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한국문학론 > 한국비평론
· ISBN : 9788984776500
· 쪽수 : 272쪽
· 출판일 : 2018-01-31
목차
머리말
1부 한국문학의 상품세계와 소비주체
채만식 소설에 나타난 상품세계와 소비주체의 갈등 양상 연구
1. 서론
2. 상품세계의 순례와 교환의 실패
3. ‘마코’와 ‘해태’ 사이, 상품의 위계와 구별짓기
4. 환멸과 분열, 소비주체로 살아남기
5. 결론
박태원 소설에 나타난 소비주체의 욕망과 갈등 연구
1. 들어가며
2. 만보객의 시선과 상품의 세계
3. 과시적 소비와 상품이라는 가면
4. ‘구별짓기’와 욕망의 회로
5. 소비주체로서의 욕망과 글쓰기의 향방
염상섭의 『효풍』에 나타난 상품세계의 변동과 갈등 양상 연구
1. 들어가며
2. 미제(美製) 혹은 ‘진짜’의 등장과 가치체계의 변화
3. 교환 구조에서 살아가기
4. 이념적 지형 변화와 『효풍』의 서사
5. 맺는 말
1950년대 정비석 소설에 나타난 소비주체의 향방
1. 문제제기
2. 소비에의 욕망과 교환의 서사
3. 소비하는 주체에서 생산하는 주체로의 유영
4. 맺는 말
1950년대 정비석의 신문소설에 나타난 ‘연애’ 연구
1. 들어가는 말
2. 자유연애 혹은 소비되는 연애
3. 세대 간의 연애와 새로운 문화의 탐색
4. 맺는 말
1950년대 김내성의 신문소설에 나타난 ‘연애’ 연구
1. 들어가는 말
2. 교환으로서의 ‘자유연애’
3. 낭만적 사랑이 이야기되는 방식
4. 제도 밖의 연애와 가정이라는 소실점
5. 맺는 말
1950년대 신문소설에 나타난 세대 간의 연애와 새로운 소비주체
1. 들어가는 말
2. 세대 간의 연애와 ‘아프레 걸’
3. 로맨스의 향유와 새로운 소비주체의 등장
4. 맺는 말
2부 한국문학의 이념과 방법
해방기 문단 형성과 반공주의 작동 양상 연구
1. 문제제기
2. 규율체계로서의 반공주의와 해방기 문단
3. 해방기의 기억과 문단의 재구성
4. 결론 및 남은 문제들
해방 직후와 단정 수립기의 정지용 문학 연구
1. 문제제기
2. 해방과 정치의식의 확장
3. 순수문학의 폐기와 새로운 문학의 모색
4. 전향과 자의식의 굴절
5. 결론 및 남은 문제들
세태의 재현과 불온한 유령들의 소환
1. 1960년대 한국문학과 이데올로기의 지형
2. 인간 군상의 부침과 풍속의 재현
3. “나”의 중층성과 『소시민』의 현재성
4. ‘불온한 유령’의 소환과 이데올로기 비판
5. 1960년대 이호철 소설과 반공주의의 역동적 관계
조세희의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 연구
1. 문제제기
2. 개작 양상과 장르적 성격
3. 서사의 다층적 구조와 갈등 양상
4. 현대성의 비극적 경험
5. 결론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 이론과 문학 연구
1. 서론
2. 정신분석학 이론과 문학 연구의 가능성
3. 분석의 사례-이청준의 「과녁」
4.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