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다시 대한민국을 상상하다

다시 대한민국을 상상하다

(석학 4인이 진단하는 한국의 구조와 지속 가능한 미래)

최정호, 김진현, 김경동, 오명 (지은이), 박성희 (엮은이)
21세기북스
2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5,200원 -10% 0원
1,400원
23,8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22,400원 -10% 1120원 19,040원 >

책 이미지

다시 대한민국을 상상하다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다시 대한민국을 상상하다 (석학 4인이 진단하는 한국의 구조와 지속 가능한 미래)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비평/칼럼 > 정치비평/칼럼
· ISBN : 9791173573132
· 쪽수 : 304쪽
· 출판일 : 2025-06-13

책 소개

시간 위에 서 있는 책이다. 대한민국의 시간을 통찰한다. 그러나 과거에 머무르거나, 현재에 얽매이지 않는다. 미래를 상상하고 앞으로 나아가고자 한다.

목차

서문 더 놀라운 미래를 상상하며_박성희
• 대한민국이라는 에니그마(enigma)
• 한국미래학회의 시작
• 4인의 현자들이 말하는 대한민국의 발전: 최정호·김진현·김경동·오명
• 다시 스위스 가는 길에서

제1장 과거를 돌아보며 미래로 나아간다_최정호
• 상상의 힘에 대하여, 역사를 바꾸는 생각의 힘
• 1960년대: 전 지구적인 ‘대여행의 시대’
• 동과 서, 제3세계를 휩쓴 ‘문화 대혁명’
• 4·19 혁명과 대공위(大空位)의 시대
• 베를린과 버클리의 스튜던트 파워, 파리의 68혁명
• 단절의 시대와 미래에의 관심
• 5·16 쿠데타, 보나파르티즘의 등장
• 인스브루크 동계 올림픽: 이한빈과의 해후
• 일본의 과거 망각 미래 지향, 독일의 과거 지향 미래 망각
• 한국미래학회의 정체성
• 미래의 변수(變數)와 상수(常數): ‘한국인의 삶’ 시리즈
• 청년에게 주는 메시지: 전체를 봐라, 시간적으로나 공간적으로나
• ‘서기 2000년’의 의미
• 한반도 천 년의 흐름을 되돌린다
• 독립! 19세기 선각자들의 위업

제2장 청년이여, 근본으로 가라_김진현
• 대한민국 성공의 아나토미
• 이동성·개방성·대담성, 그리고 절대상황의 경험
• 나는 다섯 개 국가의 시민이었다
• 강제된 해양화의 시작과 미국의 영향
• 대한민국 독재의 한계
• 통시적·통장적으로 보고 실체를 직시해야
• 성공했으나 즐길 여유가 없는 대한민국
• 그래도 밝은 미래: 대한민국은 성공할 것
• 젊은이들이여, 기초로, 근본으로, 낮은 곳으로 가라
• 젊은이들에게 거는 기대: 새 정치, 새 교육의 시대
• 이념 갈등의 뿌리, 한국전쟁
• 친일은 재조명되어야
• 내가 회고록을 쓰는 이유
• 법과 제도의 발전을 위해 극복해야 할 우리 사회 이중성
• 건국 이후 최대의 위기: 21세기 지구촌 새 문명 개벽의 선구자 되기를

제3장 우리의 눈으로 대한민국을 본다_김경동
• 미래 세대의 행복을 위하여
• 미래를 강의하며 한국 사회를 연구하다
• 크게 멀리 보는 눈으로 미래를 보자
• 유교 연구로 시작해 한국 사회 근대화 본격 연구
• 사회 개발과 사회 발전은 다르다
• 개발의 시대를 살아온 지식인의 기여
• 동양과 서양의 근대화를 해석
• 한국인의 우수성, 그리고 한, 체면, 명분
• 문명사적 관점에서 미래를 바라봐야
• 미래를 위한 인간주의적 성찰과 선비문화

제4장 대한민국을 확 바꾸다_오명
• 지금이 우리나라 반만년 역사의 황금기
• IT
IT가 왜 중요한가 | 전 세계가 부러워하는 대한민국 IT | 생애 최고의 스승을 만나다 | 전자공업 육성 장기 정책 | 반도체는 산업의 쌀 | 한국 정보화를 리드한 체신부 | 리더는 큰 그림을 그리며 모든 직원을 참여시킨다 | 조직의 문화와 전통을 존중하고 업무를 과감히 위임하라 | 리더는 바위 같아야 한다 | 산업화는 늦었지만 정보화는 앞서가자 | IT 강국은 이렇게 시작되었다 | 컴퓨터 국산화 | 통신 운영 체제의 재정립 | 한국전기통신공사 설립 | 데이콤 설립 | 국운이 달린 전전자교환기(TDX) 개발 | TDX개발단 | TDX품질보증단과 TDX사업단 | 반도체 공동 개발 | 서울대학교에 반도체 공동 연구소를 만들다 | 정보 복지 사회 건설 정책 | 세계 최초로 전국에 광케이블을 깔다 | 기적의 행정전산망 | 88 서울 올림픽 정보통신 서비스는 금메달 | 대전 엑스포를 성공적으로 개최하다
• 교통혁명
세계 최고의 공항을 만들다 | 세계 최고의 철도를 만들다
• 미래 기술을 선점하라
우주 개발 원년을 선포하다: 우주인과 나로호 | 인류 에너지 문제의 근본적 해결: ITER 프로젝트 | 세계 생물자원 확보
• 남은 이야기
못다 이룬 꿈, 세계 자유 도시 | 명예의 전당에 오르다: SUNY Stony Brook | 나는 참으로 행복한 사람

