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한국문학론 > 한국시론
· ISBN : 9791186430637
· 쪽수 : 216쪽
· 출판일 : 2018-02-05
책 소개
목차
Ⅰ. 서론
1. 1930년대 시의 새로운 지형과 방법론 검토 6
2. 정지용과 백석 시의 문학사적 위치 17
Ⅱ. 근대적 감각의 표현과 교감의 시학 - 정지용
1. 근원 공간의 상실과 근대적 내면의 형성 25
1) 이국 체험과 근원 공간의 상실 25
2) 근대적 경험의 감각적 수용 51
2. 명징한 감각의 추구와 교감의 시학 81
1) 찰나적 감각의 포착과 명징의 추구 81
2) 산수의 발견과 교감의 시학 98
Ⅲ. 토속적 감각의 재현과 회감의 시학 - 백석
1. 경험의 감각적 포착과 회감의 시학 116
1) 풍경과 기억의 감각적 포착 116
2) 고향의 재현과 토속적 감각의 탐구 131
2. 동일성의 확산과 현실의 인식 163
1) 동일성의 확산과 근원의 탐색 163
2) 현실 인식과 염결성의 시적 추구 182
Ⅳ. 1930년대 시에 나타난 감각의 의미와 기능 199
참고 문헌 204
저자소개
책속에서
근대적 문물이나 제도는 당대의 시인들에게는 공통적으로 주어진 삶의 조건이었다. 1920년대 후반부터 근대적 삶의 조건은 이미 일상화되기 시작한다. 이는 근대적 삶의 환경이 더 이상 탐승의 대상이 아니라 생활의 조건이자 일상적 풍경으로 인식됨을 의미한다. 삶의 조건으로 점차 보편화되는 근대가 문학예술에 다각적으로 수용되는 것은 자연스러운 현상일 것이다. 그러나 다른 작가들에 비해 정지용의 초기 작품들은 근대적 삶의 환경에 상당히 민감하게 반응하는 양상을 보인다. 이런 경향에는 새로움에 대한 강한 호기심도 작용하겠지만, 소여된 바의 주변 환경과 외적 사물을 자세히 관찰하고 수용하려는 시인의 인식 태도가 더 크게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백석의 시에서 감각은 경험을 가장 정확하고 구체적으로 재현하는 도구이자 기억을 촉발하는 매개로 작용한다. 현재적 경험을 재구성할 때나 과거의 기억을 회상할 때, 백석은 감각을 적극적으로 활용한다. 백석의 시에서 감각은 현실의 경험에 구체성을 부여하고 기억을 생생하게 재현하는 효과적인 수단이다. 또한 감각은 망각했던 경험을 떠오르게 하는 수단이 되기도 한다. 의지적인 기억 작용보다 우연한 감각적 자극에 의해 우리는 보다 풍부한 과거의 경험을 떠올리기도 한다. 의식과 별개로 우리의 기억에 작용하는 감각은 우리가 미처 떠올리지 못한 기억들을 생생하게 떠오르게 하는 강한 환기력을 지닌다. 백석의 시에서 감각은 우리가 지닌 고향의 원체험을 떠올리게 한다. 그의 시에 나타나는 감각적 경험은 구체적이고 개별적인 형식으로 작용하지만, 보다 폭넓은 공감을 유발한다. 그의 고향 재현 시편들은 평북 지방의 토속적 감각과 경험을 재현하지만, 그것은 다시 전통적이고 민족적인 경험과 감각을 자극한다. 지극히 지역적인 경험이 보편화될 수 있는 것은, 그의 시가 구체적 경험 속에 녹아 있는 감각을 일깨움으로써 그 감각을 통해 경험을 추체험하게 하는 방식을 취하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