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사 일반
· ISBN : 9791196093983
· 쪽수 : 463쪽
· 출판일 : 2018-08-24
책 소개
목차
01 선사 문화의 이해
1 우리 조상의 기원과 자연 환경
2 선사 시대의 생활과 문화
02 고조선의 건국과 여러 나라의 성장
1 고조선의 건국과 발전
2 여러 나라의 성장
03 삼국·가야 문화의 이해
1 삼국·가야의 성립과 발전
2 백제의 건국과 발전
3 신라의 건국과 발전
4 가야의 성립과 발전
5 삼국·가야의 경제와 사회
04 통일신라와 발해
1 신라의 삼국 통일과 고구려·백제의 부흥운동
2 통일신라의 발전과 전개
3 통일신라의 사회와 경제
4 통일신라의 교육과 도당 유학생
5 발해의 건국과 발전
05 삼국·가야 및 통일신라의 문화
1 삼국의 문화
2 삼국의 사상
3 삼국 문화의 일본 전파
4 통일신라의 문화와 사상
5 발해의 문화 106
06 고려의 건국과 통치 체제의 정립
1 고려의 건국과 발전
2 중앙 정치 체제의 정비
07 고려 문벌 귀족 사회와 무신정권
1 문벌 귀족 사회의 형성과 동요
2 무신정권의 성립과 변천
08 고려의 대외항쟁과 후기의 정치
1 고려의 대외항쟁
2 원의 간섭과 공민왕의 개혁 정치
09 고려의 경제와 사회·문화
1 경제 정책
2 사회 제도와 사회 생활
3 사상과 학문
4 문화
10 조선의 건국과 통치 체제의 정비
1 조선의 건국과 발전
2 통치 체제의 정비
3 사림의 집권과 붕당 정치
11 조선의 대외관계와 임진왜란·병자호란
1 조선 초기의 대외 관계
2 왜란의 극복
3 호란의 극복
4 양난 이후의 대외 관계
12 조선의 정치 변화와 제도의 개편
1 통치 체제의 개편
2 탕평 정치의 추진
3 세도 정치의 실시
4 농민 봉기
13 조선의 사회와 경제 변동
1 신분 질서의 확립
2 조선 후기 신분제의 동요
3 사회 제도와 생활 모습의 변화
4 농촌 경제의 변화
5 상품 화폐 경제의 발달
14 조선의 문화와 사상
1 민족 문화의 융성
2 성리학의 발달
3 실학의 등장
4 새로운 사상의 등장
5 서민 문화의 발달
15 근대 사회의 전개
1 흥선 대원군의 개혁 정치
2 통상 수호 거부 정책과 양요
3 근대 조약의 체결과 개항
16 근대 국가 수립 운동의 전개
1 개화 정책의 추진과 반발
2 개화 세력의 성장과 갑신정변
3 근대적 개혁의 추진
4 대한 제국과 독립 협회
17 국권 수호 운동의 전개
1 동학 농민 운동
2 항일 의병 운동
3 애국 계몽 운동
4 영토 주권 운동
18 개항 이후의 사회 변화와 근대 문물의 수용
1 열강의 경제 침탈
2 경제 수호 운동의 전개
3 근대 시설과 문물의 수용
4 근대 교육과 국학 운동
5 사회 생활과 의식 구조의 변화
19 일제의 식민 지배와 민족의 수난
1 일제의 침략과 식민지화
2 일제의 식민지 통치
3 일제의 식민지 개발과 수탈
20 3·1 운동과 대한민국 임시 정부 수립
1 1910년대 독립운동
2 3·1 운동
3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수립과 활동
21 국내외 독립 운동의 전개
1 1920년대 국내 독립운동
2 의열 투쟁과 1920년대 국외 무장 독립운동
3 1930년대 이후 중국 내 독립운동
22 일제강점기 민족 운동과 사회 변화
1 사회·경제의 변화와 독립운동
2 사회주의 운동과 민족 운동
3 신간회 활동
4 농민 운동과 노동 운동
5 국학 운동의 전개와 과학의 활성화
6 다양한 종교, 문예 활동
7 일상의 변화
8 한민족의 해외 이주
23 해방과 대한민국 정부 수립
1 국제 질서의 변화와 해방
2 정치 세력의 움직임과 미 군정
3 미·소 대립과 좌우 합작
4 대한민국 정부 수립과 남·북한 사회
5 1945~50년 남·북한 사회
24 한국전쟁과 사회 변화
1 한국전쟁의 시작과 전개
2 한국전쟁의 영향
3 한국전쟁 이후 남·북한 사회의 변화
25 민주주의의 시련·발전과 경제·사회의 변화
1 민주주의의 시련과 발전
2 군사 정부 출현과 유신 체제
3 민주화 운동의 발전
4 경제 발전과 사회·문화의 변화
26 평화 통일의 과제
1 북한 사회
2 남북 통일과 남북 교류
부록
역대 왕조 계보
참고문헌
색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