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교양 인문학
· ISBN : 9788985155755
· 쪽수 : 208쪽
· 출판일 : 2024-04-25
책 소개
목차
EDITOR’S NOTE
2024년을 기후정치 원년으로! 한윤정
COVER STORY 1: 기후정치의 전망
민주적이고 생태적인 대의제를 향하여 이나미
탈성장과 존재 다양성을 추구하는 나의 ‘기후X’ 김현우
생명력에게 권력을! 주요섭
미래 세대와 비인간을 대표하는 제4부의 구상 안병진
행성공화국, 행성시민, 행성평화 박명림
COVER STORY 2: 기후정치의 시작
기후정치 원년 시민 선언
410총선 기후정치 주요 사건 장윤석
기후총선 결산대담: 이유진+이헌석+·정규석 기후정책 공방 지금부터 시작이다 한윤정
기후가 정치화되지 않는 세 가지 이유 김수진
정담: 조천호+이소연+장윤석 인간 조천호, 기후과학자에서 기후후보까지 장윤석
CULTURE
사랑과 돌봄으로 함께하는 정동정치 최소연
건축의 질문: 건축에 반영된 권력과 이데올로기 남상문
책의 구원: 현장에서 길어 올린 공동체 기후행동 우석영
기후책 넓기 읽기: 생존의 의미와 방향을 찾아서 조성은
기후책 깊게 읽기: 기후정치 어떻게 실천할까 조효제
ISSUE
인터뷰: 조현익 절망을 받아들일 때 정치는 앞으로 간다 김다은
경계인의 시선으로 본 한국 녹색정치 손어진
세계 기후대응에 영향을 미칠 선거 민주주의 구정은
체제전환을 위한 사회운동의 세력화 구준모
저자소개
책속에서
인류의 역사를 보면 대의제는 민주주의 실현과는 거리가 멀다. 근대 이후 대의제, 다당제, 선거 등의 절차적·형식적인 제도들이 민주주의의 본질적 특징인 것으로 여겨져 왔지만 본래 민주주의는 사회주의 혁명과 크게 다르지 않았다. 그러다가 1850년에서 1880년 사이에 민주주의 개념이 오늘날과 유사한 의미로 변했다. 예컨대 토크빌은 『미국의 민주주의』(1권 1835년, 2권 1840년)에서 민주주의와 자유주의를 서로 적대적인 것으로 묘사한 반면, 1848년 9월 12일 제헌의회에서는 민주주의와 사회주의를 대립시켰다. 이렇게 민주주의의 의미가 변화된 이유 중 하나는 1848년 사회주의 혁명 때문이다. 사회주의에 직면하여 지배계급은 더 많은 사회세력을 자신의 편에 끌어들여야 할 필요성이 생겼고 이에 하층민들이 좋아할 만한 민주주의 개념을 자신의 이념 속에 포함시킨 것이다.
-이나미 ‘민주적이고 생태적인 대의제를 향하여’
‘버섯인간’. 얼마 전 어느 모임에서 만난 한 청년이 적어 놓은 자기소개의 키워드였다. … 나에게 버섯인간은 또 다른 신호이기도 하다. 브뤼노 라투르의 ‘녹색계급의 출현’을 빌려 말하면 ‘전환계급의 출현’, 살짝 비틀어 말하면 ‘전환무리의 출현’이다. 이때 ‘무리’란 아직 가시화되지 않았으나 정동적 생명력으로 연결된 잠재적 사회집단이라는 의미이다. 그 무리는 구성 중인 사회적 집단으로서 언젠가 하나의 계급이 될 수도 있을 것이다. 요컨대 오늘날 기존의 사회체계에서 살기를 포기한 이들이 전염되듯 형성되고 있으며, 계급화classification를 거쳐 세상이 뒤집히기를 바라는 커다란 사회적 흐름이 될 수도 있다는 말이다.
-주요섭 ‘생명력에게 권력을!’
한 사람, 한 부문, 한 가문, 한 종교, 한 가치에 대한 독점성, 유일성, 지배성, 중심성을 인정하지 않았던 민주공화국처럼, 또 민주공화국들과 그것들 사이의 자유로운 연방을 통한 세계평화를 꿈꾼 선현들처럼 이제는 인간독점을 넘어 행성공화국 또는 행성연방을 통한 행성평화를 상념하자. 지구행성 전체의 질서와 평화는 가장 아름다운 평화일는지 모른다. 인간중심주의를 넘어 행성시민들 사이의 자유와 연대의 행성공화국을 건설하지 못한다면 인류세는 머지않아 필연이 될 것이다. 필자는 인류세의 다른 이름이 행성세나 기후세라고 본다. 따라서 인간 행성시민은 최소한 기후시민인 것이다. 인류 각자가 행성시민이자 기후시민으로 참여하지 않는 한 유적 인류와 지구를 구할 수 없게 된다.
-박명림 ‘행성공화국 행성시민 행성평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