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관용적인 정복자 대원제국

관용적인 정복자 대원제국

김인희, 고명수, 권용철, 김석환, 설배환, 심호성, 조원, 조원희 (지은이)
동북아역사재단
2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5,000원 -10% 750원 12,750원 >

책 이미지

관용적인 정복자 대원제국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관용적인 정복자 대원제국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중국사 > 중국근세사(원~ 아편전쟁)
· ISBN : 9788961879620
· 쪽수 : 562쪽
· 출판일 : 2023-05-29

책 소개

대원제국 통치의 특징은 ‘관용’과 ‘정복’이다. 군사와 정치 측면에서 절대적인 통제로 정복자의 모습을 보였다면, 문화와 종교 측면에서는 다양성을 인정하는 관용적인 모습이 발견된다.

목차

책머리에

제1부 서론
제1장 중국을 정복한 몽골과 그들의 국가 대원제국

제2부 정복왕조 대원제국의 제국적 통치
제2장 조공・책봉을 넘어 직접 통치를 꿈꾸다
제3장 몽골 전통을 계승한 대원제국의 행성(行省)제도
제4장 대원제국의 특징을 유지한 승상(丞相) 제도
제5장 대원제국의 정치 구조와 케식
제6장 은과 종이의 주인과 대원제국 화폐경제
제7장 몽골 전통 군사제도의 지속과 변용
제8장 대원제국의 사법제도와 다민족 통치

제3부 다문화사회 대원제국의 통제와 관용 정책
제9장 역사서 편찬과 대원제국의 정통왕조 만들기
제10장 쿠빌라이의 권농정책과 제국의 풍경
제11장 다문화 사회 대원제국의 언어・문자・명령문
제12장 종족에 따라 차별을 둔 대원제국의 신분제도
제13장 대원제국의 관리 등용과 유사(儒士) 정책
제14장 종교로 흥한 제국, 종교로 망한 제국?
제15장 도교 세력은 대원제국의 통치에 어떻게 대응하였을까?

제4부 결론
제16장 몽골인은 대원제국을 어떻게 통치했는가

미주

저자소개

김인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동북아역사재단 한중관계사연구소 소장 『또 하나의 전쟁, 문화전쟁』(청아출판사, 2021), 『중국 애국주의 홍위병, 분노청년』(푸른역사, 2021), 『치우, 오래된 역사병』(푸른역사, 2017), 『1,300년 디아스포라, 고구려유민』(푸른역사, 2010), 『소호씨 이야기-산둥 다원커우 동이족의 탐색과 발견』(물레, 2009) 등
펼치기
설배환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전남대학교 사학과 교수 「“인간은 친절의 노예다”- 사우가(sauɤa) 문화와 몽골제국 사회·경제·정치 네트워크」(『동유라시아 물품 교류와 지역』, 경인문화사, 2022), 「몽골제국 자르구(ǰarɤu)와 그 지역적 변주」(『동양사학연구』 160, 2022), 「13-14세기 이동 정치와 몽골 네트워크 “황금고삐”」(『대륙과 메가아시아』, 진인진, 2023) 등
펼치기
권용철 (옮긴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대학원 사학과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서울대학교 동양사학과 박사후연구원, 단국대학교 북방문화연구소 연구원 등을 거쳐 현재는 경기대학교 사학과 조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서로는 『원대 중후기 정치사 연구』, 『고려사 속의 원 제국』이 있고, 60여 편의 학술논문을 집필했다. 번역 기획 공동체 ‘창窓’의 일원으로 활동하면서 『몽골족의 역사』, 『킵차크 칸국』, 『칭기스의 교환』, 『몽골제국』, 『랍반 사우마의 서방견문록』, 『중국의 역사』, 『천하와 천조의 중국사』, 『실크로드 세계사』, 『중국과 이슬람 세계의 지도 그리기』, 『남북조시대』, 『내몽골 분쟁』, 『이슬람에서 바라보는 유럽』 등을 우리말로 옮겼다.
펼치기
조원 (옮긴이)    정보 더보기
한양대 사학과를 졸업했으며, 중국 중앙민족대학교에서 석사 학위를, 베이징 대학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한양대 비교역사문화연구소 HK연구교수와 서울대 역사연구소 박사후연구원을 역임했으며, 현재 부산대 사학과 교수로 있다. 주요 논문으로 「大元帝國 法制와 高麗의 수용 양상」( 『이화사학연구』 54, 2017), 「元 후기 經世大典의 편찬과 肉典體制」(『동양사학연구』 141, 2017), 「元 중후기 醫政제도의 변화와 실상: 至正條格의 관련 條文을 중심으로」(『역사와세계』 60, 2021), 「원제국 외래 香藥과 카안의 賞賜: 南海海上 생산 香藥을 중심으로」(『동양사학연구』 159, 2022) 등이 있으며, 저서로는 『제국과 변경』(공저, 혜안, 2017), 『유라시아로의 시간 여행』(공저, 사계절, 2018), 『몽골 평화시대 동서문명의 교류』(공저, 이화여자대학교출판문화원, 2021), 『조선에서 만난 원제국 법률문서』(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21), 『관용적인 정복자 대원제국』(공저, 청아출판사, 2023), 『몽골제국 다루가치 제도 연구』(혜안, 2025) 등이 있다.
펼치기
고명수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동양사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쿠빌라이 정부의 교통·통상 진흥 정책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충남대학교 사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몽원 시대의 정치사, 민족관계사, 동아시아 국제관계사, 요동지역사 등을 연구하고 있다. 저서로 『몽골-고려 관계 연구』, 공저서로 『관용적인 정복자 대원제국』 등이 있다.
펼치기
김석환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역사학부 교수 「게이하투 칸 시기 훌레구 울루스 命令文制度의 변화-1293년 命令文의 분석을 중심으로」(『東洋史學硏究』 150, 2020), 「‘제국적 제도’로서의 차가타이 울루스 명령문제도 연구」(『몽골학』69, 2022), 『아시아를 상상하다: 닫힘과 열림』(진인진, 2023, 공저), 『말 위의 개척자, 황금 천막의 제국 세계를 뒤흔든 호르드의 역사』(까치, 2022, 번역) 등
펼치기
심호성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동북아역사재단 연구위원 「17~18세기 두르부드의 盛衰와 중앙아시아초원의 통치체제 변동」(『역사학보』 250, 2021), 「17~18세기 준가르帝國과 호이드: 호이드 귀족 가문의 위상 변화를 중심으로」(『중국사 연구』 133, 2021), “Oyirad Terms for the Manchus,” (Saksaha: A Journal of Manchu Studies 15, 2018), “The Zunghar Conquest of Central Tibet and Its Influence on Tibetan Military Institutions in the 18th Century,” (Revue d’Etudes Tibetaines 53, 2020) 등
펼치기
조원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학중앙연구원 교수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본 元帝國 성종-무종-인종 시기 朝廷: 몽골의 ‘한화’를 반박하는 또 하나의 방법론」(『중국학연구』 99, 2022), “Negotiated Privilege: Strategic Tax Exemptions Policies for Religious Groups and the Mongol-Yuan Dynasty in 13th-Century China,” (Journal of the Economic and Social History of the Orient 63, no. 1-2, 2019), “From Military Leadersto Administrative Experts: The Biography of the ‘Treacherous Minister’ Temuder and HisAncestors,” (Asiatische Studien-Etudes Asiatiques 71-4, 2018)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71611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