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기호학/언어학 > 언어학/언어사
· ISBN : 9788984999633
· 쪽수 : 257쪽
· 출판일 : 2008-07-30
목차
머리말
1부 언어 사용과 언어 규범
사회언어학의 발전과 앞날의 과제
언어행위와 듣는 이의 신호에 관한 화용론적 분석: 담화 속의 “네”
화행의 개별 언어적 현상: 한국어에서의 나무라기와 사과하기
언어의 단위와 규범의 단위: 규범 문제에 관한 재인식을 위하여
‘한글 마춤법 통일안’의 사회언어학적 의미 해석
속담에 대한 국어학적인 재인식
전문 용어가 가지는 언어적 문제
한국어 외래어 표기법의 문제점
인터넷과 우리말
국어 순화의 문제점과 극복의 길
2부 국어교육과 한국어교육
국어와 국어교육에 관한 기본 문제
외국어교육학으로서의 한국어교육학
노동력의 문제인가, 문화의 문제인가?
한국어 교수-학습을 위한 사회언어학적 접근: 그 철학의 출발점과 행선지를 찾아서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국어학자가 제대로 된 언어학자가 되기 위해서는 먼저 언어 문제에 천착할 필요가 있다. 규범이 왜 문제가 되어야 하는지, 언어에 과연 체계가 있는지, 언어가 드러내고 있는 의미가 어떻게 연구 대상이 될 수 있는지 등의 문제 제기는 언어학이 인문학의 기본 토대로 작동할 수 있는 중요한 조건을 만들어 줄 것이다. 그리고 여기에서 찾아본 문제가 인접 분야인 철학이나 역사학에서 어떤 문제와 결합되는지를 논의하는 시도가 곧 학제적인 인문학이 가야 할 길이 될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언어를 단순히 탐구 대상으로서만 볼 것이 아니라 언어 자체를 하나의 문제, 곧 모든 탐구와 사색의 출발로 삼아야 한다는 것이 나의 생각이다.
- 머리말에서
사회와 언어와의 관계를 탐구하는 학자 자신들도 사실상 어떤 특정한 사회 속의 구성원임에 틀림이 없다.
- ‘사회언어학의 발전과 앞날의 과제’에서
언어학의 궁극적인 양상은 결국 언어와 사회, 그리고 사회 구성원들의 의식, 이 모두의 상호 관련성과 그 유기적인 관계의 구명으로 모아져야 할 것이다.
- ‘언어의 단위와 규범의 단위’에서
뱀이 물을 마시면 독이 나오고, 양이 물을 마시면 젖이 나오듯이, 인터넷이나 거기에 사용되는 언어에 문제의 출발이 있는 게 아니다. 우리가 어떤 체질의 사회를 꿈꾸고 있으며, 그쪽을 향해 어떤 수단을 어떻게 이용할 것인가 하는 성찰이 맨 먼저가 아닌가 한다.
- ‘인터넷과 우리말’에서
언어 교육은 결코 단일 연구 분야가 아니라 여러 학술 분야의 업적이 한데 모여 이루는 학문의 꽃밭이어야 한다. 지금까지 비이론적 분야라고 소홀히 다루어졌던 각종 응용언어학, 심리언어학, 사회언어학 그리고 교육철학 등의 공동 작업 없이는 ‘언어’와 ‘교육’의 표면적인 모자이크에 지나지 않는다.
- ‘국어와 국어교육에 관한 기본 문제’에서
당연히 한국어교육의 중심에는 ‘언어’가 아닌 ‘언어행위’가 자리 잡아야 한다. 한국어교육의 핵심에는 한국어가 자리 잡는 것이 아니라 한국인들이 한국어를 통해 무슨 행위를 하는지 가르쳐야 한다는 말이다. 그것이 한국의 언어인 동시에 한국 문화의 살아 있는 실체이기도 하다.
- ‘노동력의 문제인가, 문화의 문제인가?’에서
외국어교육은 궁극적으로 인간 간의 소통에 그 철학의 근거를 두어야 한다. 언어로 말미암아 소통이 안 되는 사람, 집단이 그 언어의 장벽을 넘게 해 주는 길, 그래서 평범한 삶에서는 상상도 할 수 없었던 타인을 만나게 하고 그를 획득하게 하는 길을 내보여야 할 것이다.
- ‘한국어 교수-학습을 위한 사회언어학적 접근’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