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불교사회학

불교사회학

(불교와 사회의 연기법적 접근을 위하여)

유승무 (지은이)
박종철출판사
1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6,200원 -10% 0원
900원
15,300원 >
16,200원 -10% 0원
카드할인 10%
1,620원
14,58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불교사회학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불교사회학 (불교와 사회의 연기법적 접근을 위하여)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신화/종교학 > 종교학 > 종교학 일반
· ISBN : 9788985022545
· 쪽수 : 256쪽
· 출판일 : 2010-12-20

책 소개

포교사회학과 교수이자 불교사회과학연구소 소장인 유승무 교수의 책. 저자는 기존의 종교사회학의 성과를 검토한다. 베일리와 마벳의 공저인 <초기 불교의 사회학>, 베버의 <프로테스탄트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 벨라의 <도쿠가와 종교>등의 저작이 그 대상이다. 필자는 한국 불교가 배타성을 보이지 않고 다른 종교나 현대적 사회제도와 서로 영향을 주고받을 수 있다고 본다.

목차

책을 내며 5

제1장 서론 13
1. 붓다 시대 인도 북부의 사회변동 14
2. 붓다의 가르침과 신분 차별의 철폐 16
3. 초기 불교와 사회의 관계 -『초기 불교의 사회학』을 중심으로 19
4. 불교와 사회의 상호변용에 접근하기 위하여 26
1) 종교와 사회의 관계에 대하여 26
2) 종교사회학의 기본 가정에 대하여 28
5. 이 책의 구성에 대하여 31

제1부 불교사회학이란 무엇인가?

제2장 불교사회학의 연구 대상 35
1. 불교사회학의 연구 대상 설정의 필요성 36
2. 불교사회학의 연구 대상 38
1) 불교의 사회적 재생산 영역 38
2) 불교 공동체 내부의 사회현상 39
3) 불교와 사회의 상호작용 42
3. 불교사회학과 인근 학문 49
1) 불교사회학과 불교학 49
2) 불교사회학과 사회학 50
3) 불교사회학과 기타 인근 학문 51

제3장 불교사회학의 연구 방법 55
1. 불교사회학 방법론 정립을 위한 방법론 56
2. 사회학 방법론의 쟁점과 특성 59
1) 과학철학적 쟁점 59
2) 조사 방법의 특성 63
3. 불교의 사회학 방법론적 함의 65
1) 존재론적 함의 67
2) 인식론적 함의 69
3) 당위론적 함의 71
4. 불교사회학의 연구 영역별 조사 방법 73
1) 불교의 사회적 재생산과 서베이 74
2) 불교 공동체 내부의 사회현상별 조사 방법 76
3) 불교와 사회의 관계와 이차 자료 분석법 78

제2부 불교와 사회 발전

제4장 불교와 자본주의적 발전의 지체 -베버의 대승불교론을 중심으로 83
1. 왜 베버인가? 84
2. 베버의 동양 사회론의 위상과 대승불교 연구 87
3. 대승불교 성립에 대한 베버의 해석 91
1) 지배층과 대승불교 91
2) 경제적 조건과 대승불교 93
3) 평신도와 대승불교 94
4. 대승불교의 이념 구조와 사회적 기능에 대한 베버의 해석 96
1) 대승불교의 이념 구조에 대한 해석 96
2) 대승불교의 사회적 기능에 대한 해석 99
5. 베버의 대승불교론에 대한 비판 101
1) 베버의 불교관 일반에 대한 비판 101
2) 베버의 대승불교론에 대한 비판 107

제5장 불교, 국가, 경제발전 - 벨라의『도쿠가와 종교』 110
1. 벨라의『도쿠가와 종교』에 주목해야 하는 이유 111
2.『도쿠가와 종교』의 이론 틀 113
1) 문제의식 113
2) 개념 틀 114
3) 이론 구조 117
3.『도쿠가와 종교』의 불교사회학적 재구성 120
1) 불교의 합리화 120
2) 불교와 정체政體 124
3) 불교와 경제 126
4.『도쿠가와 종교』의 의의와 한계 129
1) 학문적 의의 129
2) 근본적 한계 131

