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통일/북한관계 > 통일문제
· ISBN : 9788981630553
· 쪽수 : 336쪽
· 출판일 : 2000-09-08
책 소개
목차
- 머리말
서장 '우리식문화'를 알아야 북한이 보인다
1) '사람과 사람의 통일'에서 문화적 정서가 중요하다
2) '우리식'을 모르고서는 북한문화를 알 수 없다
3) 북측에 부는 '남풍', 남측에 부는 '북풍'
제1장 같음과 다름, 남북문화 독해법 몇 가지
1) '항일유격대식 사회'의 칸트, 류열 선생을 생각하며
2) 독해법 하나 : 반백년의 거리감 - 남한족, 북한족을 만나다
3) 독해법 둘 : 두 '종족'의 다른 생각 - 꽃파는 처녀인가, 몸파는 처녀인가
4) 독해법 셋 : 생각하기 나름 - '우리는 행복해요'와 '정말 행복할까'
5) 독해법 넷 : 무조건 따라하기, 무조건 작문쓰기는 끝났는가 - <누벨 옵세르바퇴르>가 선정한 6대 폭군
6) 독해법 다섯 : 심각한 오해 - 누가 벗어야 하는가
7) 독해법 여섯 : 민족역량의 재검토 - 큰 그림을 그릴 역량을 있는가
8) 독해법 일곱 : 같은 것도 많다 -일란성 쌍둥이, 새마을 운동과 천리마운동
9) 독해법 여덟 : 숨은 그림 찾기 - 드러냄과 감춤의 오묘함
10) 독해법 아홉 : 변하지 않는 것은 없다 - 누구나 배울 수 있는 윈도우 95
11) 독해법 열 : 속도전의 변증법 -놀기 좋아하는 사람들
제2장 전통, 문화적 헤게모니, 우리식 사회주의
1) 개고기와 단고기 문화의 상대적 거리
2) 문화적 헤게모니, 어디에 있는가
3) 민족문화, 제 대접받는가
3) 우리식사회주의의 우리식문화와 민족 제일주의
4) 우리식사회주의의 현대적 미감
5) 사회주의 대가정의 사회주의적 미풍양속
6) 통속성과 민족성은 하나
제3장 민족문화, 남북통합의 원동력
1) 신실크로드에서 꿈꾸는 민족문화의 원형질
2) 낮은 연방제와 국가연합 시대의 민족문화 전망
3) 민족문화의 원형질, 민족 생활문화
4) 북쪽의 민족문화, 변화를 거부하는가
5) 우리식 문화예술의 표본 사례 1 - 교예
6) 우리식 문화예술의 표본 사례 2 - 무용
- 부록 : 남북 민족문화교류 방안 사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