선방역지도 ㅣ 6. 동람도 ㅣ 7. 동국대전도 ㅣ 8. 청구도 ㅣ 9. 대동여지도 ㅣ 10. 한성도 ㅣ 11. 수선전도 ㅣ 12. 진주지도 ㅣ 13. 남원부지도 ㅣ 14. 집의공묘도 ㅣ 15. 수진팔도지도 ㅣ 16. 송광사지도
5. 인쇄문화
1. 무구정광대다라니경 ㅣ 2. 보협인다라니경 ㅣ 3. 초조대장경 ㅣ 4. 속장 ㅣ 5. 재조대장경 ㅣ 6. 삼국사기 ㅣ 7. 고려 금속활자 "복" / "전" ㅣ 8. 남명천화상송증도가 ㅣ 9. 직지심체요절 ㅣ 10. 심지백개국원종공신녹권 ㅣ 11. 성리대전서절요 ㅣ 12. 조선왕조실록 ㅣ 13. 조선 전기 금속활자 ㅣ 14. 조선 후기 금속활자 ㅣ 15. 동국정운 ㅣ 16. 홍무정운 역훈 ㅣ 17. 석보상절 ㅣ 18. 월인천강지곡 ㅣ 19. 월인석보 ㅣ 20. 오륜생실도
도움이 되는 글과 그림
- 우리나라의 농법서
- 과학문화사 연표
- 용어설명
- 참고문헌
- 찾아보기
- 사진 및 자료 제공
책속에서
조선 후기 이후로는 목판인쇄가 전국적으로 크게 성행하였다. 중앙이나 지방의 관청뿐만이 아니라, 서원이나 개인들도 스스로 비용을 마련하여 스승이나 조상의 문집, 전기, 족보 등을 목판으로 찍어냈다. 서적뿐만 아니라 지도, 부적 등 다양한 형태의 목판인쇄가 발달하였다.-p46 중에서
서양식 자명종의 원리를 활용하여, 물이 아닌 추를 시계장치의 동력으로 이용하였다. 또 탄성진자 또는 추진자 운동으로 주기를 정하였다. 시간이 움직일 때마다 혼전의에 달린 태양 모형이 태양의 길(황도)을 따라 회전하면서 태양의 위치와 달의 모양을 알려주도록 되어 있다.-p178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