제3부 불교와 사회변혁

제6장 붓다와 맑스의 ‘동몽이상’ 139
1. 왜 붓다와 맑스주의인가? 139
2. 붓다와 맑스의 동몽同夢 - 이상 사회를 향한 꿈 141
3. 붓다와 맑스의 이상異床 - 수단 및 방법의 차이 145
1) 불교의 상床 146
2) 맑스주의의 상床 149
3) 상床의 차이 - 출가자의 인정투쟁과 노동자의 계급투쟁 152
4. 붓다와 맑스의 공존 가능성 154
1) 맑스의 종교관과 불교 154
2) 불교와 맑스주의의 공존 조건 156

제7장 참여불교와 다중적 근대성 160
1. 불교와 현대 문명의 만남 160
2. 만남의 유형 163
3. 또 다른 만남 - 참여불교의 실험 166
1) 참여불교의 등장 배경 166
2) 참여불교의 다양한 형태 167
3) 참여불교의 특징 171
4. 만남을 어떻게 해석할 것인가? 172
1) 탈근대? 172
2) 다중적 근대성 또는 불교적 근대성 174
5. 만남의 전망

제4부 연기체 사회학을 향하여

제8장 연기체 사회학의 이론적 정초 181
1. 새로운 패러다임의 필요성 182
2. 상즉상입 개념과 그 사회학적 해석 184
3. 상즉상입의 불교사회학의 학문적 성립 요건 191
1) 상즉상입의 불교사회학의 연구 대상 191
2) 상즉상입의 불교사회학의 연구 방법 194
4. 상즉상입의 불교사회학의 의의와 문제점 198
1) 상즉상입의 불교사회학의 의의 199
2) 상즉상입의 불교사회학의 문제점 201

제9장 한국 불교와 사회제도의 연기체 204
1. 토착적 현대성과 연기체적 접근의 필요성 204
2. 연기체와 그 연기법적 접근 207
3. 불교와 다른 종교 및 사회의 상호변용 210
1) 한국 사회의 종교적 혼종성과 불교와 다른 종교의 상호변용 210
2) 불교와 사회제도의 상호변용 212
4. 결론 215

제10장 중도와 ‘또 다른 진보’의 연기체 217
1. 대안적 사회 모델을 찾아서 218
2. 기존의 진보 이론과 아시아적 가치론에 대한 비판 220
1) 기존의 진보 이론 비판 220
2) 아시아적 가치론 비판 222
3. 욕망과 자본주의의 악순환, 그리고 그 한계 225
1) 욕망과 자본주의의 악순환 225
2) 악순환의 한계 229
4. 중도와 ‘또 다른 진보’의 선순환 232
1) 발상의 전환 : 악순환에서 선순환으로 232
2) 불교의 욕망 방정식과 중도 234
3) ‘또 다른 진보’의 규범적 재구성 237

참고문헌 240

찾아보기 248

저자소개

유승무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양대학교 사회학과를 졸업하고 한국학중앙연구원(구 한국정신문화연구원)에서 석사학위를, 한양대학교 대학원 사회학과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중앙승가대학교 불교사회학부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한국사회체계이론학회(루만학회) 이사, 동양사회사상학회 부회장, 법무부 난민위원회 자문위원 등으로 활동하고 있다. 연구 관심은 사회이론, 사회사상 및 동양사회사상, 마음사회학, 불교사회학 등이며, 최근에는 루만과 불교의 비교연구에 집중하고 있다. 연구 업적으로는 『불교사회학』, 『사회학적 관심의 동양사상적 지평』(공저), 『오늘의 사회이론가들』(공저), 『현대사회와 베버 패러다임』(공저), 『내가 만난 루만』(공저)을 비롯하여 다수의 공저를 펴냈고, 약 90여 편의 논문을 여러 학술지에 게재하였다.
펼치기
유승무의 다른 책 >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