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신앙생활 > 신앙생활일반
· ISBN : 9788983495051
· 쪽수 : 424쪽
· 출판일 : 2010-04-05
목차
제1장 서론: 한국사회의 변동과 교회
Ⅰ. 역사적 사회 속의 교회
Ⅱ. 한국 사회변동의 이해
제2장 한국교회의 문제점과 혁신 과제
Ⅰ. 한국 종교의 특성과 개신교회의 문제점
Ⅱ. 한국교회의 미래지향적 혁신과제
Ⅲ. 기독교 공동체 운동에 관한 본서의 구상
제3장 현대사회와 공동체
Ⅰ. 공동체란 무엇인가? 개념의 이해
Ⅱ. 왜 공동체인가?
Ⅲ. '자발적 사회'의 이상과 시민사회의 '자발적 부문'
Ⅳ. 시민사회, 자원봉사, 그리고 공동체
제4장 지역사회 공동체 운동의 원리와 실제
Ⅰ. 지역사회 공동체 형성과 유사한 개념
Ⅱ. 지역사회 공동체 형성
Ⅲ. 지역사회 공동체 형성의 구체적 사례
Ⅳ. 공동체 자본주의 운동: 사회적 기업
Ⅴ. 맺으면서
제5장 기독교적 공동체운동의 의의
Ⅰ. 교회는 왜 공동체를 생각하는가?
Ⅱ. 기독교적 공동체의 특성
제6장 지역사회와 교회의 공동체 운동
Ⅰ. 교회의 사회적 기능과 공동체 운동의 의의
Ⅱ. 교회의 지역사회 공동체 운동을 위한 조직 원리
제7장 기독교 공동체 운동의 소집단 조직 전략(1): 이론적 기초
Ⅰ. 기독교적 공동체의 의미
Ⅱ. 교회 소집단 공동체의 목적과 기능
Ⅲ. 소집단의 유형
Ⅳ. 소집단 전략의 기획
제8장 기독교 공동체 운동의 소집단 조직 전략(2): 구성과 운영의 실제
Ⅰ. 소집단의 목적과 성격 규정
Ⅱ. 교재 및 참고자료의 선정
Ⅲ. 집단 구성원(회원)의 선정
Ⅳ. 언약서 작성
Ⅴ. 소집단 사역과 리더십
Ⅵ. 소집단 구성원의 책무
Ⅶ. 소집단 사역의 유의사항과 문제점
제9장 기독교 공동체 운동의 대안적 조직 전략
Ⅰ. '가정교회'공동체의 이론과 실제
Ⅱ. 유기적 공동체와 공간적 소속의 함의
Ⅲ. 결론에 대신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