이한빈 이야기(김형국 서울대학교 명예교수)
미주

저자소개

김경동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명예교수. 대한민국학술원 회원. 서울대학교 사회학과를 졸업하고 미시간대학교 대학원 석사, 코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를 취득했으며 KAIST 초빙교수, 실천신학대학원대학교 석좌교수로 재직 중이다. 정보사회학회 회장, 시민사회포럼 운영위원장, 미국 듀크대학교 아·태연구소 겸임교수, 프랑스 사회과학대학원(EHESS) 초빙교수, 한국사회학회 회장을 역임했고, 성곡학술문화상, 인촌상을 받았다.
펼치기
오명 (지은이)    정보 더보기
국가원로회의 상임의장. 육군사관학교·서울대학교 전자공학과를 졸업하고 뉴욕주립대 대학원 전자공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체신부 장관, 교통부 장관, 건설교통부 장관, 부총리 겸 제6대 과학기술부 장관, 한국공학한림원 원로회원, 건국대학교 총장, 아주대학교 총장, 동아일보 사장·회장, 국가미래정책포럼 이사장, 웅진에너지 회장, KAIST 이사장, 대전세계박람회(EXPO) 정부 대표 겸 조직위원장을 역임했다.
펼치기
김진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세계평화포럼 이사장. 서울대학교 사회학과를 졸업하고 고려대학교와 광운대학교에서 명예박사학위를 받았다. 동아일보 논설주간, 제13대 과학기술처 장관, 한국경제신문 회장, 세계화추진위원회 공동위원장, 서울시립대학교 총장,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이사장, 문화일보 대표이사 회장, 국민원로회의 위원, 대한민국역사박물관 건립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했다. 인촌상을 받았다.
펼치기
최정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울산대학교 인문대학 철학과 석좌교수. 서울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베를린자유대학교 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성균관대학교와 연세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 중앙일보 논설위원, 동아일보 객원 대기자, 한국미래학회 창립발기인과 제2대 한국미래학회 학회장을 역임했다. 2006년 독일 정부로부터 한독 관계 발전에 기여한 공로로 십자공로훈장을 수훈했다.
펼치기
박성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이화여자대학교 커뮤니케이션 미디어학부 교수. 미국 컬럼비아대학 사회학과를 졸업하고, 연세대 언론홍보대학원 석사, 미국 퍼듀대학 매스커뮤니케이션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미래학회 제6대 회장, 조선일보 기자, 동아일보 객원 논설위원을 지냈다.
펼치기

책속에서

대한민국의 성공 담론, 그 변화의 여정을 탐색하기 위한 인터뷰는 각기 다른 울림으로, 경험으로, 표현으로 전달되었다. 이야기 중에는 겹치거나 만나거나 이어지며 설명되는 부분들이 적지 않았다. 그래서 애플 창업자 스티브 잡스의 표현을 빌자면, 과거를 돌아볼 때만 가능한 연결점 찾기(connecting the dots)의 즐거움도 느꼈다. 연결된 점들 사이로 여전히 설명을 기다리고 있는 부분도 적지 않았으나, 대한민국의 윤곽을 이해하기에는 부족함이 없었다. 큰 산 같은 이야기를 들으며 그 산 깊은 곳을 모두 알 수는 없으나, 산을 마주한 것만으로도 크기와 웅장함은 알 수 있었다. 내가 느낀 이런 호기심과 경이를 다음 세대에서도 계속 이어가기를 바랄 뿐이다.
│더 놀라운 미래를 상상하며


통일신라 이후 고려 시대(918~1392)와 조선 시대(1392~1910)의 1000년을 거쳐 해방 후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된 이후 오늘에 이르기까지 1000년 이상의 역사 속에서 변하지 않고 이어온 것, 그것은 우리나라 역사가 언제나 서울을 중심으로 중앙집중적인, 1극 중심적인, 구심적인 발전을 지향해왔다는 것입니다. 모든 것이 서울로, 중앙으로, 중심으로 몰리는 이 흐름은 조선 시대에 더욱 심해진 듯하고 특히 해방 후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되면서 지난 70여 년 동안 이 추세는 더욱 심화되고 격화되고 악화되었습니다.
│과거를 돌아보며 미래로 나아간다


2022년부터 2030년대까지의 시기는, 대한민국 건국 이후 6·25 전쟁을 제외하면 가장 심각한 국가적 위기라고 할 수 있습니다. 물론 과거에도 4·19 혁명, 5·16 군사정변, 10·26 사건, 5·18 민주화운동, 6·29 선언, 국제 석유 파동, 외환위기 등 굵직한 사건들이 있었습니다. 또한, 1968년부터 1974년 사이에는 정치·군사·외교가 얽힌 복합 위기도 존재했습니다. 그러나 정치, 안보, 경제, 사회 등 국가 공동체 전반의 구조적 붕괴와 내전적 위기가 동시에 겹친 적은 지금이 처음입니다. 지금 우리는, 대한민국 근대화의 특수한 성공의 절정과 동시에 그 성공이 가져온 역설적이고 도착적인 근대화의 후유증이 극대화된 시점에 도달해 있습니다.
│청년이여, 근본으로 가라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735738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