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시각예술과 언어철학 (후기 해체주의와 예술의 인터텍스트)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예술/대중문화의 이해 > 미학/예술이론
· ISBN : 9788984980877
· 쪽수 : 270쪽
· 출판일 : 2001-12-05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예술/대중문화의 이해 > 미학/예술이론
· ISBN : 9788984980877
· 쪽수 : 270쪽
· 출판일 : 2001-12-05
책 소개
시각예술을 통하여 해체주의를 비판하고자 하는 후기-해체주의 이론서이다. 시각예술과 언어가 어떻게 인터텍스트(intertext)되는지를 분석하고, 시각예술에서 보여지는 문자적인 요소들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밝힌다.
목차
서문
1장 언어와 시각예술의 인터넥스트
'읽을 수 있음'과 '볼 수 있음'
언어는 '차이'로 예술은 '유사'로 표현된다
데리다: 언어의 형상성 발견
왜 언어인가?
언어(읽는)와 메타언어(보는)가 상호텍스트될 수 있는 조건
언어와 미술의 상호텍스트성: 시각언어와 텍스트와의 관계
보다 광범한 맥락의 상호텍스트성
조셉 코주스의 언어/시각 예술
데리다와 드 만의 언어의 형상성에 대한 고찰
데리다와 드 만 이전의 형상언어 읽기: 아도르노와 호크하이머의 대중문화 읽기에서
코주스의 형상언어(글쓰기) 작업: 지우기
코주스 작업에서 읽히는 것과 보이는 것
컨텍스트에서 트랜스텍스추얼리티로
2장 시뮬라시옹과 차이화
시뮬라크라의 반복 복제와 차이화의 내재
시뮬라시옹과 물질성
근원의 복수성
상징적 교환과 죽음
사라짐의 미학
언어와 시뮬라시옹
보드리야르와 데리다: 시뮬라시옹과 차이화
시뮬라시옹과 가역성
시뮬라시옹과 차이화의 예: 코주스 작업 속에서
3장 문화에서 발견되는 공격성들
재현 가능한 억압된 이미지로서의 꿈-작용과 글쓰기
언어에 내재하는 폭력과 자기-배제
심리에 내재하는 공격성과 그것의 내면화
문화실행에서의 예
4장 자기동일의 불가능성과 비-정체적 정체성
데리다의 산종과 코주스의 <말할 수 없음의 유희>
데리다의 '충보적 연기'와 라캉의 '거꾸로된 형태로의 전도'
언어: 지우면서 생산하는 인스크립션적 재현
언어와 초-언어(사물)의 인터넥스트
참고도판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추천도서
분야의 베스트셀러 >
분야의 신간도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