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문화/문화이론 > 한국학/한국문화 > 한국인과 한국문화
· ISBN : 9788984338753
· 쪽수 : 524쪽
· 출판일 : 2011-03-30
목차
상권
제1장 몇 가지의 전제적 사항
1. 예술에 대한 관점의 수용
2. 문학의 사회적 기능 중시
3. 문학과 사회의 밀접한 연관성
4. 서술 대상의 설정
5. 서술 시기의 구분
제2장 일제강점기 제주예술의 성격
1. 일제강점기의 사회 변동
2. 지도자 논쟁과 김명식의 시
3. 개화가사의 변용과 계몽
4. 시인의 현실지향
5. 시대의 삶과 고통
6. 일상적 삶과 의식
7. 제주 근대예술의 태동
8. 김광추 예술의 표면과 이면
9. 제주민요의 시대 현실 반영
제3장 한국전쟁과 제주예술계의 형성
1. 해방공간·1950년대의 사회변동
2. 제주예술계의 형성
3. 지휘자 김승택의 진주 개천예술제 참가 회고
4. 변시지 그림의 대상 선정과 화법
5. 해방공간의 제주문학
6. 1950년대의 제주문학
제4장 4·19 혁명과 제주예술의 전개 방식
1. 1960년대의 사회변동
2. 제주예술의 전개 방식
3. [초공본풀이]의 의식시간과 의식공간
4. 현중화 서예의 형성과 대상 선정
5. 제주민속무용의 개척자 송근우에 대한 회고
6. 1960년대의 제주문학
하권
머리말
CHAPTER 05 시대인식의 심화와 제주예술의 확대
1. 1970년대의 사회변동
2. 시대인식의 심화와 제주예술의 확대
3. 양창보 산수화의 기법적 특징
4. 1970년대의 제주문학
5. 대담: 현기영 소설의 배경과 본질
6. 강문칠 구술: 김국배 선생의 삶과 「오돌또기」
CHAPTER 06 민주화운동 시대의 제주예술
1. 1980년대의 사회변동
2. 제주예술의 민중 지향성
3. 대담: 김석윤의 건축론과 건축 세계
4. 강요배 혹은 진보 지향의 미술 담론, 그리고 역사인식과 자연인식
5. 1980년대의 제주문학
6. 다담: 장일홍의 문학론
CHAPTER 07 IMF사태와 제주예술의 다양성
1. 1990년대의 사회변동
2. 제주예술의 다양성
3. 1990년대의 제주문학
4. 고봉식 집필: 제주 관악의 회고와 전망
- 초창기의 제주관악과 제주국제관악제를 중심으로
CHAPTER 08 전망과 남는 과제들
찾아보기
원색 그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