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조선왕실의 의례와 재원

조선왕실의 의례와 재원

정수환 (지은이)
세창출판사(세창미디어)
23,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3,000원 -0% 0원
1,150원
21,850원 >
23,000원 -0% 0원
0원
23,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1개 23,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조선왕실의 의례와 재원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조선왕실의 의례와 재원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조선사 > 조선시대 일반
· ISBN : 9788984119000
· 쪽수 : 336쪽
· 출판일 : 2019-10-22

책 소개

조선왕실의 의례와 문화 8권. 1장 '왕실출합(出閤)과 왕자녀(王子女) 후원', 2장 '가례와 도감, 그리고 각방(各房)과 각소(各所) 분장', 3장 '연회를 위한 인력과 물력', 4장 '봉릉(封陵)과 경외분정(京外分定)'으로 구성되었다.

목차

머리말・4

서론: 왕실의례와 물적 토대・11

제1장 왕실출합(出閤)과 왕자녀(王子女) 후원
1. 조선초기 왕실혼(王室婚)과 경제 지원・25
1) 경혜공주 출합과 왕실후원・25
2) 왕실혼 가문에 대한 경제적 후원・29

2. 조선전기 출합과 내수사・33
1) 내수사를 통한 지원・33
2) 출합재원에 대한 규례・35

3. 17세기 출합 정례화(定例化) 모색・41
1) 출합례(出閤例) 상고・41
2) 출합과 절수・44

4. 출합 왕자녀 지원 범위・46
1) 제택 영건과 사여・46
2) 출합 물력・50
3) 노비 사여・52
4) 전지 획급・56

5. 연잉군(延礽君) 출합・63
1) 길일의 택정・64
2) 출합궁(出閤宮) 마련・67
3) 출합 물력 지원・78
4) 노비 사급・83
5) 토지 획급・85

제2장 가례와 도감, 그리고 각방(各房)과 각소(各所) 분장
1. 가례도감과 중앙각사(中央各司)・96
1) 인력과 요포 그리고 논상・97
2) 물력 운영・105

2. 각방(各房)과 육례・110
1) 일방과 육례・113
2) 이방・125
3) 삼방・135

3. 각소 장인(各所匠人)과 물력・143
1) 별공작소・143
2) 수리소・147

제3장 연회를 위한 인력과 물력
1. 17세기 진풍정(進豊呈)과 진연진찬(進宴進饌)・162
1) 풍정도감 전례 상고와 설치・164
2) 기물(器物)과 찬물(饌物)・169
3) 기생과 의녀・175
4) 논상・178

2. 18세기 초 진연과 경외(京外) 물력・181
1) 진연청 구성과 운영・183
2) 물력 운영・188
3) 진연 인력 운영・190
4) 요포・194
5) 상격・197

3. 18세기 중엽 진연습의(進宴習儀)・199
1) 도감도청・200
2) 진연 처소와 집기 지원・206
3) 물력 동원의 구조・210
4) 진연 인력 운영・215
5) 요포와 삭료(朔料)・221
6) 각방 분장・227
7) 논상・231

제4장 봉릉(封陵)과 경외분정(京外分定)
1. 정순왕후와 사릉・239
1) 노산군부인묘와 사릉・239
2) 능역 획정・234

2. 양릉봉릉(兩陵封陵)과 재원 조정
1) 사릉과 장릉・236
2) 양도감(兩都監)과 산릉・249
3) 양릉봉릉과 경외동원・255

3. 경외 물력 획정・262
1) 중앙각사・262
2) 외방・270

4. 동원 인력과 운영 범위・280

5. 각소 물력과 인력 290
1) 물력 운영・290
2) 인력 운영・294

결론: 다층적 재원운영・299

참고문헌・315
ABSTRACT・323
찾아보기・328

책속에서

조선, 특히 17~18세기 왕실의례와 관련한 재원운영의 문제는 조선의 특수성에 입각하여 이해할 수 있다. 가족, 사회, 국가라는 틀 속에서 주자학이 강조하는 윤리의 문제, 그리고 이러한 전제와 연결된 조선시대의 정치와 경제에 대한 접근이 그것이다.


출합과 그에 따른 왕자녀에 대한 경제적 지원 문제는 조선 개국과 동시에 논의되기 시작했다. 발단은 국왕과 왕실이 왕자녀에 대해 제택(第宅)을 포함한 경제적 기반을 분재하는 문제에서 시작했다.


연잉군궁은 평택과 직산에 전토를 확장하고 있었다. 이 과정에서 민전과 인민을 침탈하는 폐해가 발생하면서 비국(備局)의 요청에 따라 사업은 중단되고 추진 경위를 거짓으로 보고한 궁차(宮差)를 치죄하는 일이 있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