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비평/칼럼 > 언론비평
· ISBN : 9788985505994
· 쪽수 : 310쪽
· 출판일 : 1999-01-30
책 소개
목차
1. <한겨레>에 대한 비판과 찬양
공론장 의미 살리려면 사설면과 독자면을 나란히/ <삼국유사>의 열린 편집과 한글전용 신문/ 폭주하는 사회갈등과 `반론권` 혐오/ 언론사에 기록될 진실전쟁의 승리/ 공공언론 모범 보인 <한겨레>의 북 돕기 보도/ 안보 상업주의와 탈북자 인권
2. 발표 저널리즘
발표 저널리즘의 폐해/ 발표 저널리즘은 정보조작의 통로/ 어느 범죄보도의 범죄/ 사람 잡는 `경찰적 진실` 보도/ 한국적 발표언론의 `마녀사냥`
3. 취재의 자유와 관행
사실과 의견 분리의 신화/ `사실보도`라는 이름의 오보/ 떼거리 오보로부터의 탈출/ 탐사보도의 길 닦은 <부산매일>/ 탐사언론의 새 길 개척/ 언론의 자유는 `취재의 자유`
4. 정부와 언론
새 정부 개혁성 의심케 한 방송 움켜쥐기/ 언론연구원 폐지는 제도개혁의 방향착오/ `통조림회견`은 국민의 불행/ 환경문제, 총체적 접근을
5. 취재원 명시와 보호
모호한 출처가 판치는 언론/ 이중 익명을 경계하자/ 취재원이 사건의 당사자일 경우/ 취재원 은닉은 일본식 관행/ 퓰리쳐 상에 빛나는 `온 더 레코드` 기사의 승리/ 판례를 통해서 본 정보원 공개원칙/ 취재원 보호에 대한 원시적 몰이해
6. 저널리즘 언어
사실·진실·평론의 원칙과 저널리즘 언어의 경계선/ 독자 눈 멀게 하는 덧칠된 저널리즘 언어/ 자해·자살·할복, 정치입장 드러낸 용어 선택/ 북한에 대한 부정적 심벌과 저널리즘 언어
7. 북한 보도/ 대북정책
냉정논리라는 색안경과 절제 잃은 대북 보도/ 황장엽 비서의 기자회견과 대서특필된 `전쟁결정론`/ `무력도발` 규정, 은유적 과장 아닌 실제적 과장/ 틀에 박힌 시각 못 벗는 북한 관련 보도/ 북한 관련 보도와 반공신화 순환론/ 남북 `말공동체` 회복을/ `한국판 빌리 브란트`를 기대한다
8. 대일 언론
일본문화 침투에 대비한 수문 장치를/ 왜 `일왕`이라 부르나/ 월드컵과 `이웃 넓히기`/ 일본을 `좋은 이웃`으로/ 한일관계의 새 지평을 열자/ `우의 심벌`로 한일관계 다지자
9. 선거 보도
여론공표 제한 `장벽` 누가 허물까/ 폭로정국 장단에 춤추는 `오물언론`/ 북풍공작에 놀아난 음해의 전령/ 선거운동 기간 중 여론조사 보도 금지/ 마녀사냥식 선거판 흑색선전/ 광장 선거유세에 부고장을/ `게임 룰`이 없는 미디어 정치
10. 방송비평
시청자를 속이는 `야라세` 방송/ 대선 후보 텔레비전 토론 언론사 주최 안 될 말/ 미디어 간 비평, 상호발전에 순기능/ 새로운 흑색선전의 통로, `심판`없는 텔레비전 토론/ 공영·민영 방송 철저한 분리를
11. 언론윤리
언론윤리 벗어난 `특종`/ 다시 한 번 생각해 보는 취재과정의 일급 비밀/ 언론 자유의 뿌리 뒤흔든 국가안보의 자의적 해석/ 국회의원의 상식 밖 고스톱, 실명으로 보도해야/ 뼈만 앙상한 객관주의 뉴스 조각/ 자율규제, 구조적 한계부터 뚫어야/ `언론족쇄` 스스로 풀어야/ 신문윤리는 구두선인가/ 언론인의 윤리불감증/ 언론인의 직업의식 실종
12. 언론개혁과 자사 이기주의
언론 바로 세우기, 개혁의 출발/ 과당경쟁의 부산물 신문폐지/ 신문산업의 개혁방향/ <조선일보> 등의 현대자동차 사태 타결 보도/ 머독 위성의 빤한 자사 이기주의/ 내 논 물대기 여전한 `국민과의 대화` 신문 보도/ <조선일보> 선정 `50대 인물`, 여론 아닌 사론 의심/ 그래도 반가운 `언론 리포트`/ 바른 언론을 세우기 위해
13. 여성, 외국 언론, 지면 개선에 대하여
첫 중앙 일간지 여성 주필의 탄생을 지켜보며/ 외국 언론의 `한국 경제 때리기`를 보는 시각/ `덩샤오핑 사망 특종`, 국제화 시대 신문의 모델/ 미디어의 순기능 일깨운 개혁 대토론회/ 몇몇 신문의 지면개선 실험/ 고급지가 되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