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비평/칼럼 > 한국사회비평/칼럼
· ISBN : 9788985635769
· 쪽수 : 320쪽
· 출판일 : 2007-02-01
책 소개
목차
서론 한국의 민족 국가 건설과 그 구성원 되기의 성별 정치학
I. 군사화된 근대성과 성별적 대중 동원, 1963~1987
1. 군사화된 근대성 : 그 역사적 뿌리와 성장
2. 군사적이고 생산적인 남성 만들기
3. 생산에서 주변화되고 가정적인 여성 만들기
II. 군사화된 근대성의 쇠퇴와 성별화된 시민성의 대두,1988~2002
4. 군사화된 근대성의 쇠퇴와 민주화 담론의 등장
5. 군사적 경제적 동원이 만들어 낸 남성의 시민성 성장 궤도
6. 재생산자 여성의 경제적 주변화가 만들어 낸
여성의 시민성 성장 궤도
7. 결론: 근대성, 성별, 시민성
리뷰
책속에서
한국 사회에서 근대성을 추구한 국가는 물질적, 이데올로기적 기제를 통해서 다수의 구성원들이 기꺼이 동원에 응하도록 유도했다. 군사화된 국가는 공산 국가인 북조선과 전쟁 중인 반공 국가로서 자신을 정의했고, 구성원들의 정치적 정체성은 동원과 그 영향에 의해 만들어지고 도전받았다. 성별은 한국인들의 대중 동원 과정에 매우 큰 영향을 미쳤다.
근대화 국가는 한국인들을 단일한 민족으로 구성했고 또 반대로 성별에 따라 다르게 이루어진 동원 방식은 여성과 남성이 시민으로서 새로운 정치적 주체성을 획득하는 것을 가능하게 했다. 새로운 정치적 주체성 획득은 집단적 투쟁 과정을 통해서 이루어졌는데 그것은 국가 구성원이 된다는 것의 성격을 재정의하는 것이었다. 따라서 한국의 경제와 정치에서 나타나는 성별 관계의 비대칭성은 여성과 남성이 국가에 통합된 방식의 차이 때문이라고 보아야 한다. - 서론 중에서