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아메리카사 > 중남미사
· ISBN : 9788984355934
· 쪽수 : 512쪽
· 출판일 : 2023-11-24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제1장. ‘살아 있는 박물관’ 라틴아메리카
1. 아메리고의 땅: 아메리카
2. 몽골리안 루트를 따라서: 라틴아메리카에 살고 있는 사람들
제2장. 라틴아메리카에 꽃핀 고대 문명들
3. ‘중간’ 아메리카 문명과 ‘계단’ 문명: 고대 문명들
4. 메소아메리카 최초의 문명: 올멕 문명
5. 신들이 계신 곳: 테오티와칸 문명
6. 아스틀란에 사는 사람들: 아스텍 문명 1
7. 구경거리의 사회: 아스텍 문명 2
8. 문화의 만화경: 마야 문명 1
9. 365.2422일과 365.2420일: 마야 문명 2
10. 안데스 문명과 메소아메리카 문명의 교량: 잉카 문명 이전의 남아메리카 문명들 1
11. 나스카 라인의 신비: 잉카 문명 이전의 남아메리카 문명들 2
12. 세계의 배꼽: 잉카 문명 1
13. 차스키와 키푸스: 잉카 문명 2
14. 바다 건너 큰 나라: 콘티키호의 모험
제3장. 만남과 정복
15. 바다 너머 미지의 세계로!: 유럽의 팽창
16. 대양이 시작되는 곳: 포르투갈의 팽창 정책
17. 레콩키스타의 완료: 스페인의 팽창 정책
18. 1492년 10월 12일: 콜럼버스의 신대륙 도착
19. 파우 브라질: 브라질의 발견과 정복
20. 브라질만 왜 포르투갈어를?: 토르데시야스 조약
21. 마야 문명의 분서: 마야 문명의 멸망
22. 한 줌의 스페인 정복자들: 아스텍 제국 정복
23. 잉카 제국의 내분: 잉카 제국 정복
24. 칼과 십자가: 영혼의 정복
25. 인류 역사상 최대의 인종 학살: 원주민들의 인구 감소
26. “이들 인디오는 인간이 아니란 말인가?”: 카사스 신부와 비토리아 신부의 절규
27. 잔잔한 바다, 태평양: 신대륙을 탐험한 사람들
제4장. 식민 통치 시대
28. 식민지에 대한 원격 조정: 부왕령
29. 엥코미엔다, 미타, 그리고 아시엔다: 식민지에 대한 경제 정책
30. 포르투갈의 식민 정책과 식민 경제: 브라질
31. 크리오요와 페닌술라르: 다인종 사회의 출현
32. 황금의 도시 ‘엘도라도’를 찾아서: 정복자들의 탐욕
33. 국제 무역의 증가와 물가 앙등: 식민지 무역 정책
34. 감자, 옥수수, 설탕: 신대륙의 산물들
35. 네덜란드와 프랑스의 침략: 외세의 브라질 점령
36. 하나님과 교황에 대한 절대 순종: 예수회
37. 정복자의 후예들: 스페인 왕실에 대한 반역
38. 토착주의: 포르투갈 왕실에 대한 반역
39. 투팍아마루: 식민제국에 저항한 원주민의 반란들
제5장. 독립운동
40. 부르봉 왕조의 개혁과 크리오요들의 반발: 독립운동
41. “바다를 경작하는 것처럼…”: 시몬 볼리바르
42. 페루의 보호자: 산 마르틴
43. 돌로레스의 절규: 멕시코의 독립
44. “내가 여기 있노라”: 브라질의 독립
제6장. 독립 이후(19세기)
45. 갈등의 시작: 독립 후의 라틴아메리카
46. 왕정과 ‘밀크 커피’ 정치: 브라질
47. 페루와 볼리비아의 재앙: 태평양 전쟁
제6-1장. 카우디요의 통치
48. 강대국들의 틈바구니: 파라과이
49. 빵이냐 곤봉이냐: 포르피리오 디아스
50. 작은 베네치아: 베네수엘라
51. “통치는 교육이다”: 아르헨티나
제6-2장. 자유주의와 보수주의의 대결
52. 중앙아메리카 연방의 탄생: 중앙아메리카 1
53. 보수와 자유의 각축장: 중앙아메리카 2
54. 완충국: 우루과이
55. 천일전쟁: 콜롬비아
56. 적도의 나라: 에콰도르
57. 조류의 배설물, 구아노: 페루
58. 긴 나라: 칠레
제6-3장. 미국의 개입
59. 과달루페-이달고 조약: 미국과 멕시코의 영토 전쟁
