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영화/드라마 > 한국영화
· ISBN : 9788984992733
· 쪽수 : 206쪽
· 출판일 : 2009-02-28
책 소개
목차
머리말
1. 서론
한국영화의 위기와 문화다양성협약
문화다양성협약 발효와 영상문화
문화다양성협약 발효에 따른 연구과제
2. 신자유주의 세계화의 형성 과정과 의미
신자유주의 세계화
WTO 체제의 구축과 GATS
한미 FTA 협정 체결과 그 영향
3. 문화의 세계화와 문화 환경의 변화
문화의 세계화와 문화다양성의 딜레마
한국영화의 지형 변화
문화 세계화에 대응하는 실천적 연대의 필요성
4. 문화다양성협약의 형성 과정과 의미
문화다양성의 의미와 특징
문화다양성협약의 체결 과정
문화다양성협약의 의의
5. 문화다양성협약의 내용과 쟁점
문화다양성협약의 내용
문화다양성협약의 한계
문화다양성협약의 지위에 따른 쟁점
6. 문화다양성협약 발효에 따른 대응 논리
협약에 대한 이해 증진
한국영화의 다양성 확보
한국영화 제작의 활성화
영화의 국제교류 확대
7. 결론
신자유주의 세계화와 문화
문화다양성협약의 가능성과 쟁점
문화다양성협약 발효에 따른 대응 전략
참고문헌
부록 ‘문화적 표현의 다양성 보호와 증진 협약’ 전문
책속에서
현재의 문화의 세계화는 미국이 주도하는 세계화이며, 따라서 미국식 문화가 일상생활에 전면적으로 부상하는 것을 일컫는다. 미국식 문화, 혹은 문화의 미국화(Americanization)는 세계 어느 지역에서도 이제는 특별한 것이 아니라 일반적인 것으로 받아들여진다. 동아시아에서 문화의 세계화는 대개 각국의 문화들이 국제적인 지위로 부상하는 것이라기보다는 미국식 문화의 라이프스타일로 통합되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사실 미국 주도의 문화 세계화에 제동을 걸기 위해 제시된 국제 담론이 바로 유네스코가 주도한 세계 문화다양성협약이다. 유네스코의 문화다양성협약 정신은 완전 개방을 요구하는 글로벌 경제 논리로부터 각국의 고유한 문화주권을 지켜내려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유네스코의 문화다양성 담론은 1990년대 중반 WTO 체제 출범으로 문화가 상품교역의 예외 없는 대상이 되면서 이에 대응하는 논리로 개발되었다. - 본문 '3. 문화의 세계화와 문화 환경의 변화'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