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한국문학론 > 한국작가론
· ISBN : 9788982180811
· 쪽수 : 476쪽
· 출판일 : 2006-03-31
책 소개
목차
머리말 : 존재의 차원과 의미의 차원
I
1. 권환론
이념에서 서정으로 - 카프 시인 권환과 교토제대
혁명시인 에른스트 톨러와 카프 시인 권환
2. 춘원론
어떤 법화경 행자의 맨얼굴 글쓰기론 - 이광수의 '삼경인상기'와 춘원의 '원효대사'
3. 이태준론
인공적 글쓰기와 현실적 글쓰기
II
1. 만해론
소설 '죽음'과 <님의 침묵> 간의 거리 재기
2. 윤동주론
윤동주와 딩스쉔 - '참회록'이 놓인 자리
3. 김현승론
인류적 보편성과 개인적 기질의 분리 문제
4. 신석정론
촛불과 횃불의 단일적 동시성 - 신석정의 전체상을 위한 단상
5. 김춘수론
<달개비꽃>의 미와 생리 - 김춘수의 유고집이 놓인 자리
III
1. 김동리론
'구경적 생의 형식'의 문학사상적 위상 - 김동리의 평론집 <문학과 인간>론
두 가지 절대성과 두 가지 자연 - 카프 문학, 유진오, 김동리의 관련 양상
그리움으로서의 청산 - 김동리의 '청산과의 거리'에 부쳐
종교와 문학의 동시적 초월 - 다시 '청산과의 거리'에 부쳐
2. 황순원론
황순원 소설의 심리적 대칭성
3. 오정희론
'가족소설' 3부작과 방법론으로서의 엽기성
4. 박상륭론
아담과 카인의 대화
5. 김훈론
낭만적 글쓰기와 소설적 글쓰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인생 따위란 별것 아니고 소설만이 제일이다'라는 명제와, '소설만이 제일이 아니고 인생도 소중하다'가 만나는 지점이란 어디쯤일까. 오정희 문학은 이 지점의 탐색에 더도 덜도 아니다. 이러한 진술이 범상한 범주를 넘어서는 것은 웬 까닭일까. 말을 바꾸면, 위의 두 명제가 만나는 지점이 지닌 중요성이란, 이 두 명제가 지닌 성격에서 말미암는다. 곧 그것은 거의 절대모순성으로 되어 있음에서 온다. - 본문 395쪽, '오정희론'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