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근현대사 > 한국전쟁 이후~현재
· ISBN : 9788984355804
· 쪽수 : 416쪽
· 출판일 : 2023-06-09
책 소개
목차
머리말
1. 해방(1945년 8월 15일)
2. 미군정(1945년 9월 9일)
3. 모스크바 3상 회의(1945년 12월 26일)
4. 10월 항쟁(1946년 10월 1일)
5. 제주민중항쟁(1948년 4월 3일)
6. 제헌의원 선거(1948년 5월 10일)
7. 반민특위 해산(1949년 6월 6일)
8. 농지개혁법 선포(1950년 3월 10일)
9. 제 2대 국회의원 선거(1950년 5월 30일)
10. 6.25 전쟁(1950년 6월 25일)
11. 제 2대 대통령 선거(1952년 8월 5일)
12. 제 3대 국회의원 선거(1954년 5월 20일)
13. 제 2차 개헌(1954년 11월 27일)
14. 제 3대 대통령 선거(1956년 5월 15일)
15. 진보당 해산(1958년 2월 25일)
16. 제 4대 국회의원 선거(1958년 5월 2일)
17. 4.19 혁명(1960년 4월 19일)
18. 내각제 개헌과 제 5대 국회의원 선거(1960년 6월 15일, 1960년 7월 29일)
19. 5.16 군사정변(1961년 5월 16일)
20. 제 1차 경제개발계획 발표(1962년 1월)
21. 제 5대 대통령 선거와 제 6대 국회의원 선(거1963년 10월 15일, 1963년 11월 26일)
22. 베트남 파병(1964년 9월)
23. 한일협정 체결(1965년 6월 22일)
24. 제 6대 대통령 선거와 제 7대 국회의원 선(거1967년 5월 3일, 1967년 6월 8일)
25. 북한 특수부대 청와대 습격 사건(1968년 1월 21일)
26. 6차 개헌(1969년 10월 17일)
27. 전태일 분신(1970년 11월 13일)
28. 제 7대 대통령 선거(1971년 4월 27일)
29. 제 8대 국회의원 선거(1971년 5월 25일)
30. 와우아파트 붕괴와 광주대단지사건(1970년 4월 8일, 1971년 8월 10일)
31. 7.4 남북공동성명(1972년 7월 4일)
32. 8.3 사채동결조치(1972년 8월 3일)
33. 유신선언(1972년 10월 17일)
34. 제 9대 국회의원 선거(1973년 2월 27일)
35. 제 1차 오일쇼크(1974년 1월 1일)
36. 제 10대 국회의원 선거(1978년 12월 12일)
37. 부마항쟁(1979년 10월)
38. 박정희 대통령 암살 사건(1979년 10월 26일)
39. 신군부 군사반란(1979년 12월 12일)
40. 광주민주화운동(1980년 5월 18일)
41. 제 8차 개헌(1980년 10월 27일)
42. 언론통폐합(1980년 11월 30일)
43. 제 11대 국회의원 선거(1981년 3월 25일)
44. 야간통행금지 해제(1982년 1월 5일)
45. 아웅 산 폭탄 테러 사건(1983년 10월 9일)
46. 제 12대 국회의원 선거(1985년 2월 12일)
47. 김근태 고문 폭로(1985년 12월 19일)
48. 6월 민주항쟁(1987년 6월 10일)
49. 노동자대투쟁(1987년 7~9월)
50. 제 13대 대통령 선거(1987년 12월 16일)
51. 제 13대 국회의원 선거(1988년 4월 26일)
52. 서울 올림픽(1988년 9월 17일)
53. 5공화국 청문회(1988년 11월 2일)
54. 주택 200만호 공급계획(1989년 2월)
55. 전국교직원노조 결성(1989년 5월 28일)
56. 3당 합당(1990년 1월 22일)
57. 강경대 피살 사건(1991년 4월 26일)
58. 제 14대 국회의원 선거(1992년 3월 24일)
59. 한중수교(1992년 8월 24일)
60. 제 14대 대통령 선거(1992년 12월 18일)
