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동양철학 일반
· ISBN : 9788984330214
· 쪽수 : 638쪽
· 출판일 : 1999-12-16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장자와 월명과 겐지
제1부 풍류론
1장 풍류론의 의의
2장 '풍류'의 개념과 본질
1. 한.중.일에서의 '풍류의 개념과 용례
2. '풍류'의 본질
놀이적 요소 / 미적 요소 / 자연친화적 요소 / 자유로움의 추구
3장 동아시아 미학론으로서의 '풍류론' 전망
1. '풍류' '풍류성' '풍류심'
2. 풍류심의 미적 구현으로서의 '흥' '한' '무심(無心)'
3. 풍류론의 포괄범위
제2부 '흥'론
1장 '흥'의 미학
1. '흥'의 의미체계
'흥'의 어원 / '흥'의 의미망
2. '흥'의 미적 원리
흥기된 정서의 발산 / '俗(현실)'과의 적극적 관계맺음 / 무갈등의 미학 / 놀이성과 재미
2장 예술장르.담당층.시대별 '흥'의 전개
1. '흥'의 본질과 '흥텍스트'
2. 예술장르에 따른 '흥'의 전개
문학의 경우 / 그림의 경우 / 탈놀이의 경우 / 판소리의 경우
3. 예술담당층에 따른 '흥'의 전개
'흥'의 깊이와 폭 / '혼자'의 흥과 '집단'의 흥 / 희극성과의 결부 / 즉흥성의 문제
4. 유교이념 이전시대 / 유교이념시대 / 유교이념 이후시대
3장 중국.일본의 '흥'계 미유형과의 비교
1. 중국의 '흥'계 미유형과의 비교
'樂而不淫'과 '흥' / '滋味'와 '흥' / '曠達'과 '흥' / 기타: '賦比興' '興趣' '興會'와 '흥'
2. 일본의 '흥'계 미유형: 오카시
'오카시'에 대한 개괄 / '흥'과 '오카시'의 공분모 / 흥기하는 생명감의 상이한 변태
제3부 '恨'론
1장 '한'의 미학
1. '한'의 의미체계
'한'의 어원 / '한'의 의미망
2. '한'의 심리
'소외'와 '억압'의 구조 / 한 심리 형성의 사회.문화적 요인
3. '한'의 미적 원리
'痛'의 내재화.장기화.누적화 / 복합적 미감 / 인간중심의 미 / '痛'의 제로化와 무아의 체험
2장 예술장르.담당층.시대별 '恨'의 전개
1. '한'의 본질과 '한텍스트'
2. 시대적 흐름에 따른 '한'의 전개
유교이념 이전시대 / 유교이념시대 / 유교이념 이후 시대
3. 예술담당층에 따른 '한'의 전개
지배층의 한 체험 양상 / 피지배층의 한 체험 양상 / 종교.사상적 이단 계층의 한 체험 양상
4. 예술장르에 따른 '한'의 전개
문학의 경우 / 음악의 경우 / 춤의 경우 / 그림의 경우
3장 중국.일본의 '한'계 미유형과의 비교
1. 중국의 '한'계 미유형
'哀而不傷'과 '한' / '怨'과 '한' / '悲慨'와 '한' / 기타: '悽완' '추愴'과 '한'
2. 일본의 '한'계 미유형: 모노노아와레
'모노노아와레'에 대한 개괄 / '한'과 '모노노아와레'의 공분모 / '悲哀感'의 사이한 변태
제4부 無心論
1장 '무심'의 미학
1. '무심'의 의미체계
'무심'과 '機心' / '忘' / '虛.靜' '寂.寥' / '閑' / '淡' / '절로절로' / 기타: '觀' '玄' '妙' 등
2. '무심'의 미적 원리
否定의 원리 / 補換의 원리 / '一'과 '多'의 원리 / '隱.老'의 원리: 자연성
2장 '무심'의 美 형성의 사상적 배경
1. '무심'의 의미형성과 그 사상적 배경
도가적 배경 / 선가적 배경 / 이학적 배경
2. '무심'의 미적 범주
'무심'의 사상성과 번미성의 접맥 / 미학용어로서의 '무심'의 포괄범위
3장 예술장르.담당층.시대별 '무심'의 전개
1. '무심'의 본질과 '무심텍스트'
2. 예술장르에 따른 '무심'의 전개
문학의 경우 / 그림의 경우 / 음악의 경우 / 춤의 경우 / '무심'의 미의 표현적 특색
3. 예술담당층에 따른 '무심'의 전개
4. 시대적 흐름에 따른 '무심'의 전개
4장 중국.일본의 '무심'계 미유형과의 비교
1. 중국의 '무심'계 미유형
'平淡' '沖澹'과 '무심' / '超詣'와 '무심' / '虛靜'과 '무심' / '자연' '疎野'와 '무심' / 기타: '遠奧' '高妙' '妙悟' '逸'과 '무심'
2. 일본의 '무심'계 미유형: 유우겡(幽玄)
'유우겡'에 대한 개괄 / '무심'과 '유우겡'의 공분모 / 脫俗感의 상이한 변태
맺음말: 흥.恨.無心의 상호관계
부록: 풍류방예술과 풍류집단
찾아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