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심리학/정신분석학 > 뇌과학/인지심리학
· ISBN : 9788984454217
· 쪽수 : 280쪽
· 출판일 : 2010-10-11
책 소개
목차
머리말
Part 1 발달의 기초 이론
발달심리학의 시초|발달심리학 연구자|생애 발달|유전과 환경|발달 단계설|사회발달 이론|발달 과제|정신분석학|연구 방법
Part 2 태아기~영아기의 발달
태아의 발달|신체 발달의 원리|신생아의 발달|운동 기능|뇌의 발달|원시 반사|기질|유아의 특징|감정의 발달|언어|애착|애착의 타입
Part 3 유아기의 발달
손과 발의 발달|이행 대상|자기이해의 발달|사고의 발달|왓슨|마음 이론|내언·외언|놀이|그림의 발달|친구 관계
Part 4 아동기의 발달
아동기란?|형제|도덕성의 발달|사회 학습 이론|지능|학습 메커니즘|성취동기
Part 5 청소년기의 발달
청소년기란?|아이덴티티의 모색|시간적 전망|성역할|부모-자녀 관계|아빠와 딸의 관계|친구 관계|사랑|청소년 의식의 국민성
Part 6 성인기의 발달
중년기의 아이덴티티|생활 구조의 변화|결혼|육아|아동 학대|부부 관계|갱년기|상실
Part 7 고령기의 발달
고령기의 시작|성장·발달|기억력의 저하|질병|죽음의 수용·삶의 활력소
부록 발달 장애발달 장애란 무엇인가?|그 외의 증상들
책속에서
도덕성의 발달 이론에는 세 가지가 있다사회구성원으로 살아가기 위해 필요한 규칙이나 도덕성이 어떤 과정을 거쳐 습득되는지를 설명한 이론에는 세 가지가 있다. 첫 번째는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적 이론이다. 도덕성의 기반은 다섯 살 전후의 남근기에 형성되며 양친으로부터 애정을 잃을지도 모른다는 공포와 불안, 죄책감이 도덕적 행동의 동기 부여가 된다고 설명했다. 두 번째 이론은 반두라Albert Bandura가 제창한 사회 학습 이론이다. 사람은 가까운 사람의 언동을 지켜보는 동안 그 언동을 습득한다는 이론이다. 세 번째 이론이 콜버그Lawrence Kohlberg(미국의 심리학자로 피아제의 인지발달 이론에 영향을 받아 도덕성 발달에 대한 이론을 제시하였다-역주)가 제창한 도덕성 발달 이론이다.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 이론콜버그는 도덕성의 발달을 알아보기 위해 다양한 연령의 아이들에게 여러 가지 딜레마 상태를 제시했다. 다음은 아이들을 대상으로 도덕성의 발달을 실험한 일례이다.
한 여성이 암에 걸려서 죽음을 앞두고 있었다. 그녀를 구하는 길은 약을 쓰는 방법뿐이다. 그런데 약값이 터무니없이 비쌌다. 그 약을 개발한 약제사가 약값으로 개발 비용의 열 배가 넘는 2,000달러를 요구한 탓이다. 하지만 암에 걸린 여성의 남편에게는 1,000달러밖에 없었다. 남편은 약제사에게 약값을 깎아달라고 부탁했다. 아니면 나중에 지불할 테니 약부터 달라고 애원했다. 하지만 약제사는 단호히 거절했다. 실망한 남편은 아내의 생명을 구하기 위해 약제사의 가게에 몰래 들어가서 그 약을 훔쳤다.
콜버그는 아이들에게 위와 같은 상황을 제시하고 다음과 같이 질문했다. ‘남편의 행동은 옳은가, 옳지 않은가? 그리고 그렇게 생각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그리고 아이들의 응답 내용을 분류하여 도덕성의 발달에는 3단계가 있다고 결론지었다.
콜버그에 대한 비판 : 길리건의 견해길리건Carol Gilligan은 콜버그의 이론이 ‘지나치게 남성적인 정의의 논리에 치우쳐 있다. 여성적인 시각에서 보살핌의 논리에도 주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일례로 길리건은 11세에서 15세가량의 아이들에게 다음과 같은 이야기를 해주고 남녀 간의 가치관 차이를 분석했다.
어느 추운 겨울날, 고슴도치 한 마리가 두더지 가족에게 겨울 동안만 동굴에서 함께 지내게 해달라고 부탁했다. 두더지들은 고슴도치의 부탁을 들어주었다. 하지만 동굴이 너무나 좁아서 고슴도치가 동굴 속을 돌아다닐 때마다 두더지들은 고슴도치의 가시에 찔렸다. 결국 두더지들은 고슴도치에게 동굴에서 나가달라고 부탁했다. 하지만 고슴도치는 이 부탁을 거절했다. 그리고 말했다. “여기 있는 게 싫으면 너희들이 나가면 되잖아.”
이 이야기를 들은 남자아이들은 ‘그 동굴은 두더지네 집이니까 고슴도치가 나가야 한다’고 주장하며 ‘정의의 논리’라는 관점에서 이 딜레마를 해결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와 대조적으로 여자아이들은 모두가 쾌적하고 행복하게 살 수 있는 해결법을 찾으려고 했다. 예를 들어, ‘고슴도치의 몸을 담요로 덮어씌우면 된다’는 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