60. 쿠바의 김구: 호세 마르티
61. 달빛 아래의 피크닉: 미국과 스페인의 전쟁
제7장. 20세기의 라틴아메리카
62. 한국과 라틴아메리카와의 첫 만남: 멕시코와 쿠바
63. 파나마운하: 파나마
64. 석유의 나라: 베네수엘라
65. 보고타소와 라 비올렌시아: 콜롬비아
66. 라틴아메리카의 정체성: 1960년대 붐 소설
제7-1장. 민중을 향한 정치
67. 미주인민혁명동맹, APRA: 페루
68. 브라질의 삼바와 축구: 바르가스 대통령
69. 노동계급의 대변자: 페론과 에비타
제7-2장. 혁명
70. 그링고: 멕시코혁명
71. ‘타타’ 카르데나스: 멕시코혁명의 완성
72. 멕시코에서 6년마다 죽는 신: 대통령주의
73. 또 다른 종속: 쿠바의 독립
74. 그란마호를 타고: 쿠바혁명
75. ¡Hasta la Victoria Siempre!: 에르네스토 체 게바라
76. “혁명 안에 모든 것이 있고…”: 피델 카스트로
77. 차코전쟁: 볼리비아와 파라과이
78. 비바 칠레!: 살바도르 아옌데 대통령
79. 사랑의 시인: 파블로 네루다
80. 새로운 노래 운동: 누에바 칸시온
81. 산디니스타 민족해방전선: 니카라과 혁명
82. 후지모리의 변화, Cambio 90: 페루
83. 축구 전쟁: 엘살바도르와 온두라스
84. 차베스의 등장: 베네수엘라
제7-3장. 과거사 청산
85. 《과테말라, 침묵의 기억들》: 과테말라 내전
86. 더러운 전쟁: 아르헨티나의 군부독재
87. 아르헨티나의 《눈카 마스》: 과거사 청산 1
88. 칠레의 아우구스토 피노체트: 과거사 청산 2
제7-4장 경제통합
89. 잃어버린 10년: 라틴아메리카의 경제통합
90. 사파타의 부활: 북미자유무역협정(NAFTA)
제8장 21세기의 라틴아메리카
91. 쓰러진 공룡, 71년 만의 정권교체: 멕시코
92. 삼류 드라마와 원주민 대통령: 페루
93. 3전 4기의 신화 창조, 룰라 대통령: 브라질
94. 마이너리그에서 메이저리그로: 아르헨티나
95. 한국과의 자유무역협정 체결: 칠레
96. 히스패닉 없으면 패닉: 미국에서의 히스패닉
97. 혁명의 역사를 다시 쓴 차베스: 베네수엘라
98. 아디오스, 피델!: 쿠바
99. 미국에 맞서는 ‘선의 축’: 라틴아메리카에서의 좌파 돌풍
100. 하나 된 라틴아메리카: 남미국가연합(UNASUR)의 출범
참고문헌과 자료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이 테노치티틀란이라는 대도시는 호수 안에 건설되었고, 육지에서 시내까지는 어느 방향에서 들어가더라도 2레구아 거리입니다. ……이 도시는 세비야나 코르도바처럼 크며 주요 도로는 아주 넓고 곧게 뻗어 있습니다. ……이 도시에는 살라망카시의 2배쯤 되는 대규모 광장도 있습니다. 그곳에는 매일 6만 명이 넘는 사람이 모여 국내에서 생산되는 모든 종류의 상품을 사고팝니다. ……대단히 높고 아름다운 탑이 40개 정도 있으며, 가장 높은 탑은 꼭대기까지 50단이나 됩니다. 이것은 세비야 대성당의 탑보다 훨씬 높습니다.
제2장 라틴아메리카에 꽃핀 고대 문명들 > 7. 구경거리의 사회: 아스텍 문명
- 스페인의 정복자 에르난 코르테스가 국왕에게 쓴 보고서 中
1492년 10월 12일, 드디어 육지에 상륙했다. 콜럼버스는 구세주와 관련시켜서 이 섬을 산살바도르San Salvador(구세주, 구원자)라고 명명했다. 그는 자신이 도착한 곳을 인도로 생각하여 카리브해의 원주민을 ‘인도 사람’의 의미를 지닌 ‘인디오indio ’라고 불렀다. 그러나 실제로 그곳은 지금의 바하마 제도에 있는 구아나아니라는 조그만 섬이었다.
제3장. 만남과 정복 > 18. 1492년 10월 12일: 콜럼버스의 신대륙 도착 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