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고대~고려시대 > 고려시대
· ISBN : 9788984946347
· 쪽수 : 432쪽
· 출판일 : 2019-07-30
책 소개
목차
책머리에
서 론
1부 몽골의 흥기와 양국관계의 형성
1장 몽골-고려 형제맹약 재검토
1. 머리말
2. 13세기 초 양국 외교관계의 성격
3. 형제맹약의 실체
4. 형제맹약에 관한 기억의 변용
5. 맺음말
2장 몽골의 遼東경략과 高麗-東眞 관계
1. 머리말
2. 동진의 흥기와 금-고려 연계 교섭
3. 몽골-동진-고려 화친 수립
4. 고려-동진 斷交와 著古與 피살 사건
5. 몽골의 동방진출과 고려-동진 동맹 시도
6. 맺음말
2부 쿠빌라이 시기 양국관계의 정립
1장 즉위 초 쿠빌라이의 고려정책
1. 머리말
2. 쿠빌라이 즉위 전 몽골의 고려정책
3. 쿠빌라이의 회유책 시행 배경
4. 책봉‧조공 형식 채용의 의미
5. 맺음말
2장 1278년 쿠빌라이-충렬왕 만남의 의미
1. 머리말
2. 충렬왕의 외교적 ‘성과’와 위상 변화
3. 만남 후 고려의 ‘책무’와 六事
4. 호구조사, 징세 면제의 의미
5. 맺음말
3부 몽골의 세계관과 고려의 대몽외교
1장 몽골의 ‘복속’ 인식과 양국관계
1. 머리말
2. 몽골의 전통적 세계관과 ‘복속’ 인식
3. ‘복속’ 인식의 괴리와 蒙麗전쟁
4. 쿠빌라이 시기 ‘복속’ 인식의 동요와 정착
5. 고려의 率先歸附 기억 생산과 활용
6. 맺음말
2장 몽골의 일본인식과 양국관계
1. 머리말
2. 몽골의 전통적 세계관과 일본인식
3. 고려의 지정학적 조건과 역할
4. 고려의 일본인식 공유와 대몽외교
5. 맺음말
4부 征東行省을 통해 본 양국관계의 성격
1장 정동행성의 置廢경위와 성격변화
1. 머리말
2. 至元24년(1287) 이전 置廢경위
3. 至元24년(1287) 이후 성격변화
4. <元史> 「百官志」 관련기사 검토
5. 맺음말
2장 정동행성 기능의 변천:시기구분을 겸하여
1. 머리말
2. 몽골의 정벌활동과 정동행성의 군사기능
3. 정동행성의 특수성 보전
4. 奇氏一家의 득세와 정동행성 기능‧권한 강화
5. 몽골의 쇠퇴와 정동행성 기능 축소
6. 맺음말
5부 양국관계를 매개한 인물들
1장 고려 원종대 이장용의 외교활동
1. 머리말
2. 정치적 성장과 외교활동 개시
3. 元宗5년(1264) 몽골입조와 외교활동
4. 몽골의 助軍, 出陸 요구에 대응
5. 임연의 원종폐위 사건에 대한 처신
6. 맺음말
2장 고려 주재 다루가치의 置廢경위와 존재양태
1. 머리말
2. 다루가치를 둘러싼 외교갈등과 설치경위
3. 다루가치의 존재양태
4. 쿠빌라이의 다루가치 폐지와 그 요인
5. 맺음말
3장 충렬왕대 怯憐口 출신 관원
1. 머리말
2. 겁련구와 媵臣
3. 지위와 권세
4. 국왕과의 관계
5. 맺음말
결 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