61. 하나회 해체(1993년 3월 8일)
62. 금융실명제(1993년 8월 12일)
63. 산업연수생제도(1993년 11월)
64. 성수대교 붕괴(1994년 10월 21일)
65. 조선총독부청사 철거(1995년 8월 15일)
66. 노태우 비자금사건(1995년 10월 19일)
67. 제 15대 국회의원 선거(1996년 4월 11일)
68. 강릉무장공비사건(1996년 9월 18일)
69. IMF 구제금융 신청(1997년 11월 21일)
70. 제 15대 대통령 선거(1997년 12월 18일)
71. 금강산 관광(1998년 11월 18일)
72. 문화산업진흥기본법(1999년 1월 7일)
73. ADSL 상용화(1999년 4월 1일)
74. 제 1차 연평해전(1999년 6월 15일)
75. 제 16대 국회의원 선거(2000년 4월 13일)
76. 제 1차 남북정상회담(2000년 6월 13일)
77. 한일월드컵(2002년 5월 31일)
78. 양주 여중생 압사(2002년 6월 13일)
79. 제 16대 대통령 선거(2002년 12월 19일)
80. 제 17대 국회의원 선거(2004년 4월 15일)
81. 공공기관 주 5일 근무제 실시(2004년 7월 1일)
82. 행정수도 이전 위헌 판결(2004년 10월 21일)
83. 호주제 폐지(2005년 3월 31일)
84. 황우석 연구부정 보도(2005년 11월 12일)
85. 북한 1차 핵실험(2006년 10월 9일)
86. 한미FTA 타결(2007년 4월 2일)
87. 제 17대 대통령 선거(2007년 12월 19일)
88. 제 18대 국회의원 선거(2008년 4월 9일)
89. 미국산 쇠고기 수입 합의(2008년 4월 19일)
90. 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2009년 5월 23일)
91. 4대강 사업(2009년 7월)
92. 제 19대 국회의원 선거(2012년 4월 11일)
93. 제 18대 대통령 선거(2012년 12월 19일)
94. 세월호 침몰(2014년 4월 16일)
95. 제 20대 국회의원 선거(2016년 4월 13일)
96. 박근혜 대통령 탄핵 결정(2016년 12월 9일)
97. 제 19대 대통령 선거(2017년 5월 9일)
98. 코로나19 팬데믹(2020년 1월 20일)
99. 제 21대 국회의원 선거(2020년 4월 15일)
100. 제 20대 대통령 선거(2022년 3월 9일)
참고문헌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오늘날 역사의 의미를 곱씹는 이들이 흔히 가장 먼저 떠올리는 것은 '모든 역사는 현재의 역사'라고 했던 크로체의 말이다. 역사는 과거의 것이지만 현재적인 의미가 있다. 하지만 그 중에서도 한국현대사, 즉 우리가 속해 있는 한국이라는 사회가 최근 100여 년 안에 겪은 사건들을 돌아보고 되새기는 일의 현재적 의미는 특히 구체적이고 명료하다. 지금 우리가 경험하는 삶의 조건들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 것들이기 때문이다.
-머리말中에서
방송이 이루어진 직후에도 우리 민족이 해방되었다는 사실을 인식한 사람은 극히 적었다. 우선 라디오의 보급이 거의 이루어져 있지 않아 방송을 들은 사람 자체가 드물었고, 방송의 음질이 매우 열악했을 뿐 아니라 천황의 발음도 분명하지 않았으며, 조서의 형식도 부자연스러운 문어체의 일본어여서 들은 사람들도 정확한 내용을 파악하기 어려웠기 때문이다. 하지만 더 중요한 것은 조서 안에 '항복'이라거나 '해방' 혹은 '철수' 같은 구체적인 단어가 전혀 들어있지 않았기 때문이다
-해방(1945년 8월 15일) 中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